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 자연철학 세미나 몸풀기 모임 21-0회 – 우주와 물질 1 : 역사지평과 우주방정식
새 자연철학 세미나 Zoom 모임 공간6월 16일 새 자연철학 세미나 몸풀기 모임에선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제6장 우주와 물질 내용정리 가운데 아인슈타인의 우주방정식 부분을 함께 읽습니다.

새 자연철학 세미나 21회 – 우주와 물질 1 : 역사지평과 우주방정식
새 자연철학 세미나 Zoom 모임 공간6월 23일 새 자연철학 세미나에서는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제6장 우주와 물질 부분과 가운데 '아인슈타인의 우주방정식' 부분을 놓고 이야기를 나누겠습니다. 일반상대성이론 발표 이후 이를 우주론에 적용하던 과정과 그 뒤 빅뱅우주론 등 현대 우주론의 표준 모델이 성립하기까지의 역사적 과정과 현대 우주론의 핵심 등에 대해 말씀을 나눠보시죠. ⟪생명을 어떻게 이해할까?⟫ 제5장 우주와 질서 가운데 '우주의 출현과 '힉스 마당''에 대한 이야기도 나누겠습니다.

장회익의 새 자연철학 북심포지움 – 한국과학철학회 2022년 정기 학술대회 세션 2A
2022년 한국과학철학회의 정기 학술대회에서는 우리 세미나에서 탐독하고 있는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에 대한 특별한 자리가 열립니다. "장회익의 새 자연철학"이라고 이름 붙인 '북심포지움'이 마련되니 장회익의 새 자연철학에 관심있는 분들은 많은 참석 바랍니다.

새 자연철학 세미나 몸풀기 모임 22-0회 – 우주와 물질 2 : 우주의 물질 생성과 그 변화
새 자연철학 세미나는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를 함께 읽고 그 요체를 이해하고 논의하기 위한 장입니다. 2019년 11월부터 2021년 9월초까지 공부했던 자연철학 세미나에 이어 2기 세미나인 새 자연철학 세미나는 2021년 9월 중순부터 […]

새 자연철학 세미나 22회 – 우주와 물질 2 : 우주의 물질 생성과 그 변화
새 자연철학 세미나 Zoom 모임 공간7월 7일 새 자연철학 세미나에서는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제6장 우주와 물질 가운데 '우주의 물질 생성과 그 변화', '은하와 별의 형성' 부분을 놓고 이야기를 나누겠습니다. 아울러 ⟪생명을 어떻게 이해할까?⟫의 제5장 "우주와 질서" 가운데 '평형 질서와 비평형 질서' 부분까지의 논의 또한 이야기에 담아보면 좋겠습니다. 아마도 ⟪자연철학 강의⟫의 의 네 개 그림으로 표현된 우주의 온도 변화와 우주의 자유에너지 사이의 관계로 본 '질서의 출현' 이야기가 중요한 주제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럼 좋은 질문글들 많이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7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폴 호컨, 『한 세대 안에 기후위기 끝내기』 (3)
녹색문명공부모임 Zoom 모임 공간5월과 6월에 이어 2022년 7월 녹색문명공부모임에서는 폴 호컨의 책, 『되살림 Regeneration』을 놓고 이야기를 나눕니다. 주제가 방대하다보니 석 달이나 책을 보게 되네요. 5월 모임에서는 1장 해양, 2장 숲, 3장 야생화(Wilding)를 다루었고, 6월 모임에서는 4장 땅, 5장 사람, 7장 식량에 대해 발표를 듣고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되살림』을 보는 마지막 시간인 이번 7월 모임에서는 6장 도시, 8장 에너지, 9장 산업에 대해 논의를 한 뒤, 마지막 10장 행동+연결 장에서 제안하는 바들, 특히 '기후변화행동목록'(punch list) 만들기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를 나누면 좋을 것 같습니다.

새 자연철학 세미나 23회 – 생명이란 무엇인가 1 : 생명을 물리학적으로 이해한다는 것과 자체촉매적 국소질서
새 자연철학 세미나 Zoom 모임 공간7월 21일 새 자연철학 세미나에서는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제7장 "생명이란 무엇인가"와 ⟪생명을 어떻게 이해할까?⟫의 제5장 "우주와 질서" 가운데서 비평형 질서로부터 자체촉매적 국소질서가 우연히 생겨나 이차질서를 형성하기까지의 이야기를 공부합니다.

새 자연철학 세미나 24회 – 생명이란 무엇인가 2 : 진행형 복합질서로서의 이차질서와 생명의 구조
새 자연철학 세미나 Zoom 모임 공간8월 4일 새 자연철학 세미나에서는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제7장 "생명이란 무엇인가"와 ⟪생명을 어떻게 이해할까?⟫의 제6장 "온생명과 낱생명", 그리고 ⟪과학과 메타과학⟫ 제9장 "생명의 단위와 존재론적 성격"을 함께 놓고 보면서 시간 속에서 전개되는 이차질서의 성격과 생명의 온생명적 구조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겠습니다.

‘책새벽’ 준비모임
녹색아카데미 책읽기 모임 '책새벽'을 시작합니다. 모임을 시작하기 전에 '준비 모임'을 가지고 의논을 통해 읽을 책을 정하려고 합니다. 참가 신청을 해주신 분, 참가를 고민하고 계신 분께서는 '준비 모임'에 꼭 참석하셔서 읽을 […]

‘책밤’ 준비모임
녹색아카데미 책읽기 모임 ‘책밤’을 시작합니다. 모임을 시작하기 전에 ‘준비 모임’을 가지고 의논을 통해 읽을 책을 정하려고 합니다. 참가 신청을 해주신 분, 참가를 고민하고 계신 분께서는 ‘준비 모임’에 꼭 참석하셔서 읽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