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정(이벤트)이 종료되었습니다.
자연철학세미나 온라인모임 30회 – 물리학은 세계에 대한 설명인가, 해석인가?
2021년 7월 22일 8:30 오후 – 10:30 오후 KST
녹색아카데미에서는 격주 목요일마다 자연철학세미나를 온라인으로 열고 있습니다.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를 읽고 든 생각과 질문을 발표자가 자유롭게 정하여 발표하고 함께 이야기 나누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관심있는 분은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 1월 7일까지는 책의 1장부터 10장까지 발제, 토론하는 방식으로 세미나를 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자연철학세미나 온라인모임 30회]
일시 : 2021년 7월 22일 목요일 오후 8시 30분 – 10시 30분
주제 : 물리학은 세계에 대한 설명인가, 해석인가?
발표 1 : 문제의식 간단 설명 [임시제목] (김*진)
발표 2 : 물리학 및 화학 연구자가 생각하는 과학이론 간단 발표 [임시제목] (신*규)
발표 3 : 과학사 및 물리철학 연구자가 생각하는 과학이론 간단 발표 [임시제목] (김*영)
참석 : 관심있는 분은 누구나 자유롭게 참석하실 수 있습니다.
7월 8일 세미나 말미에 김*진 선생님께서 세계의 실재성을 어떻게 생각해야 할지, 또 진리란 어떻게 생각해야 할지 하는 엄청나게 큰 주제에 대한 문제의식을 이야기하셨습니다. 아주 큰 주제라서 쉽게 다루기 어렵지만 이 중 비교적 작은 물음인 “물리학은 세계에 대한 설명인가, 해석인가?”라는 문제로 좁혀서 7월 22일 세미나에서 다루어 보려고 합니다.
7월 22일 세미나에서는 세 분이 간단하게 말씀을 해주시고 토론을 나누기로 하였습니다. 먼저 김*진님께서 이 문제의식을 간단하세 설명을 해주시고, 물리학과 화학 연구자이셨던 신*규님이 과학자로서 과학이론을 어떻게 이해하는지 발표를 해주실 겁니다. 그리고 과학사와 물리철학 차원에서 김*영님이 이 주제에 대한 견해의 역사를 정리해주실 것 같습니다.
이 문제는 어찌보면 장회익 자연철학 전체를 관통하는 매우 핵심적인 주제라 할 수 있는데요, 직접적으로는 아래의 두 글을 읽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 장회익. “과학의 인식 구조-상태설명과 상태서술”. ⟪과학과 메타과학⟫, 개정신판. pp.113-154. (2012, 현암사)
- 장회익. “본원으로 돌아가다: 앎이란 무엇인가?”.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제9장. pp.442-489. (2019, 추수밭)
그 밖에도 ‘앎’의 문제를 다루는 대담 영상도 참고하실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 [자연철학이야기 대담녹취 10-1] 제9장.앎이란 무엇인가? (1) (2020, <장회익의 자연철학 이야기> 대담영상 10-1과 녹취록)
- [자연철학이야기 대담녹취 10-2] 제9장.앎이란 무엇인가? (2) (2020, <장회익의 자연철학 이야기> 대담영상 10-2와 녹취록)
- [세미나녹취 2020.11.19] 제9장.앎이란 무엇인가 (1)
- [세미나녹취 2020.12.3.] 제9장.앎이란 무엇인가 (2)
- [세미나녹취 2020.12.17.] 제9장.앎이란 무엇인가 (3)
세미나 공간 : 온라인 회의 앱 Zoom
– https://snu-ac-kr.zoom.us/j/91276414592
– Zoom 회의 ID: 912 7641 4592
– Zoom 회의 비밀 번호: 우주의 역사 ***억년에 숫자 0을 다섯 개 더한 여덟 자리 숫자 (***00000)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299쪽 마지막 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