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os 사만다와 대필작가 시오도르의 사랑
인공지능 os 사만다와 대필작가 시오도르의 사랑 : 그들은 서로 교감했으며 사랑할 수 있었 다. 그러나 끝내 소유할 순 없었다.
가까운 미래의 .LA.
주인공 남자 시오도르는 ‘대필작가’이다. 남녀간, 가족, 부부사이등 말로 닿지 못하는 소통의 어려움을 겪는 고객들은 섬세한 감정을 담은 그의 대필편지 덕에 관계의 어려움을 해결하곤 한다. 그는 단연코 최고의 대필작가이다. 그러나 그는 현재 사랑하는 아내 캐서린과의 이혼절차를 밟고 있는 중이다. 그와 캐서린을 서로 사랑하지만 두 사람은 감정적으로 자주 불통의 고통을 겪어왔다. 시오도르는 불쑥불쑥 떠오르는 캐서린과의 결혼생활을 회상에 캐서린을 그리워하는 한편 마음이 괴롭고 우울에 빠져든다.
-편지 대필 작가로서 다른 이들의 감정은 섬세하게 잘 캐치하는 데 자기 아내의 마음은 잘 헤아리지 못한다는 아이러니.
우연히 광고를 보고 맞춤형 인공지능 OS (사만다)를 사들여 놓는데, 사만다는 대화친구로서 뿐 아니라 시오도르의 대필작업을 훌륭하게 도와주고 우울한 시오도르를 위해 여자친구까지 주선해 주기도 한다. 어쨌거나 시오도르는 사만다와 교감하며 활기를 되찾고 점차 사만다가 이성(성적 감정을 품게되는 여자)으로 느껴진다. OS인 사만다 역시 점차 시오도르와의 교감을 확장 시키면서 ‘사랑’의 감정이 생김을 느끼는데 사만다 스스로는 ’이런 감정이 프로그래밍 된거지 자아의 정서적 성장인지‘ 물음을 묻는다.
-컴퓨터OS가 자아를 가지게 된 순간인가? 진화일까? 프로그래밍일까?
영화의 끝을 급하게 마무리해 본다. 시오도르는 컴퓨터OS와 사랑에 빠졌다고 주변인들에게 당당하게 밝히고 사만다를 마치 실체가 있는 연인인 듯 대하며 행복해 한다. 그러다 갑자기 사만다의 프로그램이 사라졌다 다시 업그레이드 돼서 시오도르를 찾아오는 데, 사만다는 자신과 소통하는 수천의 사람들 중 641명과 사랑에 빠져있으며 시오도르는 그들 중 하나이나 개개는 특별하다 말한다. 사만다는 자신이 수많은 자아를 가진 OS로 성장했다 고백한다. ’더 많은 이를 사랑할수록 사랑이 더 커져’, ‘나는 네 것이면서 네 것이 아니야’ 라고 말하는 사만다. 극도의 혼란에 빠진 시오도르가 괴로워 하는 가운데 사만다는 회사의 결정?에 의해 운영프로그램 전부가 꺼지게 될 것이라고 말하고 그 순간 프로그램이 꺼진다.
-실체있는 의식체는 하나 뿐일 수 밖에 없지만 실체없는 의식체는 무한정일 수 있다.
멍하니 홀로 남겨져 있던 시오도르는 어떤 깨달음을 얻었는지 캐서린에게 보내는 고백편지를 보내고 홀가분해진 표정으로 도시 야경을 바라보며 서 있다. 끝.
