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정(이벤트)이 종료되었습니다.
3기 새 자연철학 세미나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공부모임 18회
2월 24일 8:30 오후 – 10:30 오후 KST
2024년 10월 14일부터 약 25회 예정으로 3기 새 자연철학 세미나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공부모임이 진행됩니다.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2019, 추수밭)를 읽고 토론하면서 학자 장회익이 확립한 통합적인 자연 이해에 접해봅니다. 자세한 계획은 3기 새 자연철학 세미나 안내 페이지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3기 새 자연철학 세미나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공부모임 18회
때 : 2025년 2월 24일 월요일 오후 8시 30분 ~ 10시 30분
곳 : 온라인 Zoom 모임공간 ID – 818 2881 9155 (https://khu-ac.zoom.us/j/81828819155)
이야기 주제와 읽을 부분 :
- 생명이란 무엇인가 2 – 진행형 복합질서로서의 이차질서와 생명의 구조
- 제7장 “생명이란 무엇인가?”
- 내용정리 후반부 (pp. 369-379)
- 해설 및 성찰
- 대담 녹취록 및 영상 <자연철학 이야기>
- 제7장 “생명이란 무엇인가?”
참고할 만한 녹색아카데미 홈페이지의 글들 :
- 녹색아카데미 새 자연철학 세미나 게시판
- 새 자연철학 세미나 게시판 중 ‘생명’글들
- 과학·학술 칼럼 글 세포내공생과 자유에너지로 본 생명 – (1)생명을 어떻게 이해할까
- 과학·학술 칼럼 글 세포내공생과 자유에너지로 본 생명 – (2)생명을 정의하는 문제와 철학적 문제
- 과학·학술 칼럼 글 세포내공생과 자유에너지로 본 생명 – (3) 자체촉매적 국소 질서의 출현
- 과학·학술 칼럼 글 세포내공생과 자유에너지로 본 생명 – (4) 생화학의 눈으로 본 생명: 자유에너지
- 과학·학술 칼럼 글 세포내공생과 자유에너지로 본 생명 – (5) 생화학의 눈으로 본 생명: 염기성 열수 분출구
- 과학·학술 칼럼 글 세포내공생과 자유에너지로 본 생명 – (6) 내부공생 – 1
- 과학·학술 칼럼 글 세포내공생과 자유에너지로 본 생명 – (7) 생화학의 눈으로 본 생명: 내부공생 – 2
- 과학·학술 칼럼 글 세포내공생과 자유에너지로 본 생명 – (8) 바탕체계와 온생명
2월 17일 모임에서는 생명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개념으로 ‘질서’ 개념과 ‘자체촉매적 국소질서’에 대해 이야기를 주로 나누었습니다. 어떤 대상을 ‘이해한다는 것’이 더 보편적인 원리에 입각해서 대상을 자리매김하는 것이라고 본다면 생명을 ‘이해’하려면 자연의 바탕 이치에 따라서 우리가 소위 ‘생명’이라 부르는 존재물이 어떻게 가능하게 되는지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장회익 자연철학은 ‘질서’ 개념으로부터 출발하여 외부로부터 ‘자유에너지’가 공급될 때 비평형 준안정 상태의 ‘국소질서’가 유지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합니다. 그리고 ‘자체촉매적 국소질서’라고 하는 특수한 국소질서가 생겨날 경우에는 국소질서의 유지를 넘어서 짧은 시간 내에 정교함을 더해갈 수 있어 질적으로 완전히 다른 질서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냅니다. 17일 모임에서는 이 ‘자체촉매적 국소질서’가 단순 국소질서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여러 각도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2월 24일의 열여덟 번째 모임에서는 ‘이차질서’ 개념과 장회익 자연철학의 고유개념인 온생명과 낱생명, 보생명 개념을 통해 ‘생명의 구조’에 대해 공부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