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하인버그의 POWER (2021) 발췌글 : 5장 power 과잉과 남용: 우리가 만들어낸 엉망진창

리처드 하인버그(Richard Heinberg)는 널리 알려진 에너지전환 및 석유정점 연구자이자 생태적 삶을 실천하는 운동가입니다. 『파티는 끝났다 : 석유시대의 종말과 현대 문명의 미래』(2006, 시공사) [The Party’s Over: Oil, War and the Fate of Industrial Societies (New Society, 2003)]라는 책으로 잘 알려져 있죠. 그의 많은 책 가운데 최근작인 Power: Limits and Prospects for Human Survival (New Society, 2021) 역시 매우 중요한 저작일 거라 생각하는데 마침 생태적 문명전환을 주제로 하는 잡지 『소생(resilience)』이 책의 내용을 축약해 소개하는 발췌글이 연재되어 있어서 이 글을 번역해 소개합니다. 저나 다른 분들이 직접 책을 쥐어들게 하는 계기가 되면 좋겠습니다.
한 가지 미리 양해를 구할 점은 핵심 개념인 ‘power’를 당분간 번역하지 않고 그대로 옮기려 한다는 점입니다. Power는 일상적으로 다양한 맥락에서 흔하게 쓰는 말이지만 물리학에서는 ‘일률’로 명확하게 정의되고 있습니다. 이 의미를 연장하여 공학에서는 ‘동력’이나 ‘출력’이라는 말로 주로 옮깁니다. 하지만 정치, 경제, 사회적 맥락에서는 ‘권력’이 더 어울립니다. 원래 power가 다양한 맥락에서 여러 가지 의미로 쓰이고 있다고 보면 여러 가지 용어를 쓰는 데 별 문제가 없겠지만 하인버그는 이 책에서 power를 일관된 맥락 위에서 통합적으로 보려고 하기 때문에 단일한 용어를 찾아야 하리라 봅니다. 하지만 아직 이해가 짧아서 당분간 영문 그대로 두고 나머지만 옮기려고 합니다. Power 뿐만 아니라 이 용어의 활용형도 당분간 그대로 두겠습니다. 불편하시더라도 양해해주시고, 좋은 제안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번역 : 황승미 (녹색아카데미)

이 글은 리처드 하인버그의 2021년 작 『Power: 인간 생존의 한계와 가망』 중 저자가 직접 발췌·요약한 글 중 “5장 power 과잉과 남용 : 우리가 만들어낸 엉망진창 (Overpowered: The Fine Mess We’ve Gotten Ourselves Into)”을 번역한 것입니다. 원문은 아래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가독성을 위해 의역한 부분이 많으니 정확한 내용은 원문을 확인해주세요.

원문 보기 : “Power: Chapter 5. Overpowered: The Fine Mess We’ve Gotten Ourselves Into by Richard Heinberg in Resilience, July 15, 2022.


리처드 하인버그의 POWER (2021) 발췌글 : 머리말 바로 가기

리처드 하인버그의 POWER (2021) 발췌글 : 1장 자연의 power 바로 가기

리처드 하인버그의 POWER (2021) 발췌글 : 2장 홍적세의 Power

리처드 하인버그의 POWER (2021) 발췌글 : 3장 현세의 Power

리처드 하인버그의 POWER (2021) 발췌글 : 4장 인류세의 Power

POWER : 5장 power 과잉과 남용: 우리가 만들어낸 엉망진창

power의 나쁜 면이 있다면 그것은 power를 남용하는 것, 즉 악의를 가지고 power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문제라고 흔히 생각한다. power를 남용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임상심리학, 정치학 그리고 법학에서는 사회적 power 남용을 이해하고 해결하는 것에 대해 주로 연구한다. 그러나 이 장에서는 주로 power의 딜레마를 논할 것이다. 이는 우리가, 특히 21세기를 사는 우리가 이해해야할 중요한 문제다. 엄청난 물리적 power가 자연 시스템을 압도할 때 생기는 문제, 수직적인 사회적 power가 한 쪽으로 집중되어 개인과 인류 집단의 안녕을 위협할 때 생기는 문제를 말한다.

power 남용 문제와 소수에게 과도한 power가 부여될 때 발생하는 문제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다. 실제로, 특히 복잡한 사회일 경우 과도한 power 부여가 power 남용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그러나 power가 너무 많아서 생기는 딜레마가 사회라는 장에서만 국한되어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사람들 사이의 관계와는 거의 상관이 없는 몇 가지 사례로 설명을 해보면 적어도 원칙적으로는 이해하기 더 쉬울 수도 있겠다.

