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하인버그의 POWER (2021) 발췌글 : 1장 자연의 Power

리처드 하인버그(Richard Heinberg)는 널리 알려진 에너지전환 및 석유정점 연구자이자 생태적 삶을 실천하는 운동가입니다. 『파티는 끝났다 : 석유시대의 종말과 현대 문명의 미래』(2006, 시공사) [The Party’s Over: Oil, War and the Fate of Industrial Societies (New Society, 2003)]라는 책으로 잘 알려져 있죠. 그의 많은 책 가운데 최근작인 Power: Limits and Prospects for Human Survival (New Society, 2021) 역시 매우 중요한 저작일 거라 생각하는데 마침 생태적 문명전환을 주제로 하는 잡지 『소생(resilience)』이 책의 내용을 축약해 소개하는 발췌글이 연재되어 있어서 이 글을 번역해 소개합니다. 저나 다른 분들이 직접 책을 쥐어들게 하는 계기가 되면 좋겠습니다.
한 가지 미리 양해를 구할 점은 핵심 개념인 ‘power’를 당분간 번역하지 않고 그대로 옮기려 한다는 점입니다. Power는 일상적으로 다양한 맥락에서 흔하게 쓰는 말이지만 물리학에서는 ‘일률’로 명확하게 정의되고 있습니다. 이 의미를 연장하여 공학에서는 ‘동력’이나 ‘출력’이라는 말로 주로 옮깁니다. 하지만 정치, 경제, 사회적 맥락에서는 ‘권력’이 더 어울립니다. 원래 power가 다양한 맥락에서 여러 가지 의미로 쓰이고 있다고 보면 여러 가지 용어를 쓰는 데 별 문제가 없겠지만 하인버그는 이 책에서 power를 일관된 맥락 위에서 통합적으로 보려고 하기 때문에 단일한 용어를 찾아야 하리라 봅니다. 하지만 아직 이해가 짧아서 당분간 영문 그대로 두고 나머지만 옮기려고 합니다. Power 뿐만 아니라 이 용어의 활용형도 당분간 그대로 두겠습니다. 불편하시더라도 양해해주시고, 좋은 제안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번역 : 황승미 (녹색아카데미)

이 글은 리처드 하인버그의 2021년 작 『Power: 인간 생존의 한계와 가망』 중 저자가 직접 발췌·요약한 글을 우리말로 옮긴 것입니다. 다음은 “1장 자연의 power”(Power in Nature)의 발췌글입니다. 원문은 아래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가독성을 위해 의역한 부분이 많으니 정확한 내용은 원문을 확인해주세요.

Power: Chapter 1. Power in Nature by Richard Heinberg in Resilience, Mar. 30, 2022.

리처드 하인버그의 POWER (2021) 발췌글 : 머리말 바로 가기

1장 자연의 power

스페셜리스트 혹은 제너럴리스트가 됨으로써 얻는 power 

전문화된 종(specialist species; 이하 전문 종)은 특정한 환경 내에서 특정한 유형의 먹이를 이용하면 할수록 더 잘 이용하게 된다. 가장 유명한 예를 들자면, 다윈이 1836년 갈라파고스 섬에 도착했을 때 발견한 핀치 새 15종일 것이다. 이 새들은 모두 부리가 다르게 진화해서 그 섬에서 얻을 수 있는 특정한 종류의 씨앗을 여는 데 특화되어 있었다.

[그림 1] 다윈의 핀치. 1.큰땅핀치(Geospiza magnirostris), 2.중간땅핀치(Geospiza fortis), 3.작은나무핀치(Geospiza parvula, 지금은 Camarhynchus parvulus로 분류), 4. 솔새핀치(Certhidea olivacea) (출처 : wikipedia위키백과)

일반적인 종(generalist species; 이하 일반 종)은 여러 가지 먹이를 먹을 수 있지만, 어떤 먹이에도 특화되어 있지 않다. 인간, 소, 바퀴벌레, 쥐, 그리고 너구리 같은 종은 모두 일반 종이다. 이들은 아주 다양한 종의 동식물 먹이를 먹을 수 있다.

