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CC 제6차 평가보고서 – 제1 워킹그룹 보고서 (8)기상이변 & 기후 위험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이하 IPCC)가 지난 8월 9일 IPCC 제6차 평가보고서(이하 AR6) 제1실무그룹의 보고서(이하 WG1 보고서)를 승인하고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WG1 보고서는 기후변화에 대한 “자연과학적 근거”를 담은 것으로, 관련 연구 14,000건 이상을 700명 이상의 전문가들이 분석하고 종합한 결과입니다.

“Climate Change 2021: The Physical Science Basis”

IPCC 보고서 전문 보러가기 Full Report
정책결정자를 위한 요약보고서 보러가기 Summary for Policymakers

오늘 소개드리는 글은 IPCC의 보고서를 상세하게 분석한 카본브리프의 기사를 요약, 정리한 것입니다. 기사의 내용은 아래 목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방대한 보고서의 내용을 잘 정리한 기사입니다. 지난 녹색아카데미 웹진 기사로 아래 항목 중 1~14번까지 전해드렸고, 오늘 소개드리는 15, 16번을 마지막으로 이 시리즈를 마칩니다.

녹색아카데미 웹진 기사 전체 보기 (‘IPCC 제6차 평가보고서 – 제1워킹그룹 보고서’를 해설한 카본브리프의 기사를 우리말로 옮겨 정리한 글입니다.)


카본브리프의 기사 원문 보기 In-depth Q&A: The IPCC’s sixth assessment report on climate science. Carbon Brief Staff. 2021. 8. 9. CarbonBrief.

  1. IPCC 워킹그룹 I의 제6차 평가보고서는 어떤 보고서인가?
  2. 지구 기온은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3. 앞으로 얼마나 더 더워질까?
  4. 지구평균기온 상승폭이 1.5도를 초과하는 시점은 언제인가?
  5. 강수 패턴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나?
  6. 지구상의 눈과 얼음에 가열화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7. 해양에는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나?
  8. 해수면상승 전망은 제5차 평가보고서 이후 어떻게 변했나?
  9. 인류가 지구가열화에 가한 영향.
  10. 급격한 변화, 혹은 ‘티핑 포인트’.
  11. 대기오염이 지구 기온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12. 기후 민감도(sensitivity) 예측은 제5차 평가보고서 이후 어떻게 변했나?
  13. 탄소 예산(carbon budget; 온실가스를 얼마나 배출할 수 있는가).
  14. ‘넷-제로’.
  15. 극심한 기상이변은 어떻게 변하고 있나? 기후변화는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나?
  16. 기후 위험도는 전세계적으로 어떻게 변하고 있나?

< 용어 설명 : 연구 결과에 대해 이 보고서에서 신뢰도와 가능성을 표현하는 방식>

  • 신뢰도(confidence)는 다섯 단계로 표현한다
    • 매우 낮음(very low)
    • 낮음(low)
    • 중간(medium)
    • 높음(high)
    • 매우 높음(very high)
  • 가능성(likelihood)에 대한 표현
    • 99-100% : 거의 확실(virtually certain)
    • 95-100% : 극히 가능성 높음(extremely likely)
    • 90-100% : 매우 가능성 있음(very likely)
    • 66-100% : 가능성 있음(likely)
    • > 50-100% : 아닐 가능성보다 높음(more likely than not)
    • 33-66% : 아마도 가능성 있음(as likely as not)
    • 0-33% : 가능성 적음(unlikely)
    • 0-10% : 매우 가능성 적음(very unlikely.)
    • 0-5% : 극도로 가능성 낮음(extremely unlikely)
    • 0-1% : 극히 예외적임(exceptionally unlikely)
  • 분포(distribution)는 최적 추정값(best estimate)의 전후 대칭적으로 고려되지만 늘 그렇지는 않다. 이 보고서에서 ‘very likely range'(표 1에서처럼)라는 표현은 90% 신뢰도로 평가된 것이다. 마찬가지로 ‘likely range’는 66% 신뢰도로 평가된 것을 말한다.

