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 행사] 양자·정보·생명 연구회 – Ontological Revision and Quantum Mechanics
장회익 선생님과 최무영 선생님(서울대 물리학과)의 공저 논문이 2022년 2월호 Results in Physics에 실렸습니다.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4장에 담겨 있는 양자역학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더 상세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이 논문에 대한 […]
2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기후위기 시대의 ‘좋은 집’
2022년 2월 모임에서는 최우석이 구상하고 있는 '좋은 집'에 책의 내용이 무엇인지 들어보려고 합니다.

2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기후위기 시대의 ‘좋은 집’
녹색문명공부모임 Zoom 모임 공간2022년 2월 녹색문명공부모임에서는 기후위기 시대의 '좋은 집'이라는 교양서적 구상에 대해 들어봅니다.

새 자연철학 세미나 12회 – 상대성이론 4 : 4차원 시공간의 결과와 일반상대성이론
2월 17일 세미나에서는 4차원 시공간 바탕관념이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지, 그리고 예측적 앎의 바탕 구도 전체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또한 그 뒤의 일반상대성이론에 대해서도 핵심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새 자연철학 세미나 몸풀기 모임 12-1회 – 상대성이론 4 : 4차원 시공간의 결과와 일반상대성이론
새 자연철학 세미나 Zoom 모임 공간새 자연철학 세미나 몸풀기 모임은 본 모임 한 주 전에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를 읽어나가기 버거운 분들과 그 골자를 파악하기 어려운 분들만 따로 모여서 시시콜콜 묻고 답하면서 본 모임을 준비하는 장입니다. 2월 24일에는 심학 제3도 중심으로 공부합니다.

새 자연철학 세미나 13회 – 양자역학 1 : 역사 지평과 겹실틈 실험
새 자연철학 세미나 Zoom 모임 공간양자역학을 공부하는 첫 시간에는 제4장 중 과 부분을 읽고 이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겠습니다. 겹실틈 실험(및 '상호작용-결여' 측정)이 말하는 바를 어떻게 이해할지 하는 점이 양자역학 이해의 요체라 할 수 있겠는데 양자역학이 성립하기까지의 역사적인 전개 과정과 중요한 쟁점들을 이해하는 데 논의를 맞추어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새 자연철학 세미나 몸풀기 모임 14-0회 – 양자역학 2 : 양자역학의 ‘상태’
3월 10일의 몸풀기 모임에서는 제4장의 중 앞 부분을 읽겠습니다. 211쪽부터 214쪽에서는 양자역학의 '상태' 개념을 개괄적으로 논하고, 이어 214쪽부터 216쪽까지의 "'상태'의 함수적 성격과 맞-공간" 부분에서는 '상태함수'에 대해 이야기를 합니다. 이 부분을 함께 읽으면서 양자역학의 '상태' 개념과 그 아래의 존재론적 가정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될 듯 합니다.

3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파랑새는 가까이 있다 : 내가 지역에 터잡기까지의 이야기
녹색문명공부모임 Zoom 모임 공간2022년 3월 녹색문명공부모임에서는 최근 아주 오랜만에 모임에 다시 합류하신 우리 모임 김*정님이 지역에 자리를 잡기까지의 이야기를 들어보려고 합니다. 거의 십몇 년만에 다시 만나게 된 김*정님이 그간 어떤 활동과 고민을 해오셨는지 들으면서 많은 문제들을 함께 생각해볼 수 있을 것 같네요.

새 자연철학 세미나 14회 – 양자역학 2 : 양자역학의 ‘상태’
3월 17일의 새 자연철학 세미나 본 모임에서는 양자역학의 '상태' 개념에 대해 주로 이야기를 나눌 예정입니다. 고전역학의 '상태' 개념에 전제되었던 존재론적 가정을 확인하고, 이를 혁신하기 위해 새 자연철학이 도입하고 있는 새로운 존재론적 가정과 그 핵심이 되는 '성향'과 '변별체' 등의 개념에 대해 주로 논의가 집중될 듯 합니다.

새 자연철학 세미나 몸풀기 모임 15-0회 – 양자역학 3 : 양자역학의 존재론과 새 공리 체계
새 자연철학 세미나 Zoom 모임 공간3월 24일 몸풀기 모임에서는 제4장 양자역학의 내용정리 부분의 217쪽부터 읽기를 이어갑니다. "양자역학의 기본 공리"절(pp.217-221)에서는 공리 1, 2, 3을 이해해보고, "상태 변화의 원리, 슈뢰딩거 방정식"절(pp.221-229)로 접어들어서는 양자역학의 변화의 원리인 슈뢰딩거 방정식을 접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