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메뉴
  • 환경
    • 환경 뉴스
    • 환경 칼럼
  • 에너지전환
    • 에너지전환 뉴스
    • 에너지전환 칼럼
  • 과학·학술
    • 과학·학술 뉴스
    • 과학·학술 칼럼
    • 지속가능성 개념어 사전
  • 장회익의 자연철학
    • 자연철학 이야기 대담
    • 책
    • 논문
    • 칼럼, 강의, 강연
  • 공부모임
    • 녹색문명공부모임
    • 새 자연철학 세미나
  • 게시판
    • 새 자연철학세미나 게시판
    • 녹색문명공부모임 게시판
    • 녹색 책/영화클럽 게시판
    • 뉴스레터
  • 일정
  • Log In
    • Register
  • 검색
  • 환경
    • 환경 뉴스
    • 환경 칼럼
  • 에너지전환
    • 에너지전환 뉴스
    • 에너지전환 칼럼
  • 과학·학술
    • 과학·학술 뉴스
    • 과학·학술 칼럼
    • 지속가능성 개념어 사전
  • 장회익의 자연철학
    • 자연철학 이야기 대담
    • 책
    • 논문
    • 칼럼, 강의, 강연
  • 공부모임
    • 녹색문명공부모임
    • 새 자연철학 세미나
  • 게시판
    • 새 자연철학세미나 게시판
    • 녹색문명공부모임 게시판
    • 녹색 책/영화클럽 게시판
    • 뉴스레터
  • 일정
  • Log In
    • Register

녹색아카데미

더 나은 앎으로 푸른 미래를 가꾸는 사람들의 공부모임

10 일정을(를) 찾았습니다.

일정표 검색 및 보기 탐색

이벤트 뷰 탐색

  • 목록
  • 월
  • 일
오늘

11월 2021

목 25
2021년 11월 25일 8:30 오후 - 10:30 오후 KST

‘새 자연철학’ 세미나 6회 – 고전역학 1 : 넓게 이해하기

새 자연철학 세미나 여섯 번째 모임에서는 고전역학을 넓게 이해해보려고 합니다.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제2장 고전역학 부분을 읽고 질문을 해주세요.

12월 2021

목 9
2021년 12월 9일 8:30 오후 - 10:30 오후 KST

‘새 자연철학’ 세미나 7회 – 고전역학 2 : 깊게 이해하기

새 자연철학 세미나 일곱 번째 모임에서는 고전역학을 깊게 이해해보려고 합니다.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제2장 고전역학 부분을 읽고 질문을 해주세요.

토 11
2021년 12월 11일 3:00 오후 - 5:30 오후 KST

12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길·둑·다리 햇빛발전소 제안은 왜 받아들여지지 않았을까?

12월 녹색문명공부모임에서는 우리 모임 최우석님이 녹색아카데미 웹진에 쓰고 있는 "지역 그린뉴딜 제안 공모전 낙선기"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어떻게 건물과 인공 건조물에 햇빛발전소를 늘려 갈지 함께 고민을 해보겠습니다.

목 23
2021년 12월 23일 8:30 오후 - 10:30 오후 KST

‘새 자연철학’ 세미나 8회 – 고전역학 3 : 간단한 계산해보기

12월 23일 새 자연철학 세미나 여덟 번째 모임에서는 최초의 보편적 앎의 틀을 갖춘 고전역학을 실감해볼 수 있는 몇 가지 간단한 계산을 따라가보겠습니다. 수학적 계산에 어려움을 느끼는 분들만 모여서 계산 연습을 해보는 시간입니다.

1월 2022

목 6
2022년 1월 6일 8:30 오후 - 10:30 오후 KST

‘새 자연철학’ 세미나 9회 – 상대성이론 1 : 넓게 이해하기

새 자연철학 세미나 Zoom 모임 공간

1월 6일의 아홉 번째 모임에서는 제3장의 상대성이론을 공부합니다. 첫 시간에는 4차원 시공간 바탕관념을 이해하는 데에 주로 힘을 쏟아 보겠습니다.

토 8
2022년 1월 8일 3:00 오후 - 5:00 오후 KST

1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디지털 정착민 가족, 파시브하우스를 어떻게 지었고, 어떻게 살고 있나?

녹색문명공부모임 Zoom 모임 공간

2022년 첫 모임인 1월 녹색문명공부모임에서는 J**님 가족이 파시브하우스를 짓고 사는 이야기를 들어보려고 합니다.