출처 : IPCC, 2021: Summary for Policymakers. In: Climate Change 2021: The Physical Science Basis. p.SPM-4.


15. 극심한 기상이변은 어떻게 변하고 있나? 기후변화는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나?

AR6 보고서는 최근 국제뉴스로 많이 등장하는 전세계적인 심각한 기상이변 사건들로 시작합니다. 예를 들어 2021년 중반에는 태평양 남서부 지역에서 기록적인 “열돔 현상”(heat dome)이 일어났고, 미국 서부유럽에서는 들불이, 유럽중국에서는 최악의 홍수가, 인도에서는 폭우로 인한 산사태가 일어났습니다.

이러한 상황에 적합하게도 이번 보고서에 처음으로 기상이변에 대한 장이 포함되었습니다.(기상이변에 대한 카본브리프의 심층 기사는 링크를 참조)

IPCC 다섯번째 평가보고서(AR5)가 2012-14년에 발간된 이후, “날씨와 기상이변의 변화들에 대해 중요하고 새로운 발전이 있었고 많이 알게 됐다”고 AR6는 보고하고 있습니다. 특히 “개별 기상이변 현상, 가뭄의 변화, 열대 사이클론과 복잡한 기상 현상 그리고 여러 세계적인 온난화 수준에 대한 예측에 있어서 인간이 미치는 영향”이 파악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원인을 규명하는 과학(attribution science, 귀인과학)이 중요한 기후 과학 분야로 떠오르고 있으며, 연구 수도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쓰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인간이 일으킨 기후변화와 기타 요인들이 이상기후 현상들의 빈도와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와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합니다.(아래 그림의 링크로 가면 인터랙티브 지도를 이용해 기후변화가 극한 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검색해볼 수 있습니다.)

[그림 1] 기후변화가 기상이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귀인과학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위 그림은 인간에 의한 기후변화로 발생하는 기상이변을 확인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지도이다. (출처 : CarbonBrief)

관측

이번 보고서는 인간이 배출한 온실가스가 “날씨와 기후의 극심한 변화” 빈도와 강도를 상승시켰다”는 것은 “확실한 사실”(established fact)이라고 결론 내리고 있습니다.

“확실한 사실”이라는 말은, IPCC에서 불확실성을 표현하는 “가능성 정도 표현” 범주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IPCC의 안내서에는 “몇몇 경우에는 불확실성 어구를 사용하지 않고, 우리가 발견한 증거와 이해한 압도적인 사실을 표현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는 설명이 있습니다.

AR6에 따르면 “폭염의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는 데 반해 혹한의 빈도와 강도는 1950년 이후 전지구적인 규모로 봤을 때 감소하고 있음”이 ‘거의 확실'(99-100%)합니다.

AR6 저자들은 또한 인간 활동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이 지구온난화의 “주요 동인”이라는 것을 거의 확신합니다(99-100%). AR5에서는 이에 대해 매우 가능성이 높다(virtually certain. 90-100%)고 결론 내린 바 있습니다.

이번 보고서는 최근의 원인 규명 과학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기후시스템에 대한 인간의 영향이 없었다면 몇몇 최근 폭염 현상들이 일어날 가능성은 극도로 낮다(extremely unlikely. 0-5%)”고 쓰고 있습니다.

폭우의 경우에 그 빈도와 강도가 “전지구적인 규모로, 제대로 관측되고 있는 지역 대부분에서 증가”했습니다(66-100%).  인간의 영향이 이러한 변화를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likely. 66-100%)

홍수와 가뭄 관측에서 나타나는 변화는 덜 명백합니다. 그 이유는 특히 이런 기상 현상들을 정의하는 방법이 하나 이상이기 때문이고, 홍수와 가뭄 모두 “수문, 기후 그리고 인간의 관리 방식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해서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고서의 저자들은, “증발산이 증가함에 따라 토지 상당 부분에서 건기 동안 물 이용가능성이 감소되었는데 여기에 기후변화가 기여했다”고 결론(중간 신뢰도)내렸습니다.

