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CC 제6차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제2실무그룹 보고서(핵심정리)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는 지난 2월 14~27일 동안 제55차 총회를 진행했습니다. 이 회의를 통해 기후변화 영향, 적응, 취약성에 관한 ‘제6차 평가보고서(AR6) 제2실무그룹(WG2)의 보고서’와 ‘정책결정자를 위한 요약본(SPM)’을 승인하고 발표했습니다.

IPCC는 1988년 설립된 이후 5~7년 간격으로 기후변화 평가보고서(assessment report)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매 보고서는 세 개의 실무그룹(working group)으로 나뉘어 진행되는데, 이번 보고서는 실무그룹 II에 해당합니다. 실무그룹 III은 기후변화 완화에 대한 보고서이며 4월에 열릴 제56차 총회에서 승인될 예정입니다. 세 보고서를 합한 종합보고서(SyR; Synthesis Report)는 9월 제57차 총회에서 승인될 예정입니다.

이번 실무그룹 II 보고서와 ‘정책결정자를 위한 요약본’의 핵심 내용을 그림과 함께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습니다.

이 자료는 환경부의 정책브리핑 자료의 내용과 카본브리프(CarbonBrief)의 분석기사의 글과 그림을 참조하여 구성하였습니다. 더 정확한 내용은 원문을 통해 확인해주시기를 당부드립니다.(링크 혹은 글 말미의 참고자료로 확인해주세요.)

목차

1. 어떤 보고서인가?
2. 육상, 담수 생태계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
3. 해양, 연안 생태계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
4. 지구상의 물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
5. 식량과 농작물 생산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
6. 도시, 정주지와 주요 기반시설에 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과 위험(리스크)
7. 건강, 분쟁, 이주(공동체 구조 변화) 등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
8. 빈곤, 지속가능발전 목표로 다가가는 데 기후변화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9. 세계는 기후변화에 어떻게 적응하고 있는가?
10. 적응하는 데 한계 혹은 제약은 무엇이고 어느 정도인가?
11. 리스크 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옵션
12. 자연에 기반한 해결책은 기후변화 적응과 완화 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13. 기후탄력적개발경로에 대해서 이번 보고서는 어떻게 말하고 있는가?
14. 특정 지역들에 대해 보고서에서는 어떠한 내용을 담고 있는가?

IPCC 제6차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제2실무그룹 보고서가 2022년 2월 28일 발표되었습니다.

1. 어떤 보고서인가?

이번 6차 기후변화 평가보고서에는 2021년까지 수행된 기후변화 관련 연구와 보고서들을 전세계 270명의 과학자들이 취합하고 분석한 결과가 담겨 있습니다. 지난 2월 28일 이 보고서를 우리나라를 포함한 195개국 정부가 승인했습니다.

제6차 보고서에 따르면 이전 보고서(제5차. 2014) 이후 기후변화로 인한 물 안보, 빈곤, 건강 등의 분야에 대해 전 지구적 영향이 심화되었습니다. 기후변화 리스크 모니터링과 평가에 기반한 ‘기후탄력적 개발’ 등 과학적이고 통합적인 계획이 시급히 실행되어야 하는 상황입니다.

IPCC는 종합적인 평가보고서 이외 특별보고서도 발간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보고서들이 있습니다.

이번 6차 기후변화 평가보고서는 올해 11월 이집트에서 열릴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UNFCCC COP27)와 2023년부터 당사국총회에서 본격적인 검토에 들어가는 ‘파리협정 이행 점검(1st Global Stocktake)’ 등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논의의 근거자료가 될 것이며 각 나라의 기후변화 정책 수립에도 활용될 것입니다.

SRM은 크게 4개 부문으로 구성됩니다.

A. 머리말
B. 현재와 미래의 영향과 위기(리스크) (Observed and Projected Impacts and Risks)
C. 적응 수단과 활성화 방안 (Adaptation Measures and Enabling Condition)
D. 기후탄력적 개발 (Climate Resilient Development)

