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하인버그의 POWER (2021) 발췌글 : 6장 power의 한계: 죽음, 멸종, 붕괴

리처드 하인버그(Richard Heinberg)는 널리 알려진 에너지전환 및 석유정점 연구자이자 생태적 삶을 실천하는 운동가입니다. 『파티는 끝났다 : 석유시대의 종말과 현대 문명의 미래』(2006, 시공사) [The Party’s Over: Oil, War and the Fate of Industrial Societies (New Society, 2003)]라는 책으로 잘 알려져 있죠. 그의 많은 책 가운데 최근작인 Power: Limits and Prospects for Human Survival (New Society, 2021) 역시 매우 중요한 저작일 거라 생각하는데 마침 생태적 문명전환을 주제로 하는 잡지 『소생(resilience)』이 책의 내용을 축약해 소개하는 발췌글이 연재되어 있어서 이 글을 번역해 소개합니다. 저나 다른 분들이 직접 책을 쥐어들게 하는 계기가 되면 좋겠습니다.
한 가지 미리 양해를 구할 점은 핵심 개념인 ‘power’를 당분간 번역하지 않고 그대로 옮기려 한다는 점입니다. Power는 일상적으로 다양한 맥락에서 흔하게 쓰는 말이지만 물리학에서는 ‘일률’로 명확하게 정의되고 있습니다. 이 의미를 연장하여 공학에서는 ‘동력’이나 ‘출력’이라는 말로 주로 옮깁니다. 하지만 정치, 경제, 사회적 맥락에서는 ‘권력’이 더 어울립니다. 원래 power가 다양한 맥락에서 여러 가지 의미로 쓰이고 있다고 보면 여러 가지 용어를 쓰는 데 별 문제가 없겠지만 하인버그는 이 책에서 power를 일관된 맥락 위에서 통합적으로 보려고 하기 때문에 단일한 용어를 찾아야 하리라 봅니다. 하지만 아직 이해가 짧아서 당분간 영문 그대로 두고 나머지만 옮기려고 합니다. Power 뿐만 아니라 이 용어의 활용형도 당분간 그대로 두겠습니다. 불편하시더라도 양해해주시고, 좋은 제안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번역 : 황승미 (녹색아카데미)

이 글은 리처드 하인버그의 2021년 작 『Power: 인간 생존의 한계와 가망』 중 저자가 직접 발췌·요약한 글 중 “6장 power의 한계 : 죽음, 멸종, 붕괴(Involuntary Power Limits: Death, Extinction, Collapse)”을 번역한 것입니다. 원문은 아래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가독성을 위해 의역한 부분이 많으니 정확한 내용은 원문을 확인해주세요.

원문 보기 : “Power: Chapter 6. Involuntary Power Limits: Death, Extinction, Collapse.” by Richard Heinberg in Resilience, August 18, 2022.


리처드 하인버그의 POWER (2021) 발췌글 : 머리말 바로 가기

리처드 하인버그의 POWER (2021) 발췌글 : 1장 자연의 power 바로 가기

리처드 하인버그의 POWER (2021) 발췌글 : 2장 홍적세의 Power

리처드 하인버그의 POWER (2021) 발췌글 : 3장 현세의 Power

리처드 하인버그의 POWER (2021) 발췌글 : 4장 인류세의 Power

리처드 하인버그의 POWER (2021) 발췌글 : 5장 power 과잉과 남용: 우리가 만들어낸 엉망진창


모든 유기체는 자신이 가진 모든 power의 궁극적인 실존적 한계에 직면하게 된다. 바로 죽음이라는 형태의 한계이다. 죽음이라는 생각 자체는 두렵고 우울할 수 있다. 죽고 나면 한 특정한 개체가 인식하고 느끼고 행동해온 전체 우주가 영원히 사라진다. 생각만 해도 너무나 끔찍한 이런 일을 왜 피할 수 없는 것일까?