홍수에 대해서도 보고서에서는 이렇게 쓰고 있습니다. “전지구 규모에 대해 지난 수십 년 동안 최고 수위에 대한 신뢰도는 낮다. 높아진 곳은 아시아 일부 지역과 남아메리카의 남부 지역, 미국 북동부 지역, 유럽 북서부 지역과 아마존이었고, 낮아진 지역은 지중해 일부 지역, 호주, 아프리카와 미국 남서부 지역이다.”

열대성 저기압(tropical cyclnes; TC)은 따뜻한 열대 바다에서 생겨나는 강력한 폭풍입니다. 이에 대해서 보고서는 “빠르게 발달하는 주요 열대성 저기압의 강도와 빈도 비율 모두 지난 40년 동안 전세계적으로 증가했다”고 쓰고 있습니다.

한편 AR5 보고서(pdf)에서는”과거 관측 능력의 변화를 고려해볼 때, 장기간(100년) 열대성 저기압 활동의 변화에 대해서 신뢰도는 낮다”고 결론” 내린 바 있습니다.

예측

“극한 기후의 강도와 발생 빈도에 있어서 지역적인 변화는 지구온난화와 함께 대체로 증가한다”고 AR6는 예측합니다

“1.5도 특별보고서(IPCC’s special report on 1.5C of warming)는, 지구온난화가 비교적 적게 일어나도(+0.5도) 전지구적인 규모로 넓은 지역에 대해 극한 기후 현상에 통계적으로 상당한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고 결론 내렸으며, 이번 AR6 보고서의 새로운 증거들이 이 결론을 강화하고 있다.”(높은 신뢰도)

– AR6 WG1 보고서

이와같은 지구온난화의 영향은 “극한 기온(매우 높은 가능성. 90-100%), 폭우의 강도(높은 신뢰도), 열대성 저기압과 연관된 폭우의 강도(중간 신뢰도) 그리고 몇몇 지역에서 가뭄이 심해지는 현상(높은 신뢰도)”같은 사례에서 특히 더 많이 나타납니다.

아래 그림은 기온상승폭 1.5도(왼쪽), 2도(중간) 그리고 4도(오른쪽) 각각에 대해 연간 최대 기온 평균값(위)과 연간 최저 기온 평균값(아래)을 예측한 것입니다.

[그림 2] 연간 최대 기온 평균값(위)과 최저 기온 평균값(아래) 변화 비교(중간값). 1851-1900 대비 1.5도 상승할 경우(왼쪽), 2도 상승할 경우(중간), 4도 상승할 경우(오른쪽). 각 그림의 오른쪽 위의 숫자는 사용된 시뮬레이션의 숫자를 의미한다. (출처 : Carbonbrief / Source: IPCC (2021) Figure 11.11.)

연간 최저 기온은 최대 기온보다 더 크게 상승하고, 적도보다 극 지방이 더 많이 온난화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예를 들어 북극은, “가장 추운 날 야간의 기온 상승 속도가 전지구 평균 온난화 속도보다 3배 더 빠르다”고 보고서는 말합니다.  중위도 지역에서는 “폭염이 더 심해지는 속도가 전지구 온난화 속도의 2배가 될 수 있”습니다.

기온 상승이 의미하는 바는 “가뭄 빈도와 강도가 커지면서 영향을 받는 지역”이 넓어지고 있다는 뜻이라고 보고서는 덧붙였습니다(높은 신뢰도).

아래 그림은 기온상승폭 1.5도(왼쪽), 2도(중간) 그리고 4도(오른쪽)에 대해서 연간 최대 하루 강우량을 예측한 것입니다. 녹색은 증가하는 지역, 갈색은 감소하는 지역이고, 빗금친 부분은 기후 모델들의 결과가 제한적으로만 일치된 지역입니다.