‘A. 머리말’에서는 인간과 자연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후변화 위기(리스크)를 시스템적 관점에서 설명합니다. 제5차 평가보고서(2014)에서 제시된 위기(리스크)의 구성요소인 위해성(hazards), 노출성(exposure), 취약성(vulnerability)을 바탕으로 기후와 인간 시스템, 생태계(종 다양성) 간 상호작용의 고려가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B. 현재와 미래의 영향과 위기(리스크)’에서는 인간이 일으킨 기후변화가 인간과 자연에 미친 영향과 취약성의 수준, 미래에 예상되는 위기(리스크) 등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지역별, 부문별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아시아 지역의 경우에 대해서는 극한 기온 발생 빈도와 강수 변동성이 높아져 식량, 물 안보 부문의 위기(리스크)가 증가하고, 해안 도시를 중심으로 홍수로 인한 도시 기반시설의 피해가 발생하며, 인간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모성 및 유아 건강, 정신건강 등 이전에 다루지 않았던 기후변화 연계 질환이 증가할 가능성도 언급되고 있습니다.

‘C. 적응 수단과 활성화 방안’에서는 현재의 적응 노력과 효과, 미래의 적응 방법과 오적응*을 피하고 적응 방법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습니다.*오적응(maladaptation) : 의도치 않게 나타나는 온실가스 배출 증가, 복지 감소 등 기후와 관련하여 부정적인 결과를 일으킬 위험이 있는 행동을 의미.

모든 지역과 분야에서 적응 노력이 증가했고 최소 170개국에서 기후변화 정책에 적응을 포함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적응정책은 한정적인 규모와 분야에서 단기 위기(리스크) 해결 위주로 시행되고 있음이 지적되었습니다.

많은 부문과 지역에서 오적응이 발생하고 있다는 증거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유연한 적응계획을 마련하고 통합적인 적응계획과 그 실행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습니다.

‘D. 기후탄력적 개발(Climate Resilient Development)*’에서는 각국의 기후변화 적응 노력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완화와 적응, 지속가능발전을 공통 목표로 하는 기후탄력적 개발 경로(CRDPs)를 제시했습니다.*기후탄력적 개발(Climate Resilient Development):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 방법을 이행하는 과정.

기후탄력적개발은 정부, 지자체, 민간이 함께 참여하는 협치(거버넌스)가 있을 때 실현 가능하며, 향후 10년간의 사회적 선택이 미래의 기후탄력성을 결정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기후탄력적 개발 경로를 위한 자연기반해법(NbS; Nature based Solution)과 생태계기반적응(EbA; Ecosystem-based Adaptation) 등 미래 적응 수단에 대한 설명과 그 실현가능성, 적응 활성화 방안에 대한 평가도 반영하였습니다.

제6차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본 보고서(이하 AR6 WG2)는 총 18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AR6 WG2 보고서는 총 18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7개 장이 육지 부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생물종다양성 핫스팟”, “극지방” 등 특정 지역(regions)을 다루는 “cross-chapter papers”(그림 1. CCP1~7)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AR6 WG2는 AR5 이후, 인류가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였고, 사회 전 부문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도 증가하였음 확인하였습니다.

이제 각 부문에 대한 핵심적인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그림 1] AR6 WG2의 구성. (출처 : CarbonBrief. source : IPCC (2022) Figure 1.10.)

2. 육상, 담수 생태계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

  • 지구표면 기온이 5℃ 상승하면 최대 60%의 생물종이 멸종 위기에 처하게 되며 이러한 생물종의 멸종은 돌이킬 수 없습니다.
  • 식물과 동물 종 절반의 서식지가 고위도와 고지대로 이동하고, 식물의 3분의 2의 봄철 생육이 빨라집니다.
  • 1970년대 이래 강과 호수는 10년당 0.01~0.45℃의 온난화를 겪었고, 북반구 호수에서는 결빙이 감소되어 부영양화가 가속화되어 왔습니다.
[그림 2] 육지와 담수 생태계에서의 주요 온난화 위험 수준(리스크). 왼쪽부터 생물종다양성 감소, 구조적 변화, 수령, 산불 증가, 탄소 손실. (출처 : CarbonBrief. Source: IPCC (2022) Figure SPM.3c.)

그림에서 보라색은 심각한 영향 혹은 리스크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나타냅니다. 붉은색은 중대하고 광범위한 영향 혹은 리스크, 노란색은 확인가능한 리스크, 흰색은 감지되지 않는 리스크를 나타냅니다. 검은색 점은 분석 결과에 대한 신뢰도* 수준입니다. 점 1개는 낮은 신뢰도, 점 2개는 중간 신뢰도, 점 3개는 높은 신뢰도, 점 4개는 매우 높은 신뢰도를 의미합니다.
*신뢰도(confidence)와 가능성(likelihood)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 글 말미의 용어 설명을 참조해주세요.

