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 자연철학’ 세미나 6회 – 고전역학 1 : 넓게 이해하기
새 자연철학 세미나 여섯 번째 모임에서는 고전역학을 넓게 이해해보려고 합니다.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제2장 고전역학 부분을 읽고 질문을 해주세요.

‘새 자연철학’ 세미나 7회 – 고전역학 2 : 깊게 이해하기
새 자연철학 세미나 일곱 번째 모임에서는 고전역학을 깊게 이해해보려고 합니다.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제2장 고전역학 부분을 읽고 질문을 해주세요.

12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길·둑·다리 햇빛발전소 제안은 왜 받아들여지지 않았을까?
12월 녹색문명공부모임에서는 우리 모임 최우석님이 녹색아카데미 웹진에 쓰고 있는 "지역 그린뉴딜 제안 공모전 낙선기"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어떻게 건물과 인공 건조물에 햇빛발전소를 늘려 갈지 함께 고민을 해보겠습니다.

‘새 자연철학’ 세미나 8회 – 고전역학 3 : 간단한 계산해보기
12월 23일 새 자연철학 세미나 여덟 번째 모임에서는 최초의 보편적 앎의 틀을 갖춘 고전역학을 실감해볼 수 있는 몇 가지 간단한 계산을 따라가보겠습니다. 수학적 계산에 어려움을 느끼는 분들만 모여서 계산 연습을 해보는 시간입니다.

‘새 자연철학’ 세미나 9회 – 상대성이론 1 : 넓게 이해하기
새 자연철학 세미나 Zoom 모임 공간1월 6일의 아홉 번째 모임에서는 제3장의 상대성이론을 공부합니다. 첫 시간에는 4차원 시공간 바탕관념을 이해하는 데에 주로 힘을 쏟아 보겠습니다.

1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디지털 정착민 가족, 파시브하우스를 어떻게 지었고, 어떻게 살고 있나?
녹색문명공부모임 Zoom 모임 공간2022년 첫 모임인 1월 녹색문명공부모임에서는 J**님 가족이 파시브하우스를 짓고 사는 이야기를 들어보려고 합니다.

‘새 자연철학’ 세미나 10회 – 상대성이론 2 : 깊게 이해하기
Zoom 온라인 모임방1월 20일 새 자연철학 세미나 열 번
째 모임에서는 4차원 시공간 바탕관념을 이해하고, 그러한 바탕관념이 가져오는 결과를 이해해보겠습니다.

새 자연철학 세미나 몸풀기 모임 11-0회 – 상대성이론 3 : 4차원 시공간과 그 결과
새 자연철학 세미나 몸풀기 모임은 본 모임 한 주 전에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를 읽어나가기 버거운 분들과 그 골자를 파악하기 어려운 분들만 따로 모여서 시시콜콜 묻고 답하면서 본 모임을 준비하는 장입니다. 27일에는 4차원 시공간과 그 결과를 미리 공부합니다.

새 자연철학 세미나 11회 – 상대성이론 3 : 4차원 시공간과 그 결과
1월 6일과 1월 20일에 이어 2월 3일 세미나에서도 한 차례 더 4차원 시공간 바탕관념 이해에 도전합니다. ‘두 사다리의 상대적 기울기’와 ‘상대속도로 본 4차원 시공간의 의미’ 부분을 한 번 더 보면서 핵심을 이해하고, 그 뒤 4차원 시공간 바탕관념 위에 서게 될 경우 어떤 결과를 얻게 되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새 자연철학 세미나 몸풀기 모임 12-0회 – 상대성이론 4 : 시간 간격의 상대성과 고유시간
새 자연철학 세미나 Zoom 모임 공간새 자연철학 세미나 몸풀기 모임은 본 모임 한 주 전에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를 읽어나가기 버거운 분들과 그 골자를 파악하기 어려운 분들만 따로 모여서 시시콜콜 묻고 답하면서 본 모임을 준비하는 장입니다. 2월 10일에는 시간 간격의 상대성 부분 중심으로 공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