[그림 3] 기온상승폭 1.5도(왼쪽), 2도(중간) 그리고 4도(오른쪽)에 대한 연간 최대 하루 강우량 비교(중간값). 1851-1900년 대비. (출처 : Carbonbrief / Source: IPCC (2021) Figure 11.16.) Results are based on simulations from the CMIP6 multi6 model ensemble under the SSP1-1.9, SSP1-2.6, SSP2-4.5, SSP3-7.0, and SSP5-8.5 scenarios.

폭우와 지구온난화 정도의 공간적 패턴이 “매우 비슷하며 “지역적 규모에서 둘의 관계가 거의 선형적”이라고 보고서는 쓰고 있습니다.
“지구온난화 정도가 더 심해지면 거의 항상 육지에서 더 많이 폭우가 증가한다. 유럽 남부 지중해 지역같은 곳에서 일부 계절은 예외이다.”

– AR6 WG1 보고서

폭우가 대체로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는 지역은 “아열대 해양 지역에 국한”되며 “이러한 현상은 폭풍 경로가 이동함에 따라 평균 강우량이 감소하는 것과 매우 관련성이 크다”고 보고서는 쓰고 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강한 열대성 저기압 발생 비율, 열대성 저기압의 평균 최고 풍속 그리고 가장 강력한 열대성 저기압의 최고 풍속 등은 지구 온난화가 심해짐에 따라 전지구적으로 증가할 것”입니다(높은 신뢰도).

“전 지구적인 열대성 저기압 형성 총 발생건수는 지구온난화에 따라 감소하거나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쓰고 있습니다(중간 신뢰도).


16. 기후변화로 인한 위험은 전세계적으로 어떻게 변하고 있나?

이번 AR6 보고서는 이전 보고서에 비해 “지역적인 기후변화를 훨씬 더 많이 강조”해서 다룹니다(IPCC AR6 Fact Sheet). 그 중 한 가지는 WG1 보고서의 12장인데, 여기에는 “기후 해결책을 위해 WG1이 기여할 부분”이라고 하면서  지역에 미치는 영향과 위험 평가에 대한 기후변화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또 다른 하나는 온라인 인터랙티브 “지도“입니다. 이 지도에는 “AR6 보고서에 사용된 주요 데이타셋에서 가져온 기후변화 정보를 연결해 볼” 수 있는 “지역 정보 구성요소”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지구온난화가 더 진행되면, 모든 지역에 걸쳐 기후 영향 인자에 여러가지 변화가 동시에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기후 영향 인자에 일어나는 변화는 1.5도 지구온난화에 비해 2도에서 더 광범위할 것이며, 더 높은 온난화 수준에서 훨씬 더 광범위하고 명백하게 나타날 것이다.”

– AR6 WG1 보고서

아래 그림은 전세계 지역에 걸쳐 일어날 것으로 예측되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1995-2004년에 비해 2041-60년에 증가하는 지역(빨강)과 감소하는 지역(파랑)을 예측한 것입니다.(인터랙티브 지도는 IPCC WG1 Interacitve Atlas 링크 참조)

[그림 4] 지구온난화로 인해 일어나는 변화를 나타낸 지도. 1995-2014년 대비 2041-60년 예측. 빨강색은 증가, 파랑색은 감소. 높은 신뢰도. (출처 : Carbonbrief / Source: IPCC (2021) Figure 12.11.)

지역별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

아프리카

2도만 높아져도 아프리카 전역에서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는 수준의 열 스트레스와 치명적인 기온이 더 자주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90-100%). 적도지역은 높은 기온과 높은 습도가 같이 나타나기 때문에 특히 더 위험합니다.