목 20
2022년 1월 20일 8:30 오후 - 10:30 오후 KST

‘새 자연철학’ 세미나 10회 – 상대성이론 2 : 깊게 이해하기

Zoom 온라인 모임방

1월 20일 새 자연철학 세미나 열 번
째 모임에서는 4차원 시공간 바탕관념을 이해하고, 그러한 바탕관념이 가져오는 결과를 이해해보겠습니다.

목 27
2022년 1월 27일 8:30 오후 - 10:30 오후 KST

새 자연철학 세미나 몸풀기 모임 11-0회 – 상대성이론 3 : 4차원 시공간과 그 결과

새 자연철학 세미나 몸풀기 모임은 본 모임 한 주 전에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를 읽어나가기 버거운 분들과 그 골자를 파악하기 어려운 분들만 따로 모여서 시시콜콜 묻고 답하면서 본 모임을 준비하는 장입니다. 27일에는 4차원 시공간과 그 결과를 미리 공부합니다.

2월 2022

목 3
2022년 2월 3일 8:30 오후 - 10:30 오후 KST

새 자연철학 세미나 11회 – 상대성이론 3 : 4차원 시공간과 그 결과

1월 6일과 1월 20일에 이어 2월 3일 세미나에서도 한 차례 더 4차원 시공간 바탕관념 이해에 도전합니다. ‘두 사다리의 상대적 기울기’와 ‘상대속도로 본 4차원 시공간의 의미’ 부분을 한 번 더 보면서 핵심을 이해하고, 그 뒤 4차원 시공간 바탕관념 위에 서게 될 경우 어떤 결과를 얻게 되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목 10
2022년 2월 10일 8:30 오후 - 10:30 오후 KST

새 자연철학 세미나 몸풀기 모임 12-0회 – 상대성이론 4 : 시간 간격의 상대성과 고유시간

새 자연철학 세미나 Zoom 모임 공간

새 자연철학 세미나 몸풀기 모임은 본 모임 한 주 전에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를 읽어나가기 버거운 분들과 그 골자를 파악하기 어려운 분들만 따로 모여서 시시콜콜 묻고 답하면서 본 모임을 준비하는 장입니다. 2월 10일에는 시간 간격의 상대성 부분 중심으로 공부합니다.

  • 이전 일정표
  • 오늘
  • 다음 일정표
  • 구글 캘린더에 추가하기
  • iCalendar
  • Outlook 365
  • Outlook Live
  • .ics 파일로 내보내기
  • Outlook .ics 파일 내보내기

게시판 글

최신글 내가 쓴 글
오비탈을 '전자 구름'으로 생각하면 안 되는 이유
2025.10.01
수소원자문제: (6-55)식과 그림 6-2의 의미 [축약]
2025.10.01
풀이가 무한대로 발산하면 안 되는 이유
2025.09.23
양자역학 보충 자료 모음
2025.09.23
[자료] 파울리 배타원리와 스핀 업/다운 (1)
2025.09.21
로그인 해주세요.