죽음에 대한 답은 진화에 있으며 이는 어렵지 않게 알 수 있다. 원리상 유기체가 영원히 살도록 진화하지 못할 이유는 없다. 실제로 몇몇 유기체는 거의 불멸한다. 박테리아 데이노콕쿠스 라디오두란스(Deinococcus radiodurans)는 강력한 방사능, 극심한 추위, 강산성 하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그리고 물에서 살고 다리가 여덟개이고 몸이 분절된 미세동물 문인  완보동물(tardigrade. 곰벌레, 물곰이라고도 한다.)은 물이 없어도, 높은 열에도, 심지어 우주 진공에서도 살 수 있다. 이들은 다섯 번의 대멸종에서도 모두 살아남았다.

그러나 불멸(혹은 거의 불멸)하기 위해서 유기체는 움직이고 지각할 수 있는 power를 극도로 제한해야 하며, 아마도 몸을 아주 작게 유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더 크고 더 정교한 유기체는 시간이 지나면서 필연적으로 자신의 조직 내에 손상을 축적할 수 밖에 없다. DNA는 환경 내의 자연적인(혹은 인간이 만든) 화학물질이나 우주선(cosmic radiation) 혹은 복제 중에 발생하는 오류 등으로 발생하는 여러 손상을 견뎌낸다. 세포는 때때로 정확하지 않게 나뉘어질 수 있고, 단백질도 잘못 접힐 수 있으며, 유기체는 질병이나 상처로 죽을 수 있다.

(손상에 대한) 자연의 전략은 세포나 유기체들이 궁극적으로는 죽게 만드는 것이며, 이렇게 함으로써 자신의 대체물에게 존재할 수 있는 기회를 넘겨준다. 이 모든 유기체들이 불멸하는 동시에 재생산할 수 있게 된다면, 이들은 모든 가용 먹이 자원을 소모하고 새로운 유기체들을 위한 공간이 하나도 남아있지 않을 때까지 번식하고 축적되어갈 것이다.

한 종의 멸종은 그 집단이 사멸하는 것이며, 하나의 생존 방식 전체가 사라지는 것이다. 어떤 종들은 아주 오랜 시간 동안 살아남기도 한다. 남세균(cyanobacteria)은 18억 년 동안, 투구게(horseshoe crabs)는 4억 5천만 년 동안 지구에 존재해오고 있다. 그러나 포유류 종들은 평균 백만~천만 년 정도 지속할 뿐이다. 멸종, 특히 대량 멸종은 새로운 생명 형태가 진화할 수 있도록 길을 닦아주는 것 같기는 하지만, 진화에서 멸종의 정확한 역할이 무엇인지는 여전히 연구 중이다. 확실히 말할 수 있는 것은, 우리 같은 온혈동물 종들은 우리 인류가 지구에서 살아온 시간의 겨우 몇 배 정도만 지속할 수 있으리라는 사실이다.

또 다른 자연적 power의 한계는 포식(predation)에 의해 지어진다. 자연은 먹이망이라는 씨줄과 날줄로 만들어지는 포식자-먹이 관계를 통해 개체군의 수를 억제한다.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와 같이 아주 작은 포식자들을 포함해 여러 포식자들은 먹이가 되는 종의 개체군이 커지지 않게 제한한다. 그러나 먹이 종 개체군의 크기가 작아질 경우(과잉 포식 등 여러 이유로 인해) 포식자 종의 개체군의 크기도 감소할 수 있다. 먹이 종과 포식자 종의 개체군 크기는 사이클을 이루는데, 일반적으로 포식자 종 개체군 크기의 최대치는 먹이 종 개체군이 최대 크기가 된 이후에 나타난다.

[그림 6-1] 토끼(hare)와 스라소니(lynx) 개체군 크기의 시간에 따른 변화. 먹이인 토끼의 개체군 크기가 피크를 이룬 후 스라소니 개체군 크기의 피크가 나타나고, 각 개체군은 최대 크기가 된 후에 급격히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사이클을 이루고 있다. (포식자/먹이 동역학. 유진 오덤의 『Fundermantals of Ecology』(W. B. Saunders, 1959)의 유명한 그림을 바탕으로 만듦. 출처 : Resilience.orgCanadian data available at http://people.whitman.edu/~hundledr/courses/M250F03/M250.html.)

