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하인버그의 POWER (2021) 발췌글 : 4장 인류세의 Power

리처드 하인버그(Richard Heinberg)는 널리 알려진 에너지전환 및 석유정점 연구자이자 생태적 삶을 실천하는 운동가입니다. 『파티는 끝났다 : 석유시대의 종말과 현대 문명의 미래』(2006, 시공사) [The Party’s Over: Oil, War and the Fate of Industrial Societies (New Society, 2003)]라는 책으로 잘 알려져 있죠. 그의 많은 책 가운데 최근작인 Power: Limits and Prospects for Human Survival (New Society, 2021) 역시 매우 중요한 저작일 거라 생각하는데 마침 생태적 문명전환을 주제로 하는 잡지 『소생(resilience)』이 책의 내용을 축약해 소개하는 발췌글이 연재되어 있어서 이 글을 번역해 소개합니다. 저나 다른 분들이 직접 책을 쥐어들게 하는 계기가 되면 좋겠습니다.
한 가지 미리 양해를 구할 점은 핵심 개념인 ‘power’를 당분간 번역하지 않고 그대로 옮기려 한다는 점입니다. Power는 일상적으로 다양한 맥락에서 흔하게 쓰는 말이지만 물리학에서는 ‘일률’로 명확하게 정의되고 있습니다. 이 의미를 연장하여 공학에서는 ‘동력’이나 ‘출력’이라는 말로 주로 옮깁니다. 하지만 정치, 경제, 사회적 맥락에서는 ‘권력’이 더 어울립니다. 원래 power가 다양한 맥락에서 여러 가지 의미로 쓰이고 있다고 보면 여러 가지 용어를 쓰는 데 별 문제가 없겠지만 하인버그는 이 책에서 power를 일관된 맥락 위에서 통합적으로 보려고 하기 때문에 단일한 용어를 찾아야 하리라 봅니다. 하지만 아직 이해가 짧아서 당분간 영문 그대로 두고 나머지만 옮기려고 합니다. Power 뿐만 아니라 이 용어의 활용형도 당분간 그대로 두겠습니다. 불편하시더라도 양해해주시고, 좋은 제안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번역 : 황승미 (녹색아카데미)

이 글은 리처드 하인버그의 2021년 작 『Power: 인간 생존의 한계와 가망』 중 저자가 직접 발췌·요약한 글을 우리말로 옮긴 것입니다. 다음은 “4장 인류세의 power”(Power in Anthropocene)의 발췌글입니다. 원문은 아래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가독성을 위해 의역한 부분이 많으니 정확한 내용은 원문을 확인해주세요.

원문 보기 : Power in the Anthropocene” by Richard Heinberg in Resilience, June 28, 2022.


리처드 하인버그의 POWER (2021) 발췌글 : 머리말 바로 가기

리처드 하인버그의 POWER (2021) 발췌글 : 1장 자연의 power 바로 가기

리처드 하인버그의 POWER (2021) 발췌글 : 2장 홍적세의 Power

리처드 하인버그의 POWER (2021) 발췌글 : 3장 현세의 Power

POWER : 4장 인류세의 power

초유기체 인류

1장에서 말했듯이, 인류는 초사회적(매우 사회적)이다. 이 점에서 개미나 벌과 비슷하다. 2, 3장에서는 인류가 서로 협력하는 방법을 어떻게 더 많이 개발해왔는지 살펴보았다.  언어와 복잡한 사회조직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개인들 사이의 협업을 더 원활하게 해주는 것도 살펴보았다. 문화가 진화하면서 나타난 문자, 돈, 큰 신을 섬기는 종교(Big God religions)는 우리를 더욱 더 가깝게 묶어주었다.

화석연료와 전기를 사용하면서, 그리고 이를 이용해 이동성이 높아지고 즉각적인 통신이 가능해지면서, 우리는 그야말로 인간 “벌집”이 되었다. 우리들 중 누구든 아무 가게나 들어가도, 적절한 상징적 교환권(현금이나 신용카드)만 가지고 있다면 우리는 완전히 낯선 사람과 바로 거래를 할 수 있다. 물리적인 위협을 당하게 되면 낯선 사람들이더라도 우리를 보호해주고 상처를 돌봐주고 물과 전기를 제공해줄 거라고 우리는 믿고 있다.