전문 종은 어떤 목표 먹이를 이용하려고 드는 다른 대부분의 종들을 이길 수 있을 만한 유리한 점을 가지고 있다. 전문 종이 가질 수 있는 위험은 선호하는 먹이 자원이 갑자기 희소해질 경우 다른 먹이에 적응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다. 일반 종은 어떠한 자원에도 더 특화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이들은 더 광범위한 자원을 이용할 수 있어서, 다양하고 예측불가능한 혹은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전문 종보다 일반 종이 더 적지만, 어떤 일반 종(까마귀나 쥐 같은)은 개체수가 많고 널리 퍼져 있다. 호모 사피엔스 같은 일반 종은 특히 개체수가 많아졌고 넓은 지역에 퍼져 집단을 이루어 살며 강력해졌다. 이어질 세 개의 장에서 그 이유를 살펴볼 것이다.

협력으로 얻는 power

진화는 격렬한 경쟁 뿐만 아니라 (아마도 더) 협력에 의해 작동한다. 역설적이게도 협력하는 방법을 개발한 유기체들이 경쟁 우위를 가지게 되는 경우가 많다. 많은 개체들이 같이 일 함으로써 혼자 할 때보다 더 강력해질 수 있다.

자연은 협력 사례를 수도 없이 보여 준다. 사실 협력이 없다면 다세포 유기체도 있을 수 없다. 진핵생물이 고대에 어떻게 다른 두 종류의 세포 공생으로 만들어졌는지 우리는 이미 봐왔다.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를 가지고 있는 녹색 식물은 이중 공생자이다.

거시적으로 볼 때, 동일한 종 내 개체들 사이의 협력은 개미, 꿀벌, “무리”를 짓는 어류(청어처럼), 프레리 도그, 개과, 여러 종의 새들, 그리고 영장류가 있다. (이들은 종내 협력을 하는 종들의 일부에 불과하다.)

서로 다른 종들에 속하는 개체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협력 또한 흔하다. 수많은 꽃 식물 종들은 특정한 꽃가루 매개지와의 협력 관계를 진화 과정에서 만들어왔다. 이 관계를 통해 쌍방이 이익을 얻는다.

때때로 더 작은 동물들이 더 큰 동물들과 협력 관계를 만들어낸다. 예를 들면 청소부 물고기(청줄청소놀래기(cleaner wrasses), 네온 고비(neon goby; Elacatinus), 그리고 몇몇 메기 종)는 더 큰 물고기들의 죽은 피부나 기생충을 먹는데, 큰 물고기들이 작은 물고기를 쉽게 잡아먹을 수 있지만 그러지 않는다.

극도로 협력하게 되면 극도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문명화된 인류가 나타나기 전까지 지구상에서 가장 협력적이었던 유기체 개미는 진화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그룹이며, 곤충 전체 생물량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인류는 대단히 협력적이기 때문에 한 개인으로서는 놀라울 정도로 전문화할 수 있다. 그래서 호모 사피엔스는 자연에서는 보기 드물게 일반 종으로서의 이득도 취하고 전문 종으로서의 이득도 취할 수 있다.

도구를 이용해 얻는 power

동물과 식물은 특정한 목적에 맞게 자신의 일부를 개발해 상당한 power를 얻고 발휘한다. 예를 들어 바람의 흐름을 타고 솟구쳐 오르는 데 이상적인 날개라든가, 나무가지를 타기에 완벽한 꼬리라든가. 도구가 무엇인지 이해하는 한 가지 방법은 그 도구들이 몸에서 떼어낼 수 있는지 보는 것이다. 도구는 조직의 일부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대체하거나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유기체는 다양한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수십 년 전까지 과학자들 대부분은 인간만이 도구를 만들고 사용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런 태도는 점점 바뀌어왔다. 연구자들은 처음에는 영장류가 도구를 사용하는지 알아보려고 했다. 예를 들어 침팬지는 개미를 사냥하는데 꼭 맞는 특수한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도구를 사용하는 동물로 영장류(nonhuman primates)가 가장 좋은 예는 아닐 것이다.