한편, 아프리카 지역 대부분은 폭우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 폭우는 자주 홍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높은 신뢰도). 북부 아프리카와 남부 아프리카 지역은 들불이 증가할 것이며, 농업 가뭄과 생태적 가뭄은 아프리카 대륙 상당 부분에서 예측됩니다(높은 신뢰도와 중간 신뢰도).

“몬순 강우(계절성 강우)는 전지구으로 중기~장기간 동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아시아 남부와 동남부, 동부 지역과 사헬 극서부 지역에서 먼 아프리카 서부지역에서 심할 것이다.”

– AR6 WG1 보고서

아시아

“폭우, 평균 강수량, 강 범람 등이 아시아 대부분 지역에서 증가할 것”으로 보고서는 예측합니다(중간 신뢰도). 또한 기후가 더워지면 강 범람은 중국 전역에서 증가할 것이며, 남부 아시아 지역의 몬순이 더 심해질 것입니다.

홍수와 산사태는 동부 히말라야 지역에서 가장 자주 발생하는 자연재해입니다. 이는 주로 몬순 시기 동안 내리는 비가 만드는 급류 때문에 발생합니다. 기후가 더 따뜻해지면 강우 강도가 더 세지고 영구동토가 녹아 대만 북부와 중국 일부를 포함하는 지역에 산사태를 일으킬 것입니다.

눈과 얼음이 많아 지구의 “제 3의 극지방”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아시아의 높은 산악 지역에서는, 지구온난화로 눈이 녹는 패턴이 바뀌면서 봄 홍수 시기가 더 빨라질 것입니다(중간 신뢰도).

한편, 아시아 대부분 지역의 열 스트레스 위험은 임계점을 더 자주 넘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아시아 남부에서 그렇습니다.

오스트레일리아

2019-20년 호주 남동부지역에서 “전례없는” 들불이 발생해 전세계 뉴스 헤드라인을 차지했습니다. “평소보다 특별히 더 건조한 조건에서 발생하는 폭염과 건조한 날씨”가 들불을 더 많이 일으킵니다. 기후가 따뜻해지면 오스트레일리아 대부분 지역과 뉴질랜드 상당 지역에서 들불, 특히 “불이 만들어낸 상승기류(pyroconvection)”가 증가할 것입니다.

비는 오스트레일리아 남부와 동부 지역에서 감소할 것입니다. 그러나 오스트레일리아 중앙 지역과 북동부 지역에서는 증가할 것이며, 이로 인한 홍수도 증가할 것입니다. 오스트레일리아 전 지역에서 폭염이 더 자주 발생할 것입니다.

“모든 RCPs* 시나리오에서, 농업과 건강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열 임계점 예를 들어 35도 혹은 40도를 넘는 일이 오스트레일리아 전 지역에서 더 자주 일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 AR6 WG1 보고서
*RCPs : AR5 보고서에서 사용된 기후 시나리오.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남아메리카는 세계에서 가장 큰 열대우림인 아마존의 고향입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아마존은 남아메리카의 “건조 위험지역” 두 곳 중 하나이며, 이번 세기에 걸쳐 농업 가뭄과 생태적 가뭄, 건조 상태가 증가할 것입니다.  또한 아마존 지역은 앞으로 일어날 온난화와 무관하게, 21세기 동안 전세계에서 “산불 위험지수”(fire weather indices)가 가장 높은 지역이 될 것입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2100년까지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대부분 지역이 “훨씬 더 자주” 폭염을 겪게 될 것입니다.

미래의 강우 패턴은 대륙 전역에 걸쳐 달라질 것입니다. 그러나 안데스 산맥의 빙하와 영구동토가 녹으면서 강물의 양은 줄어들 것입니다. 모든 미래 온난화 시나리오에서 강물의 양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특히 “빙하가 만든 호수가 터지면서 대규모 홍수“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게다가 해수면 높이가 계속 상승하면서 저지대 지역에 위치한 해안 지역에 홍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림 5] 빙하 호수의 위치와 면적. 2015-18년 사이에 측정된 면적 0.05 km2 이상 200 km2 이하의 호수가 표시되어 있다. 점 하나는 호수 하나를 의미. 붉은 점선 내부 지역은 데이타 없음. (출처 : CarbonBrief. Source: Shugar et al. 2020)

유럽

유럽 전역에 걸쳐 폭염이 더 자주 일어날 것이며, 남부 쪽으로 갈수록 “더 증가”할 것입니다. 강 범람은 중앙 유럽과 서부 유럽에서 증가하겠지만, 유럽 북부와 동부 그리고 남부 지역에서는 감소할 것입니다.