음식점에 들어가 자리를 잡고 앉았을 때, 혹시 우리들 중에 누군가가 적대적인 의도를 가지고 있는 건 아닌지 가게 사람들이 살펴보고 판단을 하는 데에도 별로 시간이 들지 않는다. 이런 종류의 상호작용에 대해서 우리는 이미 동의한 상태다. 수 세기 동안 수백만 개 식당에서 주인-고객으로 만나온 결과이다. 메뉴를 보고 주문을 하면 몇 분 안에 음식을 먹게 되는 것이다. 팁을 줘야 되는 경우라면 팁을 준다.

이것이 협력이다. 이것이 하나의 종으로서 우리를 집단적으로 강력하게 만들어준다. 함께 일함으로써 우리는 수백만 년에 걸쳐 저장된, 고대의 햇빛으로 만들어진 에너지를 마음대로 꺼내 쓸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된다. 우리는지구 곳곳에 흩어져 있는 수천 가지 다양한 자원들을 뽑아내고 운송하고 열적, 화학적 과정을 거치게 함으로써 변형시키고 그것들을 조립하여 엄청난 양의 소비 제품들을 만들어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우리는 수많은 방식으로 여러 상황 속에서 함께 일하기 때문에, 개개인은 몇 시간 만에 세계를 여행할 수 있다. 아주 멀리 떨어진 곳에서 일어나는 일들도 볼 수 있고, 동료와 즉시 소통할 수 있고, 컴퓨터 키 하나만 누르면 몇 시간 만에 집 문앞으로 물건이 배달된다.

그리고 우리는 우리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인식하지도 못한 채 생태계 전체를 파괴할 수도 있다. 이 정도 수준으로 이런 방식의 협력으로 만들어지는 power를 우리는 당연하게 여긴다. 인간으로서 우리가 가지고 있는 가장 큰 문제는 우리가 충분히 협력적이지 않은 것이라고 종종 생각하기도 하지만, 어쨌든 우리는 끊임없이 정쟁을 한다. 그래서 민주주의에서 뭔가를 이루어내기 힘들 때도 많다.

우리는 불평등과 자원 이용을 놓고 다투고 싸운다. 우리는 너무나 격렬하게 경쟁을 하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봤을 때는 전혀 의미 없는 경쟁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해 스포츠 팀이나 의례화된 충돌이라는 형태를 만들어내기조차 한다. 그러나 경쟁을 하고 승강이하고 다투고 충돌을 할 때조차도 우리는 고도로 협력적인 맥락 내에서 한다. 팀 안에서 우리는 서로 맞춰서 일하고 구성원들을 응원한다. 사실 평상시보다 전시에 우리는 더욱 더 협력적이 되며, “팀”을 위해 목숨까지 희생하려고 한다.

우리는 영장류에서 진화했다. 하이에나, 늑대, 까마귀나 다른 수십 개 사회적 동물들과 마찬가지로 영장류도 작은 무리를 만들어 협력하며 살았다. 그러나 수백만 년에 걸쳐 점점 조금씩 조금씩 우리는 더 크고 더 협력적인 팀을 발전시켜왔다. 이 팀은 처음에는 수백 명, 그 다음에는 수천 명, 그 다음에는 수백만 명, 그리고 이제는 놀랍도록 전문화된 수십억 명의 인간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어느 정도는 하나의 집단적인 단일체(a collective unity)로 행동하는 전지구적 팀이 되었다. 이 집단적인 단일체는 인간 초유기체를 만들어, 지구 역사상 다른 어떤 단일 유기체보다 더 강력한 power를 행사한다. 현재 인류가 초유기체라는 아이디어는 에드워드 O. 윌슨(Edward O. Wilson. 1929-2021) 같은 사회생물학자와 피터 터친(Peter Turchin. 1957-) 같은 문화진화론자들(cultural evolution theorists)이 제시한 것이다.