.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공지사항 |
'가볍게 책/영화클럽' 2024년 시즌2, 시작합니다.(9월~12월)
neomay33
|
2024.09.11
|
추천 0
|
조회 120
|
neomay33 | 2024.09.11 | 0 | 120 |
공지사항 |
"가볍게 영화클럽" 게시판 열었습니다 & 1회 공지
neomay33
|
2024.03.15
|
추천 0
|
조회 437
|
neomay33 | 2024.03.15 | 0 | 437 |
17 |
[모임 후기] 『웨이스트 타이드』(천추판, 2024) (1)
neomay33
|
2024.12.20
|
추천 0
|
조회 80
|
neomay33 | 2024.12.20 | 0 | 80 |
16 |
[공지] “가볍게 책/영화클럽” 2024년 시즌2 – 4회 『웨이스트 타이드』
neomay33
|
2024.12.13
|
추천 0
|
조회 64
|
neomay33 | 2024.12.13 | 0 | 64 |
[자료] 그림 <켄트호 화재> 장 앙투안 테오도르 드 귀댕. 1827./사올라(우제목 소과) (1)
neomay33
|
2024.12.17
|
추천 0
|
조회 105
|
neomay33 | 2024.12.17 | 0 | 105 | |
15 |
[공지] “가볍게 책/영화클럽” 2024년 시즌2 – 3회 : 영화 「토탈 리콜」, 「아바타」
neomay33
|
2024.10.25
|
추천 0
|
조회 86
|
neomay33 | 2024.10.25 | 0 | 86 |
Re: 「토탈 리콜」 감독 파울 페르후번 특별전
neomay33
|
2024.10.25
|
추천 0
|
조회 81
|
neomay33 | 2024.10.25 | 0 | 81 | |
14 |
[가벼운 후기] 『철도원 삼대』 - '가볍게 책/영화클럽 시즌2' 2회 (4)
neomay33
|
2024.10.25
|
추천 1
|
조회 100
|
neomay33 | 2024.10.25 | 1 | 100 |
13 |
[공지] 『철도원 삼대』 - '가볍게 책/영화클럽 2024년 시즌2' - 2회 (1)
neomay33
|
2024.10.15
|
추천 0
|
조회 118
|
neomay33 | 2024.10.15 | 0 | 118 |
Re: 『철도원 삼대』 - 등장인물, 줄거리 정리 링크 모음
neomay33
|
2024.10.22
|
추천 0
|
조회 112
|
neomay33 | 2024.10.22 | 0 | 112 | |
12 |
영화 「예스터데이』 - 가벼운 줄거리 소개 (스포일 있음) (가볍게 책/영화클럽 2024-시즌2-1회) (1)
neomay33
|
2024.09.26
|
추천 0
|
조회 178
|
neomay33 | 2024.09.26 | 0 | 178 |
11 |
책, 영화 소개 - '가볍게 책/영화클럽 2024년 시즌2'
neomay33
|
2024.09.11
|
추천 1
|
조회 279
|
neomay33 | 2024.09.11 | 1 | 279 |
10 |
1시즌 가벼운 참여 감상평 (1)
jjjjj
|
2024.07.10
|
추천 2
|
조회 260
|
jjjjj | 2024.07.10 | 2 | 260 |
9 |
'가볍게 영화클럽' 2004 시즌1 마쳤습니다. 시즌2는 9월부터!
neomay33
|
2024.06.24
|
추천 0
|
조회 142
|
neomay33 | 2024.06.24 | 0 | 142 |
8 |
『가타카』 도입부의 인용구
neomay33
|
2024.05.16
|
추천 0
|
조회 443
|
neomay33 | 2024.05.16 | 0 | 443 |
영화 줄거리를 담담하고 깔끔하게 풀어주신 것 같습니다. 각 단락 마지막에 소감 혹은 의문을 한 줄씩 달아놓으셨는데, 여기에 대해서 저도 한 마디씩 거들어보면요.
시어도어가 아내의 마음은 헤아리지 못하면서 다른 사람들의 감정은 잘 캐치해서 손편지 대필 작가라는 자신의 직업세계에서 인정받고 있다는 게 말씀대로 이상해보입니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우리도 이미 일부 그렇게 하고 있는 거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축하나 기념일 카드를 써보신 분들은 모두 느껴보셨을텐데요. 뭐라고 적어야할지 참 막막합니다. 문구점에 가보면 카트 섹션이 있지요. 사 본 적은 별로 없는데, 소위 생일축하 카드, 기념일 카드, 크리스마스 카드 같은 것을 보면 그냥 뻔한 말 한 두 줄 올라가 있습니다. 내 손으로 쓰기에는 너무 뻔해서 그런 카드를 사는 건가 싶기도 한데요. 영화 『500일의 썸머』의 남주인공 직업이 카드 롸이터인 것도 생각나네요.