유럽의 알프스 지역과 스칸디나비아에 있는 빙하는 더 많이 녹을 것이며, 영구동토도 계속 녹을 것입니다.

“북부 유럽의 주빙하지역*(periglacial)은 가장 낮은 배출 시나리오의 경우에도 이번 세기 말이 되면 사라질 것이다.”

– AR6 WG1 보고서
*주빙하지역 :  빙하 주변 지역으로, 빙하의 직접적인 영향권 밖에 있어 여름 동안에는 표토가 녹지만 심토는 영구동결상태인 지역.

지중해지역은 기온 증가와 강우 감소가 결합되면서 더 건조한 지역이 될 것입니다. 2도 혹은 그 이상으로 기온이 올라갈 경우 농업 가뭄, 생태적 가뭄, 하천 가뭄이 모두 증가할 것이며, 들불도 더 많이 발생할 것입니다.

또한 지구온난화가 계속 진행되면 해수면 상승과 폭우 현상이 결합되어 발생하는 홍수가 북부 유럽 지역에서 흔하게 나타날 것입니다.

북아메리카

북아메리카 지역에서 산불 위험도가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강조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로 인해 2000-15년에 걸쳐 미국 서부 지역 숲 지역의 75%이상이 불이 잘 붙는 건조한 연료 상태가 되었습니다. 또한 매년 “화재 가능성이 높은” 날이 9일씩 더 늘어났습니다. 기온상승폭이 2도가 되면 북아메리카 전 지역에 걸쳐 산불 시즌이 “극적으로 증가”할 것입니다.

[그림 6] 미국 서부 지역의 연간 산불 발생 회수 변화 추이. 1984-2011. (출처 : Center for Climate and Energy Solutions.Fourth National Climate Assessment. source : Dennison et al)

북아메리카 지역에서 발생하는 열대성 저기압(tropical cyclone), 심한 바람과 먼지 폭풍 또한 “더 극단적인 쪽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멕시코와 미국 연안 지역, 대서양 연안 지역에서 바람의 풍속은 더 빨라지고 비 강도는 높아지고 폭풍도 급증할 것입니다.

작은 섬

카리브 해와 태평양에 위치한 작은 섬에서는 해수면 상승이 “주요한 위협”입니다. 해수면이 상승하게 되면 “저지대 해안 지역의 공동체, 기반시설, 생태계와 물 자원 등에 미치는 기후 재난의 영향이 더욱 악화”될 수 있습니다.

작은 섬의 경우에 시나리오 RCP4.5*와 RCP8.5 경로로 가면, 2100년까지 해안선이 100미터 이상(중앙값) 내륙으로 밀고 들어오는 것(해안선 후퇴)으로 보고서는 예측합니다. 카리브해 지역이 특히 취약하며, 모든 RCPs 시나리오에 대해 (2100년이 되면) 해안선이 2010년에 비해 내륙 쪽으로 200미터 더 후퇴할 것입니다.
*RCPs : AR5 보고서에서 사용된 기후 시나리오.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열대성 사이클론은 바람이 강력해서 작은 섬 지역에 “파괴적인 영향”을 줍니다. 지구온난화에 따라 폭풍의 빈도는 줄어들지만 더 강력해질 것입니다(중간 신뢰도). 바다 표면 온도가 증가하면 열대성 사이클론의 강도가 카리브해 지역 전역에서 높아지며, 해수면 상승은 밀려오는 폭풍의 잠재력을 더 강력하게 만듭니다. 그러나 “폭풍의 경로가 지역적으로 다른 점을 고려해보면 작은 섬 지역의 경우 기후 현상은 상당히 달라질 수” 있습니다.