3. 해양, 연안 생태계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

  • 1950년대 이래 해양 생물군은 온난화로 인해 10년당 약 59km씩 북쪽으로 이동했고, 해양 생물종의 계절 변화도 10년당 3~7.5일 빨라졌습니다.
  • 대표농도경로8.5(RCP8.5* 기사 말미의 용어 설명 참조) 시나리오의 경우 21세기 후반이 되면 전지구적으로 플랑크톤이 감소하여, 수산자원은 5.7~15.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림 3] 온난화에 따른 해양 변수 변화. 1925-2016. (a) 온난화율. 100년당 온도 변화. (b) 온난화 속도. 10년당 km. (c) 해양 열파 일수 변화. 1925-54 대비 1987-2016 변화. (출처 : CarbonBrief. Source: IPCC (2022) Figure 3.3.)
[그림 4] 여러 해양생태계에 대한 기후온난화 영향 평가. 맨 윗줄 가로축 구분은 왼쪽부터 온난화, 해양 열파, 해양산성화, 해수면상승, 폭풍, 산소, 해빙, 위험도(리스크), 적응능력, 주요 비기후 인자를 의미한다. (출처 : CarbonBrief. Source: IPCC (2022) Figure 3.12.)

그림에서 노란색은 낮은 영향, 주황색은 중간 영향, 보라색은 높은 영향, 흰색은 복합적인 영향을 의미합니다. 점은 분석 결과에 대한 신뢰도* 수준을 나타냅니다. 점 1개는 낮은 신뢰도, 점 2개는 중간 신뢰도, 점 3개는 높은 신뢰도, 점 4개는 매우 높은 신뢰도를 의미합니다. 오른쪽의 회색 표는 각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와 관련 없는 주요 인자들을 나타냅니다.

세로축의 해양생태계 구분 중 EBUS는 eastern boundary upwelling system, 즉 동안 경계류 용승시스템을 의미하며 벵겔라 해류, 카나리 해류, 훔볼트 해류, 캘리포니아 해류 등이 있습니다.(출처 : wikipedia)

4. 지구상의 물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

  • 전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약 40억 명)이 현재 물부족을 겪고 있습니다.
  • 많은 지역에서 폭우 강도와 빈도가 높아지고 연 강수량은 대체로 증가하였으며, 지역간 편차도 커졌습니다.
  • 빙하가 녹는 속도는 1950~2000년 사이에 전세계적으로 1.5~2배 빨라졌습니다.
  • 향후 더 많은 강우, 더 빈번하고 더 심한 가뭄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그림 5] 전세계 빙하 변화. 2000~2019. (출처 : CarbonBrief. Source: IPCC (2022) Figure 4.5.)
[그림 6] 전지구적 강 범람 변화 예측. 2080년대. 1970-2000년 대비. SSP에 대해서는 이 글 말미의 용어 설명 참조.(출처 : CarbonBrief. Source: IPCC (2022) Figure 4.17.)

5. 식량과 농작물 생산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

  • 식량 안정성과 영양실조가 지속적으로 악화될 것으로 예측되지만,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대응 마련에 실패하고 있습니다.
  • 2050년까지 10%, 2100년에는 30% 이상 작물 생산 지역과 축산 지역이 기후적으로 부적합한 환경에 처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현재의 적응 능력에도 불구하고 식량 감소로 인한 영향은 막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림 7] 대두(왼쪽)와 밀(오른쪽)에 대한 기후관련 스트레스인자를 나타낸 지도. 색이 짙을수록 영향을 크게 받는 지역이다. 맨 위의 큰 지도는 전체적인 영향을 나타내며, 아래 다섯 개 지도는 토양 영양, 질병, 열, 건조, 오존 등 개별 스트레스 인자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을 나타낸다. (출처 : CarbonBrief. Source: IPCC (2022) Figure 5.4.)
[그림 8] 기후변화가 작물 생산에 미치는 영향 예측 분석(60개 이상 연구 분석). (출처 : CarbonBrief. Source: IPCC (2022) Figure 5.8)

기후변화가 작물생산에 미치는 종합적인 영향(Combined)과 각 세부 요인, 즉 온도/열스트레스, 강우(가뭄과 범람 포함), 계절 변화,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 질병, 생태계 등을 분석했습니다. 긍정적 영향을 준 요인은 +로, 부정적인 영향을 준 요인은 -로, 복합적인 영향을 준 요인은 동그라미로 나타냈습니다. 색깔이 짙을수록 신뢰도가 높고 옅을수록 신뢰도가 낮은 결과입니다.