까마귀는 잔가지를 개조하고 자신의 깃털을 도구로 사용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 샤크 만(Shark Bay)의 병코돌고래(bottlenose dolphins)는 먹이를 찾기 위해 부리에 해면동물을 물고 다니면서 해저 모래를 들쑤신다. 병코돌고래는 다른 어떤 동물들보다 더 많이 도구를 이용해 사냥을 한다. 투망거미(net-casting spider)는 작은 망을 짜서 앞 다리에 붙인 다음 먹이를 기다린다. 먹이감이 오면 거미줄망을 던져 감싼 다음 물어서 마비시킨다. 포유동물들도 이와 거의 비슷한 방식으로 도구를 만들고 사용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그림 2] 투망을 짜는 투망거미. image : Mike Gray. (출처 : Australian Museum

전문화의 장단점

살펴본 바와 같이, 유기체는 놀라운 능력들을 개발해왔다. 모든 유기체가 다방면으로 유능한 것은 아닌 이유는 무엇일까? 어떤 한 가지를 정말 잘 하게 되면 그것이 다른 것을 할 능력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좀 더 정식으로 표현해보자면, 어떤 주어진 특성을 극단적으로 표출하는 것은 어떤 식으로든 적응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것이다. 기린은 긴 목을 이용해 나뭇잎을 뜯어먹을 수 있지만, 물을 먹으려고 머리를 숙일 때는 포식자에 대처하기 매우 취약해질 수 있다.

세균은 돌연변이를 만들어 항생제에 대해 저항할 수 있지만, 항생제가 없는 환경에서는 약해질 수 있다. 박쥐는 특정한 진동수의 소리를 대단히 정확하게 들을 수 있다. 그러나 만일 매의 시력, 살모사의 적외선 감지 능력, 자외선을 볼 수 있는 새의 능력까지 동시에 가지고 있다면 박쥐의 뇌는 아주 커야할 것이고 자극을 너무 많이 받아 뇌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극도로 전문화됨으로써 얻는 이익이 비용보다 크고 유기체가 생존해 자손을 낳을 수 있다면 그 능력은 보존될 것이다. 만일 비용이 이익보다 더 크다면, 진화는 전문화하지 않는 쪽으로 가거나 그 조직이 사라지고 (다른 방향으로) 진화가 계속 진행될 것이다.

이런 이야기들은 인류가 가진 전문화된 power(극도의 지능, 고도로 발달된 소통 능력, 도구를 능숙하게 사용하는 능력)에 부정적인 측면이 있을 수 있음을 말해준다. 우리 인류는 이런 특성이 주는 이점들을 과장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감춰진 비용을 찾아 알아보는 것은 언제나 중요하다. 이러한 진화적인 차원의 비용에 대해서는 뒷 장에서 상세하게 다룰 것이다. 

*이 글은 저널 「Resilience」에 게재된 리처드 하인버그의 책 『Power: Limits and Prospects for Human Survival』(2021)의 발췌 글(2022. 3. 30.)을 번역한 것입니다. 가독성을 위해 의역한 부분이 많으니, 정확한 내용은 링크로 가셔서 원문을 확인해주세요.

『Power』 podcast 1~9 with the author Richard Heinberg. Resilience. (링크로 가시면 팟캐스트를 들으실 수 있습니다. 책 『Power』의 각 챕터별 내용을 가지고 진행자 2~3명과 저자가 이야기를 나누는 팟캐스트입니다. 스크립트도 있습니다.)

4 댓글

  1. hyeonju

    잘 읽었습니다 ^^

    중간에 ‘살무사’아니고 ‘살모사’에요
    난태생으로 태어나다보니 옛날에는 새끼들이 엄마를 죽인다고 생각했나봐요.
    그래서 무시무시한 이름을 갖게 되었어요.

    • neomay33 글쓴이

      그렇군요! 위키도 그렇고 살무사로 돼 있는 곳이 많네요. 사전을 찾아보니 원래 살모사인데 살무사를 많이 써서 살무사도 인정해주는 걸로 바뀐 것 같습니다. 그래도 살모사로 바꿨어요. 왠지 살무사가 더 무서운 느낌… ^^;

  2. kyeongaelim

    아 재밌습니다~~
    인간은 스펠셜한 제너럴리스트였군요.
    또 스페셜한 측면이 과도해지면 반작용으로 제너럴한 측면이 약해지겠고… 책의 후반이 궁금해집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