번역, 정리 : 황승미 (녹색아카데미)

카본브리프의 기사 원문 보기 In-depth Q&A: The IPCC’s sixth assessment report on climate science. Carbon Brief Staff. 2021. 8. 9. CarbonBrief.


녹색아카데미 웹진 편집자주

* SSP

SSP는 “공통 사회경제 경로”(Shared Socio-economic Pathways)의 줄임말로, “미래 사회경제 발전에 대한 다섯 가지 개괄적인 내러티브”를 기술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적은 시나리오가 SSP1이고, 가장 많은 시나리오가 SSP5입니다. (AR6, WG1 보고서)

  • SSP1-1.9 : 2100년에 기온상승폭이 1850-1900년 대비 1.5도 이하로 억제되는 시나리오. 21세기 중반에 산업화이전 시기 대비 기온상승폭 1.5도를 약간 벗어나고 이산화탄소 넷제로 배출을 달성하는 시나리오.
  • SSP1-2.6 : 21세기 하반기에 이산화탄소 넷제로 배출을 달성하고 기온상승폭은 2도 이하로 유지하는 시나리오.
  • SSP2-4.5 : 파리협정에서 약속한 기온상승폭의 위쪽 끝에 해당. 21세기 말에 기온상승폭이 2.7도(2.1~3.5도 범위)에 달한다.
  • SSP3-7.0 : 기후 정책이 없으며 기온상승폭이 중간 이상인 시나리오. 특히 CO2 이외 온실가스와 에어로졸 배출량이 높은 경우. 세기말 기온상승폭은 3.6도(2.8~4.6도 범위).
  • SSP5-8.5 : 기후 정책이 없으며 기온상승폭이 가장 높은 시나리오. 배출량이 이 시나리오만큼 높은 경우는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공통 사회경제 경로에서만 나타난다. 세기말 기온상승폭은 4.4도(3.3~5.7도 범위)
[그림 7] 다섯 개의 핵심 시나리오별 지구표면 온도 상승 곡선 비교. 1850-1900년 대비. 시나리오 이름 뒤의 숫자 1.9, 2.6, 4.5, 7.0, 8.5는 복사강제력이다. 복사강제력(radiative forcing)은 어떤 인자가 대기시스템에 영향을 주어 에너지 평형을 변화시키는 영향력의 척도로, 여기서는 평방미터당 온실가스가 흡수하는 에너지량(W; 와트)을 의미한다.(출처 : CarbonBrief. Source: IPCC (2021) Figure SPM.8a.)

알림

  • 본문에서 *표시는 편집자 주입니다. 번역, 요약하면서 더 자세한 설명이 필요한 곳에 추가하였습니다.
  • 이 글의 이해를 돕기 위해 IPCC의 보고서에 나오지 않는 그림과 표도 포함하였습니다. 이번 IPCC AR6 WG1 보고서에 등장하는 그림에는 그림제목에 IPCC라는 표시를 하였으므로 참고하여 읽어주세요.
  • 이 글에 등장하는 번역어, 용어 등은 녹색아카데미 웹진 편집자가 신문 기사나 정부 문서(AR5 한국어 번역본) 등을 참고하여 선택해 사용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더 정확한 우리말 표현은 다른 정부 문서나 추후 번역되어 발간될 IPCC 제6차 평가보고서 한글본을 참고해주세요.
  • 스킨 문제로 이곳에서는 댓글 달기가 되지 않습니다. 기사의 내용에 대한 댓글이나 의견은 녹색아카데미 페이스북 그룹트위터인스타그램 등을 이용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연철학 세미나 게시판과 공부모임 게시판에서 글을 쓰실 수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