개체군생태학에서 사용  되는 몇 가지 개념을 소개하기 위해 들쥐(the field mouse or vole)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어느 곳이든 들쥐의 개체수는 먹이(일반적으로 작은 식물)가 얼마나 풍부하냐에 따라 달라지는데, 식물의 성장은 기후와 날씨에 달려 있다. 한 지역의 들쥐 개체군 크기는 들쥐를 먹이로 하는 포식자의 수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여우, 너구리, 매, 뱀 등이 들쥐 포식자이다.

비가 많은 해에는 식물이 잘 성장할 것이고, 그러면 일시적으로 그 지역의 들쥐 수용 능력(carrying capacity)이 높아질 것이며 들쥐 개체군이 커질 것이다.  이런 식으로 개체군이 계속 증가하다 보면, 다음 해에 비가 보통 수준으로 내릴 경우 그 지역이 수용할 수 있는 크기 이상으로 개체군 크기가 커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개체군 내 개체들이 하나씩 하나씩 죽을 수 있다.

한편 들쥐 개체군이 더 큰 시기 동안에는 포식자 개체군(예를 들어 여우 같은)도 이 늘어난 먹이 자원을 이용하여 더 커질 수 있다. 그러나 들쥐가 사라지기 시작하면 커진 여우 개체군도 더 이상 지탱할 수 없어진다. 시간에 따라 들쥐 개체군과 여우 개체군의 크기는 (지역의) ‘수용 능력 초과 – 사망으로 인한 감소’ 순환을 이루다가, 다시 강수나 온도의 장기적인 패턴과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조정된다.

우리 인류는 아주 오래 전에 대형 포식자들 대부분을 죽여서 사라지게 했다. 종종 크로커다일(crocodile)이나 엘리게이터(alligator)같은 악어나 마운틴 라이언(퓨마), 곰 혹은 호랑이에게 사람들이 잡혀 먹히는 일이 여전히 있지만, 이런 경우는 극히 드물다.

아주 작은 포식자의 경우는 또 다른 이야기다. 인류 역사를 거치면서 유행성 감염병은 자주 발생했고 치명적이었다. 중세 시대에 발생했던 흑사병은 전세계 인구 성장률을 일시적으로 감소시켰고, 1918년 인플루엔자로 당시 전세계 인구의 3~5퍼센트가 사망했다. 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 세계는 여전히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과 싸우고 있다. 공공 보건 전문가들은 앞으로 훨씬 더 심각한 팬데믹이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을 우리가 만들고 있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개체군 생태학의 원리들은 다른 유기체들과 마찬가지로 사람에게도 적용된다. 우리는 농업을 통해 그리고 식량 생산(트랙터, 질소 비료 등)과 운송(어떤 자원이 풍부한 곳에서 희소한 곳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더 많은 사람들을 부양할 수 있다)에 화석연료를 사용함으로써 지구의 수용 능력을 증가시켜왔다.

오늘날 우리는 확실히 지구 수용 능력을 초과했다. 화석연료는 유한한 자원이고, 화석연료를 다른 것으로 대체하기 어렵고, 표층토를 고갈시키고 있고, 기타 필수적인 자연 자원 또한 고갈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정말로 초과 상태에 있다고 한다면, 인류가 죽어서 사라지게 되는 일을 피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해야만 한다.


POWER』 팟캐스트

『Power』 podcast 1~9 with the author Richard Heinberg. Resilience.

링크로 가시면 팟캐스트를 들으실 수 있습니다. 책 『Power』의 각 챕터별 내용으로 진행자 2~3명과 저자가 이야기를 나누는 팟캐스트입니다. 스크립트도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