6. 도시, 정주지와 주요 기반시설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과 위험(리스크)

  • AR5 이후, 기후변화로 인해 위기에 처한 도시거주 인구와 재산은 증가하였습니다. 그러나 성장이 이루어진 대부분의 도시가 적응 대책 수립이 미비한 위험지역(아시아, 아프리카)입니다.
  • 2015~2020년 사이 도시에 거주하는 인구는 3.9억 명 증가했으며, 이 중 90% 이상은 저개발 지역에서 증가한 것입니다.
  • 2050년까지 도시에 거주하는 인구는 25억 명 더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중 최대 90%는 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에서 일어날 것으로 분석됩니다.
  • 온난화로 인해 물부족 피해를 입게 될 도시 인구는 지구 평균기온이 1.5℃ 증가하면 3.5억명, 2℃ 증가하면 4.1억 명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림 9] 폭염으로 인한 고열 환경에 노출될 인구 예측 분석. (a)현재 (b)2050년 (c)2100년. 그림에 표기된 도시는 각 해당 년도에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을 의미. (출처 : CarbonBrief. Source: IPCC (2022) Figure 6.3.)
[그림 10]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도시에 미칠 위험(리스크). 사분원은 왼쪽 위부터 영향을 받을 인구 수, 영향을 받을 항공편수, 영향을 받을 해안 길이(km), 영향을 받을 습지를 의미한다. (출처 : CarbonBrief. Source: IPCC (2022) Figure CCP2.3.)

7. 건강, 분쟁, 이주(공동체 구조 변화) 등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

  • 기후변화에 따라 건강, 웰빙, 공동체의 구조가 악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수인성 감염과 매개 감염, 전염병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 극한 기상, 이상기후 현상으로 인해 광범위한 영역에서 비전염성 질환, 상해, 정신건강, 모성과 영유아 건강, 영양실조 악화 등이 전망됩니다.
[그림 11] 이집트 숲모기(Aedes aegypti ) 증가 예측 분석. 2090-99년. 1987-2016 대비. 붉은색이 짙을수록 증가, 푸른색이 짙을수록 감소를 의미. RCP는 이 글 말미의 용어 설명 참조. (출처 : CarbonBrief. Source: IPCC (2022) Figure 7.10.)
[그림 12] 각 질병으로 인한 연간 추가 사망자수 예측 분석. 뎅기열(푸른색), 설사병(주황색), 말라리아(연한 푸른색), 열병(붉은색), 영양실조(녹색). 2030-2050년. 1961-90년 대비. 중간 정도의 배출량 경우인 A1B 시나리오(빠른 경제 성장, 느린 인구 증가, 빠른 신기술 도입)에 대한 분석. (출처 : CarbonBrief. Source: IPCC (2022) Figure 7.8.)
[그림 13] 극한 이상기후로 인해 2010-20년 사이 매년 이주한 대륙별 인구. 홍수(짙은 푸른색), 폭풍(연한 푸른색), 산불(붉은색), 가뭄(갈색). (출처 : CarbonBrief. Source, IPCC (2022) Figure 7.7.)

8. 빈곤, 지속가능발전 목표로 다가가는 데 기후변화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 기후변화 심화, 발전 정도, 취약성과 불평등 정도 등은 각 부문이 상호작을 하면서 결과적으로 부정적 영향이 증폭되는 것으로 예측됩니다.
    *지속가능발전 목표는 지속가능발전포털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그림 14] 빈곤층의 의존도가 높은 9개 생계 자원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영향 23가지 분석. 각 카테고리의 항목에서 HC는 높은 신뢰도, MC는 중간 신뢰도, LC는 낮은 신뢰도를 의미. (출처 : CarbonBrief. Source: IPCC (2022) Figure 8.2.)
[그림 15] 빈곤과 환경이 만들어내는 덫.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 재난과 빈곤이 반복되면서 둘 모두 더욱 심해지는 과정. (출처 : CarbonBrief. Source: IPCC (2022) Figure 8.4.)