전기 기술자는 전력(power) 과부하 문제를 아주 잘 알고 있다. 전력 과부하 상태가 되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전력 과부하는 전류를 처리하기에 너무 작은 전선으로 전기가 흐를 때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물리학자도 에너지에 대해 잘 안다. 연료와 배터리는 에너지를 저장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그 에너지가 너무 빨리 방출되면 폭발이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을 아주 잘 안다.

태양으로부터 지구로 174 페타와트(10의 15제곱, 즉 1000조 와트)의 power가 끊임없이 쏟아진다. 이러한 태양의 power가 날씨를 만드는 데에 그리고 지구상의 생명에 동력을 공급한다. 우리 삶의 아름답고 즐거운 모든 것이 태양으로부터 기인한다. 그러나 가끔 이 power가 파괴적인 수준으로 지구시스템을 관통해 흐르기도 한다. 폭풍이 치면 엄청난 에너지가 빠르게 쏟아져 나온다.

내가 살고 있는 캘리포니아 소노마 카운티에 산불이 나면 수 기가와트(10의 9제곱 와트)의 power로 연소가 일어날 수 있다. 전력선, 변압기, 회로로 제어되는 전력 1기가와트면 중소 규모의 도시에 조명과 난방, 인터넷을 공급할 수 있다. 파이어 스톰(거대한 산불)으로 방출되는 1기가와트의 복사성 power는 중소 규모의 도시를 몇 시간 만에 태워버릴 수 있다.

동일한 핵심 원리가 사회적 power에도 적용된다. 사회적 power의 바탕이 되는 협력을 통해 우리는 놀라운 일들을 해낼 수 있다. 그런데 사회적 power는 정교한 경제 시스템 속을 부채나 투자같은 형태로 흘러다니면서 몇몇 소수의 사람들의 손으로 막대한 부를 집중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불필요한 빈곤 상태를 광범위하게 확대시키고 결과적으로 시민들의 소요를 불러일으키게 된다. 이런 사회적 파워가 갑자기 터져나오면 전쟁이나 대량 학살이 일어나 수백 만 명이 죽는 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 장에서 나는, 인류가 수많은 사례에서 우리 자신의 이득을 위해 너무 많은 물리적 power와 수직적 power를 축적해왔으며, 바로 그 축적된 power를 자연 시스템과 사회적 시스템에 압도적으로 사용(overpowering)하여 불필요한 고통, 인명 피해와 엄청난 규모의 생태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조건들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증거들을 제시할 것이다.

power는 꼭 있어야 한다. power가 없다면, 우리는 말 그대로 power가 없는 상태가(powerless) 될 것이다. 그런데 누군가 한 사람만이 좋은 것을 너무 많이 가질 수도 있다. power를 얼마나 가지고 있어야 충분한 것일까? 얼마나 많으면 power가 너무 많다고 할 수 있을까?

power가 얼마나 많아야 너무 많다고 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power를 사용한 결과를 평가해보는 것이다. 이때 power를 남용해서 생기는 문제와 단순히 power가 집중되거나 확산된 결과로 나타나는 문제를 잘 구분해내야 한다. 예를 들어보자면, 우리는 불을 통제하는 능력으로 수천 년동안 엄청난 이득을 얻어왔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가 하는 모든 것은 어딘가에서 일어나는 작은 불과 연관된다. 작은 공장일 수도 있고 발전소나 우리가 쓰는 자동차 엔진일 수도 있다.

