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밥상을 고민하는 사람들의 zoom 번개
기후밥상을 고민하는 사람들의 zoom 번개를 합니다."채식이 유력한 기후행동이 될 수 있는가"를 주제로 8월 녹색문명공부모임을 한 후, 기후밥상에 대한 설문을 해보면 좋겠다는 제안이 있었습니다. 설문을 만들기 전에, 여러 분들과 모여서 자신의 […]
자연철학세미나 온라인 모임 33회 – 4차원 시공간 이해하기
녹색아카데미에서는 격주 목요일마다 자연철학세미나를 온라인으로 열고 있습니다.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를 읽고 든 생각과 질문을 발표자가 자유롭게 정하여 발표하고 함께 이야기 나누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관심있는 분은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지난 1월 […]

9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IPCC 제6차 평가보고서 : 자연과학적 근거
지난 8월 9일에 IPCC 제6차 평가보고서 중 제1 워킹그룹의 보고서 : 자연과학적 근거가 발표되었습니다. 이에 대한 보도와 반응들이 많이 있었는데 굉장히 절망적으로 받아들이는 반응에서부터 어렵지만 여전히 가능하다는 반응까지 다양한 반응이 […]

‘새 자연철학’ 세미나 1회 – 자기 소개와 ‘새 자연철학’ 문제의식에 대한 토론
2021년 9월 16일 (목) 오후 8시 30분에 Zoom 온라인 모임 공간에서 '새 자연철학' 세미나 첫 모임을 갖습니다.

‘새 자연철학’ 세미나 2회 – 새 자연철학의 문제 의식 : 통합적 앎의 필요성 1
9월 30일 (목) '새 자연철학' 세미나 두 번째 모임은 오후 8시 30분 '새 자연철학의 문제 의식 : 통합적 앎의 필요성 - 과학과 철학'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눕니다.
10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찬미받으소서 (프란치스코 교황 회칙)
10월 녹색문명공부모임에서는 기후위기에 관한 중요 문서 중 하나인 프란치스코 교황 회칙 를 읽고 이야기를 나눕니다.

‘새 자연철학’ 세미나 3회 – 새 자연철학의 문제의식 : 통합적 앎의 필요성 2
10월 14일 (목) '새 자연철학' 세미나 세 번째 모임은 오후 8시 30분 '새 자연철학의 문제 의식 : 통합적 앎의 필요성 2 - 분과학문 사이'를 주제로 이야기를 나눕니다.

‘새 자연철학’ 세미나 4회 – 새 자연철학의 문제의식 : 통합적 앎의 필요성 3
10월 28일 (목) '새 자연철학' 세미나 네 번째 모임은 오후 8시 30분 '새 자연철학의 문제의식 : 통합적 앎의 필요성 3 - 서구학문과 동양학문, 사실과 당위'를 주제로 질문하고 이야기를 나눕니다.

‘새 자연철학’ 세미나 5회 – 앎의 틀 : 앎의 바탕 구도와 바탕 관념
11월 11일 (목) '새 자연철학' 세미나 다섯 번째 모임은 오후 8시 30분 '앎의 틀 : 앎의 바탕 구도와 바탕 관념'을 주제로 질문하고 이야기를 나눕니다.

11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디그로쓰 Degrowth
2021년 11월 녹색문명공부모임에서는 ⟪디그로쓰 The Case for Degrowth⟫를 읽고 '탈성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