9. 세계는 기후변화에 어떻게 적응하고 있는가? (아시아 지역)

  • 아시아 지역의 대부분 국가들은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에너지 안보 위험도가 높으며,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도 증가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 온난화에 따른 가뭄 피해는 아시아 지역 국가들의 경우 세기말까지 5~2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림 16] 기후변화 피해에 대한 세계 주요 지역에서의 각 분야 적응 수준. 연구 발간 편수. 색이 짙은 지역일수록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지역임을 의미. 수(Number of publications)는 과학적인 발간물 1,682개에 대한 체계적인 리뷰를 기초로 하여 도출함. (출처 : CarbonBrief. Source: IPCC (2022), Figure 16.3.)

10. 적응하는 데 한계 혹은 제약은 무엇이고 어느 정도인가?

  • 기후변화와 연계된 시스템의 변화는 자연환경과 인간 사회의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일어나고 있습니다.
  • 다양한 규모의 적응 노력이 진행되고 있지만 기후변화에 대한 충분한 적응은 여전히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입니다.
  • 재정, 거버넌스, 제도와 정책적 제약 등 사회-경제적 제약이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을 방해하는 요소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그림 17] 지역별 부분별 적응에 대한 제약 분석. 인류 시스템(human systems)에서 기후변화 적응 관련 과학적 연구 1,682에 기반. (출처 : CarbonBrief. Source: IPCC (2022), Figure 16.7.)

“낮은 근거(low evidence)”로 표시된 부분은 해당 지역 해당 분야에 대한 평가 문헌의 20% 미만이 제약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주로 적응에 대한 제약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중간 근거(Medium evidence)”로 표시된 부분은 평가 문헌의 20-40%가 제약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제약으로 연결되는 근거를 제공합니다. “높은 근거(High evidence)”로 표시된 부분은 제약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문헌이 40%인 경우이며, 제약으로 연결되는 광범위한 근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림 18] 전환적인 적응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별 부문별 과학 문헌 분석. 대응 제약을 넘어서기 위한 범위, 속도, 정도, 능력. (출처 : CarbonBrief. Source: IPCC (2022), Figure 16.6.)

11. 리스크 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옵션

  • AR6에서는 리스크 개념을 시스템적 관점(사람과 자연)에서 기후탄력적 개발 경로라는 미래 목표와의 연계 개념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 동시에 AR4(2007)에 정의된 취약성 개념도 활용할 수 있음을 인정합니다.
  •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와 적응대책 수행은 기후탄력적 발전을 위해 필수적인 부문입니다.(*기후탄력적 발전은 이 글의 14절을 참조)
  • AR5 이후, 기후변화 리스크의 모니터링과 평가(M&E)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여러 국가들에서 시도되고 있지만,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습니다.

12. 자연에 기반한 해결책은 기후변화 적응과 완화 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 생태계기반 적응(EbA; Eco-based Adaptation)이란 기후변화에 대한 인간 및 생태계의 취약성을 줄이고 회복력을 높이기 위해 이루어지는 생태계 관리 행동을 의미합니다(예: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 통합된 수자원 관리 등).
  • 한편 자연기반해법(NbS; Nature Based Solution)이란 생태계기반 적응을 포함하는 상위개념으로, 생태계를 보호 및 복원하여 기후변화, 식량, 물, 재해위험, 생물다양성 감소 등 사회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적응 방식의 일종을 말합니다. 
[그림 19]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해양과 연안 자연기반해법. 해양생태계, 공동체, 경제 부문 등. 푸른색은 리스크 가능성, 주황색은 기후리스크 감소 효율성, 점은 가능성과 효율성의 정도, 선의 굵기는 신뢰도의 높고 낮음을 의미한다. (출처 : CarbonBrief. IPCC (2022) Figure 3.23.)

13. 기후탄력적 개발 경로에 대해서 이번 보고서는 어떻게 말하고 있는가?

  • 기후탄력적 개발(CRD; climate-resilient development path)은 기후변화 완화와 적응을 개선하며, 모두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지향하는 개발 경로를 의미합니다.
  • 현재의 개발 방식은 기후탄력적 개발에서 멀어지는 방식으로, 가까운 미래의 사회적 선택이 미래의 경로 결정에 핵심적 영향을 미칠 것이 전망되고 있습니다.
[그림 20] 기후탄력적 개발 경로는 어떠한 사회적 경로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출처 : CarbonBrief. Source: IPCC (2022) SPM.5.)