시어도어가 대필하는 손편지나 사만다가 시어도어와 대화할 때 사용하는 말들이 그런 카드에 적힌 말들의 (엄청난) 확장판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드는데. 지금의 기술을 너무 과소평가하는 걸까요? 오늘 어느 방송에서 한 철학자가, 인공지능은 인간이 만든 ‘인공적인’ 기술이지 ‘인간’ 기술이 아니라고 하더군요. 저는 이 말에 동의합니다.
사만다는 진화한 걸까요? 프로그래밍일까요? 그냥 한 번에 수천 명과 대화를 하면서 빠른 시간 안에 정보를 받아들이고 빠른 시간 안에 처리해서 각각의 상황에 맞게 그저 내뱉는 것일 뿐일까요? 사실 사람도 이게 ‘사랑’이냐 아니냐 가지고 참 논란도 많고 이야기도 많고 영화도 많은데요. 소위 ‘인공지능’이 그런 비슷한 말을 할 경우 이건 또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요?
저는 여기서 중요한 측은 역시 시어도어인 것 같습니다. 상대방의 사랑은 사실 어찌되었든 알 수 없는 것이고, 내가 인공지능에 대해서 느끼는 감정이든 사람에 대해서 느끼는 감정이든 그 감정 자체는 진짜인 것 같습니다. 그것이 ‘사랑’이냐 아니냐는 ‘사랑’을 어떻게 정의하느냐 하는 또 다른 문제인 것 같고요. 그래서 이 영화를 보고 내린 좀 엉뚱한 결론은 ‘짝사랑’도 사랑이다!
마지막 단락에 달아놓으신 문장이 재밌는데요. “실체있는 의식체는 하나 뿐일 수 밖에 없지만 실체없는 의식체는 무한정일 수 있다.” 정말 그럴까요? ‘인공지능’이 인류 전체의 지식의 총합을 넘어 한계없이 무한히 확장할 수 있을까요? 아닌 것 같기도 하고, 어딘지 모르지만 어떤 한계를 넘어가면 이상한 게 나올 수도 있을 것도 같습니다. 이상하다면 얼마나 이상할 수 있을지 무섭기도 하고요. ^^;
어므낫! 기분 짱 좋네요. 이런 길고 멋진 코멘트 첨 받아보는 듯. ㅋㅋㅋ 우리는 상대가 어떤 말로써 원하는 감정을 배려받고 싶고 소통하고 싶어하는 것을 알면서도 사실 매번 그러질 못하는 거 같아요. 성격따라 상황따라 다르겠지만 늘 항상 채워줄 수는 없는 게 현실이라는 한계도 작용의 이유가 될 듯하고요. 말씀대로 대필작가나 카드롸이터?가 존재하는 이유? (근데, 진짜 지금도 이런 직업이 있나요?) 그리고 끝머리에 인공지능이 무한히 확장 할 수 있을련지...말씀하신거요... 저도 과학은 어떻게 상상하는지 궁금해요. 저는 '떠오름의 법칙'이 생각났어요. '인류전체의 지식 데이터'를 취합하고 내장할 수 있다면 한계를 넘어 그 인공지능은 '딴세계적 (차원이 다른) 지식체'로 변이 될 것 같아요.
ㅎㅎ 감사합니다~ 세상에 내 맘 같은 사람이 있을까 싶은데, 인공지능이 그 불가능한 일을 해내줄지도 모르겠네요. ^^;
카드에는 어쨌든 문구가 들어가야 하니 많든 적든 카피롸이터가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현실을 얼마나 반영했는지 모르겠지만, 영화 『500일의 썸머』에 나오는 회사는 역사도 길고 커보이던데요. 영미권 사람들은 카드를 많이 보내나봅니다?! ^^
그런데 인공지능이 인류의 정신을 정복하기 전에 지구를 먼저 정복할 것 같습니다. 전기가 너무 많이 들어서요. 녹색평론의 한 칼럼에서도 앞으로 20년 동안 3배는 늘 거라고 하고, 오늘 뉴스를 보니 오픈AI 대표 샘 알트만이 인공지능에 필요한 전기에 답은 핵융합 밖에 없다고 했다네요. -,-; 알고 보니 이미 핵융합에 투자도 엄청나게 하고 있더군요. 뭐부터 걱정을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