게시판 댓글

최신댓글 내가 쓴 댓글
이 글에서 1920년대 초의 '쌓기 원리(Aufbauprinzip)'라는 것을 소개했습니다. 이는 흔히 '보어 원자모형'이라는 이름으로 지금도 초급 단계의 과학교육에서 상세하게 가르칩니다. 인터넷을 검색하다 보니 아래 링크처럼 자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더 직관적으로 볼 수 있게 만들어 놓은 게 나옵니다. https://javalab.org/ko/bohrs_atomic_model/ 아쉽지만 이 자바 실험실에 나오는 내용은 대부분 양자역학이 만들어지기 전 상황을 시각적으로 쉽게 볼 수 있게 만든 것이어서 양자역학에 대한 근원적인 오해로 연결되기 쉬워 보입니다.
2025.09.22
정확히 맞습니다. 본문 내용에 이와 관련된 것을 추가해 놓겠습니다. 근원적 지칭(이것임)에 대한 둔스 스코투스의 논의는 서유럽이나 근대라고 부르기에는 어폐가 있습니다. 원래 이 논의는 고대 그리스 특히 헬레니즘 시기에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자연철학'이라는 이름 아래 활발하게 탐구되었고, 8세기에 이슬람 자연철학으로 이어졌습니다. 12세기까지 이슬람 아랍어권에서 다양한 논의가 있었습니다. 12세기에 아랍어로 된 방대한 문헌들이 유럽 전역에서 라틴어로 번역되었습니다. 흔히 '번역의 홍수' 또는 12ㅅ세기 르네상스라고 부르는 시기입니다. 13세기에 스코틀랜드 출신의 프란치스코회 수사였던 둔스 스코투스가 이런 논의를 펼치게 된 배경에는 1500년이 넘는 긴 시간 동안의 학문적 탐구가 있습니다. 저의 선입견으로 말씀드리자면, 중세 유럽에서 평생 수도원에 머물면서 온종일 공부만 하던 사람들이 있었기에 이런 학문적 전통이 내려올 수 있었던 게 아닌가 싶습니다. 동아시아에서도 힌두교나 불교 사찰이 그런 역할을 해 왔을 것입니다. 다만 저는 힌두교나 불교에서의 자연철학 논의는 아주 피상적으로만 읽었습니다. 언젠가 조금이라도 공부해 볼 기회를 만들어 보려는 욕심은 있습니다.
2025.09.22
https://www.quantamagazine.org/what-is-the-fourier-transform-20250903/
2025.09.22
저번에 제가 세미나 시간에 질문드린 내용과 연관된 자료로 보여서 우선 감사드려요. 교과서 [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에서는 자리를 바꾸면 앞의 부호가 반대가 되는 상태가 잘 와닿지가 않았는데, 이렇게 up, down의 상태를 가진 것들이 $\frac{1}{\sqrt{2}}(|\uparrow_1, \downarrow_2 \rangle - |\downarrow_1, \uparrow_2 \rangle )$ 의 구성식을 가지게 될때 차근히 계산을 진행해보니 정말 앞의 부호가 반되가 됨이 확인이 되었습니다. 혹시 몰라 확인드리고 싶은 부분은 $|\uparrow_1 \downarrow_2 \rangle $ 의 1번과 2번을 바꾼다고 표현하셨는데 글자 그대로 $|\uparrow_2 \downarrow_1 \rangle $ 일단 이렇게 아랫첨자만 바꿔놓고, 결국 아랫첨자란 있어야할 위치를 가리키는 것이므로 첨자 그대로의 위치에 돌려놔주어 $|\downarrow_1 \uparrow_2 \rangle $ 이렇게 바꿔가며 식을 진행했는데, (--> 이런식으로 진행하면 교과서p.185 12-18행에 써있는표현 '두 입자가 상태를 교환' 하는 것과 같다고 보여지거든요) 맞는 걸까요? 그리고 서유럽사람들은 이런 문제에 대하여 철학적 논의를 근대시대부터 했다니 역시 그들의 꼼꼼함이 경외롭습니다.
2025.09.21
세미나 참여 효과가 있다니 정말 반갑고 감사한 말씀입니다. 저는 이강영 (2018) <스핀>을 아주 재미있게 읽었기에 읽기 편안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그렇게 쉽게 생각할 일이 아닌 것 같기도 합니다.
2025.09.20
로그인 해주세요.

Upcoming Events

공지
다가오는 일정가 없습니다.

카테고리

녹색아카데미 페이스북 공개그룹

녹색아카데미 페이스북 공개그룹

greenacademykr

녹색문명, 과학 & 자연철학 공부 모임. We study green civilizations, science and natural philosophy.
Facebook group : Green Academy
Youtube : 녹색아카데미

🤓 녹색아카데미 10월 모임 일정표 올 🤓 녹색아카데미 10월 모임 일정표 올립니다.

🌿 녹색아카데미는 문명, 과학과 자연철학, 기후위기 등 환경문제, 에너지 전환 등을 공부하는 사람들의 모임입니다. 책읽기 모임과 녹색문명공부모임, 자연철학세미나와 양자역학세미나를 하고 있습니다.

😎 녹색아카데미의 모임은 별도 표시가 없는 한 모두 온라인 모임입니다. 오프라인 모임은 1년에 2회 정도 계획하고 있고, 웹사이트와 SNS에 미리(대체로 한 달 전에) 공지를 올리고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모임 참가 문의 : 녹색아카데미 greenacademy.kr@gmail.com 

https://greenacademy.re.kr/archives/22878

#녹색아카데미 #녹색문명공부모임 #자연철학 #장회익 #책새벽 #온라인책읽기모임 #과학책읽기모임 #린마굴리스 #마이크로코스모스 #온도계의철학 #우리를_둘러싼_바다 #The_Sea_Around_Us #아르놀트_하우저 #문학과_예술의_사회사 #세계철학사_이정우 #Green_Academy
인스타그램 팔로우하기

Copyright © 2025 녹색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

Codilight 테마 제작자 FameThe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