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우리 온생명의 역사’ 탐구를 위해 다시 살펴보는 ‘온생명 이론’
10월 16일 8:30 오후 – 10:30 오후 KST
10월 녹색문명공부모임 (10/16 목) :
‘우리 온생명의 역사’ 탐구를 위해 다시 살펴보는 ‘온생명 이론’ : “내가 이해하고 있는 온생명”
10월 녹색문명공부모임
주제 : ‘우리 온생명의 역사’ 탐구를 위해 다시 살펴보는 온생명 이론 – “내가 이해하고 있는 온생명”
발표 : 최우석 (녹색아카데미)
참석자 준비 사항 : “내가 이해하고 있는 온생명 이론은 이런 것” 간단히 써오기
때 :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저녁 8:30 ~ 10:30
곳 : 온라인 Zoom 모임공간 ID – 818 2881 9155 (https://khu-ac.zoom.us/j/81828819155)
9월 녹색문명모임에서 앞으로 상당한 기간동안 ‘우리 온생명의 역사’ 연구 프로젝트를 해보자고 제안드렸습니다. 지금까지 다양하게 구성된 ‘빅 히스토리’ 저작들이 많은데 ‘온생명 이론’ 및 ‘새 자연철학’의 관점에서 ‘빅 히스토리’를 써본다면 새로운 통찰을 얻게 되지 않겠는가 하는 뜻이었습니다. 또 ‘새 자연철학’도 구체적 역사 이해 과정을 통해서 검증될 수 있을테고요. 구체적으로는 잘 알려진 ‘빅 히스토리’ 저작을 읽어나가면서 대목마다 ‘온생명 이론’ 및 ‘새 자연철학’의 이론으로 보자면 이렇게 달리 구성하고 이야기를 해야하겠다 하는 점을 찾아내는 방식으로 모임을 진행하자고 제안을 드렸죠.
10월 녹색문명공부모임에서는 ‘우리 온생명의 역사’ 연구 프로젝트를 시작해 나가기 위한 첫 모임 성격으로 ‘온생명 이론’을 다시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녹색문명공부모임 식구들은 이미 온생명 이론을 여러 기회에서 접하셨기 때문에 온생명 개념에 대해 대체로 잘 알고 계실 겁니다. 하지만 각자 이해하고 있는 바들은 조금씩 다를 것 같습니다. 어떤 점은 오해하고 있기도 하고, 어떤 점은 달리 이해하고 있기도 할 겁니다. 그리고 각자의 이해에 따라서 기존의 ‘빅 히스토리’ 이야기에서 “어?”하고 문제의식을 갖게 되는 대목이나 논지도 다를 듯 합니다. 첫 시간에는 이런 점들을 서로 확인하면서 ‘우리 온생명의 역사’를 정리할 때 어떤 지점들에 주목하고 어떤 지점들에서 이야기를 다시 풀어야 할지 탐구를 위한 질문들을 함께 만들어 보았으면 합니다.
10월 16일 녹색문명공부모임은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진행해볼까 합니다.
- “내가 이해하고 있는 온생명” 발표자 발제 [40분]
- ‘내가 이해하고 있는 온생명’에 대한 자유 토론 (돌아가면서 이야기 하기) [40분]
- ‘우리 온생명의 역사’ 연구를 위한 탐구 질문들 뽑아 보기 [20분]
- 함께 읽을 ‘빅 히스토리’ 저작 검토 [20분]
발표를 맡은 최우석이 ⟪생명을 어떻게 이해할까?⟫ (2014, 한울아카데미)와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2019, 추수밭)을 다시 살펴보고 “내가 이해하고 있는 온생명”에 대해 다소 상세하게 이야기를 한 뒤, 다른 참석자들도 자기가 이해하고 있는 바에 대해서 두루 이야기를 하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그 뒤에 여건이 되는대로 ‘우리 온생명의 역사’를 탐구할 때 염두에 둘 ‘탐구 질문들’을 정리해보고, 마지막으로 몇 개의 ‘빅 히스토리’ 저작들 중 어떤 대목에서 어떤 책을 읽을지 정해볼까 합니다.
녹색문명공부모임에 늘 참석하시는 식구들 뿐만 아니라 온생명 이론이나 생명을 이해하는 문제에 관심 갖고 계시는 분들의 많은 참석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