[그림] 초유기체 꿀벌. (그림 출처 : Wired.com)

「와이어드 매거진」(Wired Magazine) 창립자 케빈 켈리(Kevin Kelly. 1952-)는 1994년 자신의 책 『Out of Control』을 출간하면서 테크노 괴짜들 사이에 이 개념을 유행시켰다. 특히 일부 전통적인 진화론자들 사이에 회의론이 있기는 하지만, 초사회성이 초유기체를 나타나게 만든다는 것은 다음과 같은 것들을 설명해준다.

어떻게 그리고 왜 (1)개별 유기체들로 이뤄진 집단이 조율된 집단 행동을 하고, (2)집단적인 항상성을 보이고(예를 들어 집단의 경계를 만들어 방어하는 것과 같이 여러가지 매개변수를 자기조절하면서 하나의 전체로서 이 집단은 항상성을 유지한다.),  (3)개체에서는 없던 행태가 초사회가 되면서 갑자기 나타나는가(즉, 개체들끼리의 관계로부터 갑자기 나타나는 행태를 말한다. 이러한 행태는 개체들 자체에 대한 지식만으로는 예측할 수 없다.).

초유기체는 개별체들이 내리는 결정의 총합 이상이다. 사실 일단 초유기체가 나타나면, 개별체들의 결정은 집단의 요구에 의해 강요되는 경향이 있다. 전지구적인 인류 초유기체(Superorganism. 여기서 대문자 “S”를 쓴 이유는 현재 우리 종 전체를 포함하는 독립체를 나타내기 위해서다.)는 아직 한참 어리다. 우리는 지난 수만 년 동안, 특히 도시에서 낯선 사람들과 살기 시작하면서 초사회적으로 변해왔다. 

그 다음 몇 천 년 동안 국가의 가장 중요한 목표들을 이루기 위해 내부적으로 협력하면서 국가는 초유기체로 행동했다. 그러나 보편적인 인류 초유기체가 탄생한 것은 훨씬 더 최근으로, 20세기 후반의 일이다. 세계 경제가 등장하고 즉각적인 전지구적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지면서 말이다. 생물학적인 진화의 측면에서나 문화적인 진화 측면에서도 이러한 변화는 그리 오래전의 일이 전혀 아니다.

(인류) 초유기체가 가지고 있는 순수한 power는 믿기 어려울 정도다. 매년 (인류) 초유기체는 나무 70억 그루를 잘라내 써버리고, 구리 2,400만 톤과 석탄 90억 미국톤(1 short ton은 약 907kg. 90억 미국톤은 metric ton으로는 약 81.6억 톤)을 파내고, 커피 10억 톤을 생산(제조하고 마시고)한다. 자원을 채굴하고 건축물과 고속도로를 짓기 위해서, 우리 초유기체는 흙과 돌 800억 톤을 이동시킨다.

초유기체가 지구를 지배하고 있다. 인류세는 초유기체가 지배하는 시대다. 어떤 사람들은 초유기체의 power가 그저 80억 인간들의 power를 합한 것일 뿐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초유기체가 존재할 수 있도록 하는 조율과 협력이 없었다면 80억 명이나 되는 인간은 존재할 수 없었을 것이다. 또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았던 과거의 인간 개개인은 오늘날의 인간보다 일인당 power를 훨씬 적게 행사했을 것이다.

어떤 면에서는 초유기체가 단순한 개념 혹은 은유에 불과할 수도 있다. 그러나 만약 우리 종이 21세기에 살아남고자 한다면 이것은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우리가 이해하고 파악해야 할 매우 중요한 현실을 초유기체라는 개념이 가리키고 있기 때문이다.


POWER』 팟캐스트

『Power』 podcast 1~9 with the author Richard Heinberg. Resilience.

링크로 가시면 팟캐스트를 들으실 수 있습니다. 책 『Power』의 각 챕터별 내용으로 진행자 2~3명과 저자가 이야기를 나누는 팟캐스트입니다. 스크립트도 있습니다.

1 댓글

  1. kyeongaelim

    인류는 초유기체가 되었다!! 전적으로 동의하진 않지만 매우 공감!!
    여기서 인류 초유기체에 속해있는 ‘나’의 역할은 뭘까?하는 물음이 생긴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