기술자들은 지난 수십 년 동안 엔진과 용광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엄청나게 노력을 해왔다. 특히 인류가 일으키는 불 대부분이 일어나고 있는 산업화된 나라들(소위 선진국)에서 더 많이 노력을 해왔다. 그런데 불은 모두 필연적으로 이산화탄소를 방출한다. 이런 불 수십억 건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모두 합하면 지구상의 생명을 위태롭게 하기에 충분한 양이 된다.  불은 좋은 것이다. 그러나 너무 많으면, 우리가 영리하게 잘 제어한다 해도 아주 많이 나쁠 수 있다.(기후변화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다룰 것이다.)

이제, 인류 전체가 power를 과도하게 소유하고 남용하고 있다는 증거를 살펴보려고 한다. 남용의 증거라 함은 power가 너무 많아서 생기는 해로운 결과들이 이미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논리적인 일관성을 위해, 나는 이런 결과들이 단순히 변칙적으로 일어나는 안 좋은 일이 아님을 보이겠다. 살다보면 어려운 일들, 심지어 비극도 피할 수 없는 삶의 일부분일 수 밖에 없다. 전쟁, 기근, 불평등은 그 역사가 길다.

오늘날에는power 남용에서 무엇이 다른지 제시하겠다. 예전에 비해 훨씬 더 큰 스케일로 영향을 미치고 있고, 엄청난 수의 사람들과 어떤 경우에는 생태계 전체에 심각한 위해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이런 피해와 영향이 최근 향상된 인류의 power 때문임을 명확하게 추적할 수 있다는 사실에 촛점을 맞출 것이다. 그리고 아래 각 섹션에서는, 왜 단순히 power 남용을 폭로하고 종식시키는 것만으로는 심각해져가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없는지, 왜 특정한 인간의 power를 줄이고 억제시켜야만 하는지 그 이유를 살펴볼 것이다.

질병과 팬데믹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이 글을 쓰고 현재(2020년 하반기?), 2020년 초에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이 여전히 전세계를 휩쓸고 있다. 공중 보건 전문가들은 지난 수 년 동안 이미, 심각한 감염병이 나타날 수 있고 이것이 빠르게 전세계로 퍼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경고해왔다. 인류 문명이 야생 동식물들의 서식지를 침범해왔고 전지구적인 이동 속도가 빨라졌기 때문에 일어난 일들이다.

[그림] 인수공통 감염병이 전파되는 과정 (출처 : T. Lefrançois et al. 2022. The Lancet)

코로나 19 바이러스(SARS-CoV-2)는 감염성이 매우 크고 매년 새로 등장하는 대부분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보다 훨씬 더 치사율이 높다는 사실이 증명되었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을 늦출 수 있는 극적인 방법을 개발하지 못한다면 수 백만 명이 첫 해에(2020년) 사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여러 국가들은 감염률을 억누름으로써 의료 시스템에 과부하가 가지 않도록 하고 치료법과 백신을 개발할 시간을 벌기 위해 봉쇄 조치를 취했다. 이러한 봉쇄 조치는 감염률을 떨어뜨리는 데에는 성공했지만 세계 경제에는 재앙과 같은 영향을 미쳤다.

역학자들은 앞으로 닥칠 바이러스 팬데믹은 훨씬 더 치명적일 수 있다고 경고한다. 대부분의 새로운 질병은 인간과 비인간 동물이 접촉함으로써 발생한다. 인류 문명이 야생 지역으로 계속 확장해감에 따라, 예전에는 고립되어 있던 병원체들의 집합소에 인간이 새롭게 접촉하는 일이 더 많이 발생하게 될 것이다. 이것은 인류가 다른 생명체의 서식지를 파괴하고 그 결과가 다시 부메랑이 되어 인류의 복지도 파괴하는 여러 방식 중 하나일 뿐이다.


POWER』 팟캐스트

『Power』 podcast 1~9 with the author Richard Heinberg. Resilience.

링크로 가시면 팟캐스트를 들으실 수 있습니다. 책 『Power』의 각 챕터별 내용으로 진행자 2~3명과 저자가 이야기를 나누는 팟캐스트입니다. 스크립트도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