14. 특정 지역들에 대해 보고서에서는 어떠한 내용을 담고 있는가?

  • 세계 각 지역에 대한 장에서는 각 지역의 기온, 극한 날씨 사건, 식량과 물 안보, 이주, 건강과 질병, 경제와 생계에 대해 강조하여 다루고 있습니다.
  • 7개 ” cross-chapter papers” 장에서는 생물종다양성 핫스팟, 해안지대의 도시와 정주지, 사막 지역과 반 건조지역과 사막화, 지중해 지역, 산악 지역, 극 지역 그리고 열대우림을 다룹니다.
  • 이번 보고서에서는 특정 지역에 대한 케이스 스터디, 예를 들어 오스트레일리아의 “대보초”(The Great Barrier Reef)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지역은 높은 신뢰도로, 이미 심각하게 기후변화의 피해를 입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있는 베니스와 주변 습지(Venice and its lagoon) 지역은 심각하게 기후변화 피해를 입고 있습니다. 이 지역의 홍수 빈도는 20세기 초반 10년에 한번이던 것이 2010-1019년에는 그 40배가 되었습니다.
  • 아시아지역에서는 내륙 빙하를 심도 깊게 다룹니다. 아시아지역의 빙하는 하류지역의 인구 2억 2천만 명에게 식수를 공급해주는데, 2006~16년 동안 매우 불안정해졌으며 앞으로 더욱 악화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참고자료


용어 설명

신뢰도와 가능성

(출처 : IPCC, 2021: Summary for Policymakers. In: Climate Change 2021: The Physical Science Basis. p.SPM-4.)

  • 신뢰도(confidence)는 다섯 단계로 표현한다
    • 매우 낮음(very low)
    • 낮음(low)
    • 중간(medium)
    • 높음(high)
    • 매우 높음(very high)
  • 가능성(likelihood)에 대한 표현
    • 99-100% : 거의 확실(virtually certain)
    • 95-100% : 극히 가능성 높음(extremely likely)
    • 90-100% : 매우 가능성 있음(very likely)
    • 66-100% : 가능성 있음(likely)
    • > 50-100% : 아닐 가능성보다 높음(more likely than not.)
    • 33-66% : 아마도 가능성 있음(as likely as not.)
    • 0-33% : 가능성 적음(unlikely)
    • 0-10% : 매우 가능성 적음(very unlikely.)
    • 0-5% : 극도로 가능성 낮음(extremely unlikely.)
    • 0-1% : 극히 예외적임(exceptionally unlikely)
  • 분포(distribution)는 최적 추정값(best estimate)을 전후하여 대칭적으로 고려되지만 늘 그렇지는 않다. 이 보고서에서 ‘very likely range'(표 1에서처럼)라는 표현은 90% 신뢰도로 평가된 것이다. 마찬가지로 ‘likely range’는 66% 신뢰도로 평가된 것을 말한다.

대표농도경로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출처 :  2050 탄소중립 포털)
RCP 2.6(인간 활동에 의한 영향을 지구 스스로가 회복 가능한 경우), RCP4.5(온실가스 저감 정책이 상당히 실행되는 경우), RCP6.0(온실가스 저감 정책이 어느 정도 실현되는 경우), RCP8.5(현재 추세로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경우)로 구성됩니다.

IPCC 4차 평가보고서(‘07)에 사용한 SRES 온실가스 시나리오를 대신하여 IPCC 5차 평가보고서(`13)에서는 대표농도경로(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를 새로운 시나리오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RCP 시나리오는 최근 온실가스 농도변화를 반영하였으며 최근의 예측모델에 맞게 해상도 등을 업데이트 하였습니다.

RCP는 사회·경제유형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설정 후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산출했던 SRES와 달리 온실가스 농도값을 설정한 후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산출하여 그 결과의 대책으로 사회·경제 분야별 온실가스 배출 저감 정책을 결정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 RCP 2.6: 인간 활동에 의한 영향을 지구 스스로가 회복 가능한 경우(실현 불가)
  • RCP 4.5: 온실가스 저감 정책이 상당히 실현되는 경우
  • RCP 6.0: 온실가스 저감 정책이 어느 정도 실현되는 경우
  • RCP 8.5: 현재 추세(저감없이)로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경우(BAU 시나리오)

* RCP 시나리오 숫자의 의미 : RCP 시나리오의 숫자는 복사강제력, 즉 온실가스 등으로 에너지의 평형을 변화시키는 영향력의 정도를 의미합니다. (예) 8.5는 8.5W/m2

공통 사회경제 경로 (SSP)

(출처 : IPCC, 2021: Summary for Policymakers. In: Climate Change 2021: The Physical Science Basis.)

