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정(이벤트)이 종료되었습니다.
3기 새 자연철학 세미나 [자연철학 강의 공부모임] 4회
2024년 11월 4일 8:30 오후 – 10:30 오후 KST
2024년 10월 14일부터 약 25회 예정으로 3기 새 자연철학 세미나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공부모임이 진행됩니다.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2019, 추수밭)를 읽고 토론하면서 학자 장회익이 확립한 통합적인 자연 이해에 접해봅니다. 자세한 계획은 3기 새 자연철학 세미나 안내 페이지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3기 새 자연철학 세미나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공부모임 4회
때 : 2024년 11월 4일 월요일 오후 8시 30분 ~ 10시 30분
곳 : 온라인 Zoom 모임공간 ID – 818 2881 9155 (https://khu-ac.zoom.us/j/81828819155)
이야기 주제와 읽을 부분 :
- 고전역학 2 – 고전역학의 바탕 구도와 구체적 활용 사례
- 제2장 “소의 자취를 보다: 고전역학”
- 내용 정리 pp. 113-123 – 낙하운동, 용수철에 달린 물체의 운동, 포물선 운동 등과 3차원 공간 바탕 관념
- 해설 및 성찰
- 권말 부록 A.9 미분과 적분
- 대담 녹취록 및 영상 <자연철학 이야기>
- 녹색아카데미 새 자연철학 세미나 게시판
- 제2장 “소의 자취를 보다: 고전역학”
- “새 자연철학 세미나에서 답을 얻고자 하는 나의 큰 질문 3가지” 소개
10월 28일 세 번째 모임에서는 여러 분들의 “함께 이야기 나눌 만한 나의 질문들”을 통해서 앎의 틀과 앎의 대상 사이의 문제, 데카르트의 진리 인식 방법, 고전역학의 핵심 개념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습니다. 이야기 나눈 주제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 앎의 대상은 실재하는가? 관념 체계 안의 한 요소일 뿐인가?
- 데카르트의 자연철학, 인식의 방법 등을 어떻게 볼 것인가?
- 고전역학의 핵심 개념들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11월 4일 네 번째 시간에는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2장의 ‘내용정리’ 중후반부와 ‘해설 및 성찰’ 부분을 읽고 고전역학의 바탕 구도가 구체적인 운동 사례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익혀 보겠습니다. 비교적 간단한 수준의 수학 풀이도 짚어볼텐데요, 모임 준비하면서 수식 풀이를 일일이 끄적이면서 따라 써보시지요. 눈으로만 읽는 것보다 더 많은 느낌을 느끼실 수 있을 겁니다. “함께 이야기 나눌 만한 나의 질문”도 시시콜콜 올려주세요. 일요일 저녁까지 올려주시면 미리 짝을 지어 묶는 데 도움이 되겠습니다.
아울러 “새 자연철학 세미나를 통해서 답을 얻고자 하는 나의 세 가지 큰 질문”도 계속 받고 있으니 보내주세요. 이메일로 참여하는 분들의 세 가지 큰 질문 묶음 글의 링크를 공유할테니 서로서로 돌려보시지요.
그럼, 다음 월요일인 11월 4일 저녁 8시 반에 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