지난 한 해 동안 녹색아카데미 웹진에서 소개해드린 기사와 칼럼 등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한 곳에 모았습니다. 1년 동안 어떤 얘기들이 오가고, 모임에서는 어떤 자료로 어떤 얘기들을 나누었는지 쉽게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2022년에는 온라인 모임을 늘려서 더 많은 분들이 함께 모여 책 읽고 공부하고 다양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습니다. 내년에도 녹색문명을 고민하고 실천하고 자연철학 공부도 더 심도있게 할 수 있는 한 해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모두 건강하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녹색문명공부모임
1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디지털 정착민 가족, 파시브하우스를 어떻게 지었고, 어떻게 살고 있나?
3월 : 파랑새는 가까이 있다 : 내가 지역에 터잡기까지의 이야기
5~8월 : 폴 호컨, 『한 세대 안에 기후위기 끝내기』
우리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기후 행동은 무엇인가? 폴 호컨에게 묻다
『그리드』 – (1) 그리드란 무엇인가 & 그리드는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그리드』 – (2) 인설의 법칙과 그 종말 & 한국의 그리드
자연철학세미나
새자연철학세미나 : 2021년 9월 16일 시작.
자연철학이야기 (녹색아카데미 유튜브 대담)
녹색아카데미 유튜브 대담 ‘자연철학이야기’
- 대담 녹취록 : 1장~10장 읽기 (완결)
장회익의 자연철학
시간이란 무엇인가? (“시간”. 장회익. 2002. <우리말 철학사전 2> 우리사상연구소 엮음. 지식산업사. pp.137-165.)
공간이란 무엇인가? (“공간이란 무엇인가”. 장회익. 2003. <우리말 철학사전 3> 우리사상연구소 엮음. 지식산업사. pp.65-95.)
양자역학, 그게 뭔가요? (장회익)
자연철학이야기 – 카툰 (1)~(9) (진행중)
기후위기 & 환경문제
현재 먹거리 시스템으로는 어떤 사회도 지속가능하지 않다
먹거리 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생각보다 많다 & 이 중 절반은 부자나라들 책임
기후변화로 인한 ‘손실과 피해’, 그 험난한 논의 과정 (1) 기후 회의 1987~2010
기후변화로 인한 ‘손실과 피해’, 그 험난한 논의 과정 (2) 기후 회의 2011~2022
기후극장
기후극장 : 서막 – 이산화탄소는 기후위기의 원인이 아니다
기후 관련 보고서
IPCC 제6차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제2실무그룹 보고서(핵심정리)
IPCC 제6차 보고서 제3실무그룹 보고서 ‘기후변화 완화’ 발표 & 탄소 포집 저장 기술의 문제점
에너지 전환
[에너지전환을 위한 개념비평] 그것은 제로에너지건축물이 아니다
[기후위기 시대의 좋은 집] 0. 이야기를 구상하며
[기후위기 시대의 좋은 집] 1. ‘좋은 집’이란 어떤 집일까?
[기후위기 시대의 좋은 집] 2. 따뜻하고 시원하며 숨쉬기 편한 집 – 물리적 쾌적성 (1) : 열적 쾌적성
[기후위기 시대의 좋은 집] 2. 따뜻하고 시원하며 숨쉬기 편한 집 – 물리적 쾌적성 (2) : 실내 공기질-1
건축 자재 피라미드 : 건축 자재들의 환경 영향 비교하기
리처드 하인버그의 POWER (2021) 발췌글 : 머리말
온라인 책읽기 모임 : 책새벽-월, 책새벽-화, 책밤
데이터의 정치학 – 제임스 글릭의 <인포메이션> 북리뷰
『소유란 무엇인가』 발췌글 읽기 (완결)
기후위기와 자본주의의 바탕이 되는 토지사유제는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 『진보와 빈곤』 중에서
『우연과 필연』 발췌글 읽기 (진행중)
알림
의견이나 제안은 댓글로 자유롭게 부담없이 남겨주세요. 녹색아카데미 페이스북 그룹,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철학 세미나 게시판과 공부모임 게시판에도 글을 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