공통 사회경제 경로는 기후변화 대응 방향에 따라 인구, 경제, 에너지 사용, 대기오염 제어, 토지이용과 온실가스 배출량 등이 미래의 사회경제시스템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모델링하여 도출하는 시나리오이며, 각 경로별로 가장 가능성 높은 온실가스 복사강제력 수치를 도출한 것이 그림 2입니다.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모델은 통합평가모델(integrated assessment models; IAMs)이며, 각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습니다.

  • SSP1 : 지속가능성. 녹색 경로. 사회가 발전하면서 온실가스 감축도 잘 하는 경우.
  • SSP2 : 중간 경로. 사회경제 경로의 중간 단계 정도로 발전하면서 감축도 하는 경우.
  • SSP3 : 지역적 경쟁 관계 심화. 사회경제적 성장은 더디지만 온실가스 감축은 잘 하는 경우.
  • SSP4 : 불평등 심화. 두 갈래로 나뉘어진 경로. 사회경제적 성장이 더디고 온실가스 감축도 잘 못 하는 경우.
  • SSP5 : 화석연료에 기반한 성장과 투자. 사회경제적으로 성장은 하지만 온실가스 감축은 잘 못 하는 경우.
[그림 21] 제6차 기후 평가보고서에서 공통 사회경제 경로가 사용되었다. 그림에서 세로축은 복사 강제력을 나타내고 위쪽으로 갈수록 기온이 더 높아진다. 가로축은 시나리오 1~5까지를 나타낸다. 복사강제력(radiative forcing)은 어떤 인자가 대기시스템에 영향을 주어 에너지 평형을 변화시키는 영향력의 척도로, 여기서는 평방미터당 온실가스가 흡수하는 에너지량(W; 와트)을 의미한다. (출처 : CarbonBrief. Source: IPCC (2021) Cross-Chapter Box 1.4, Figure 1.)

그림 1에서 흰 글씨로 표시된 SSP1-1.9, SSP1-2.6, SSP2-4.5, SSP3-7.0, SSP5-8.5는 2100년까지 기온상승폭 1.5도 부터 4도까지 현실적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시나리오 5개입니다. 예를 들어 SSP2-4.5는 공통 사회경제 경로 2이고 복사강제력이 4.5W/m²인 시나리오라는 의미입니다.

  • SSP1-1.9 : 2100년에 기온상승폭이 1850-1900년 대비 1.5도 이하로 억제되는 시나리오. 21세기 중반에 산업화이전 시기 대비 기온상승폭 1.5도를 약간 벗어나고 이산화탄소 넷제로 배출을 달성하는 시나리오.
  • SSP1-2.6 : 21세기 하반기에 이산화탄소 넷제로 배출을 달성하고 기온상승폭은 2도 이하로 유지하는 시나리오.
  • SSP2-4.5 : 파리협정에서 약속한 기온상승폭의 위쪽 끝에 해당. 21세기 말에 기온상승폭이 2.7도(2.1~3.5도 범위)에 달한다.
  • SSP3-7.0 : 기후 정책이 없으며 기온상승폭이 중간 이상인 시나리오. 특히 CO2 이외 온실가스와 에어로졸 배출량이 높은 경우. 세기말 기온상승폭은 3.6도(2.8~4.6도 범위).
  • SSP5-8.5 : 기후 정책이 없으며 기온상승폭이 가장 높은 시나리오. 배출량이 이 시나리오만큼 높은 경우는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공통 사회경제 경로에서만 나타난다. 세기말 기온상승폭은 4.4도(3.3~5.7도 범위)
[그림 22] 다섯 개의 핵심 시나리오별 지구표면 온도 상승 곡선 비교. 1850-1900년 대비. (출처 : CarbonBrief. Source: IPCC (2021) Figure SPM.8a.)

요약, 정리 : 황승미 (녹색아카데미)

의견 등은 이곳에 댓글로 남겨주시거나 녹색아카데미 페이스북 그룹트위터인스타그램 등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철학 세미나 게시판과 공부모임 게시판에서도 글을 쓰실 수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