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아카데미 뉴스레터 – 2025년 6월 일정표



녹색아카데미 6월 모임 일정표 올립니다. 녹색아카데미는 문명, 과학과 자연철학, 기후위기 등 환경문제, 에너지 전환 등을 공부하는 사람들의 모임입니다. 책읽기 모임과 녹색문명공부모임, 자연철학세미나와 양자역학 공부모임을 하고 있습니다.
* 녹색아카데미의 모임은 별도 표시가 없는 한 모두 온라인 모임입니다. 오프라인 모임은 1년에 2회 정도 계획하고 있고, 웹사이트와 SNS에 미리(대체로 한 달 전에) 공지를 올리고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6월 녹색문명공부모임 (6/12. 목) : 생태위기 시대의 사유 방식 – 장회익의 온생명론과 라투르의 가이아 2.0



녹색아카데미에서는 매달 두 번째 목요일 저녁에 온라인으로 만나 문명, 과학, 환경, 기후위기 등을 주제로 공부하고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6월에는 장회익선생님의 온생명 이론과 브루노 라투르의 가이아 2.0 이론을 비교하면서 두 이론을 더 심층적으로 이해해봄으로써 생태위기, 기후위기 상황을 어떻게 헤쳐나갈지 고민하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주제 : 생태위기 시대의 사유 방식 – 장회익의 온생명론과 라투르의 가이아 2.0
* 발제 : 황승미 (녹색아카데미)
* 모임 시간 : 2025년 6월 12일. 목요일. 밤 8:30~10:30
* 모임 장소 : 온라인상의 Zoom 회의실

『삶과 온생명』 장회익. 2014. 현암사.
『생명을 어떻게 이해할까?』 장회익. 2014. 한울아카데미.
『지구와 충돌하지 않고 착륙하는 방법-신기후체제의 정치』(원제: 어디에 착륙할 것인가』) 브뤼노 라투르. 박범순 옮김. 2021. 이음.
『나는 어디에 있는가?-코로나 사태와 격리가 지구생활자들에게 주는 교훈』 브뤼노 라투르. 김예령 옮김. 2021. 이음.
『Facing Gaia: Eight Lectures on the New Climatic Regime』 Bruno Latour. 2017. John Wiley and Sons Ltd.
브루노 라투르의 기포드 강연 (2013년 2월. 에든버러 대학)
이지선. 2021. “무한 우주에서 닫힌 세계 혹은 갇힌 지상으로 – 라투르의 정치생태학과 우주주의적 지구론”. 환경철학 2021, vol 32, pp. 119-148 (30 pages) DOI : 10.35146/jecoph.2021..32.006

* 참가 문의 : 녹색아카데미 greenacademy.kr@gmail.com
– 참가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위 메일로 신청해주세요. 온라인 참석 방법을 안내해드립니다.
– 녹색아카데미 기존 모임에 참가하고 계신 분들은 따로 신청 안 하셔도 됩니다. 모임 시간에 맞춰 온라인 세미나실로 들어오시면 됩니다.


‘새 자연철학 세미나’ 3기 – 『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



녹색아카데미는 장회익의 자연철학을 공부하는 1년 과정의 온라인 공부모임을 엽니다. 장회익 선생님의 후기 저작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에 이어 오는 5월 12일부터 『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를 저자와 함께 읽고 토론합니다. 자세한 안내는 안내글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책읽기 모임 “책새벽 – 월” : 『침묵의 봄』



  • ‘책새벽-월’에서는 참가자들의 추천과 투표를 통해 읽을 책을 선정해 읽고 있습니다. 현재 환경 분야의 현대 고전이라 할 수 있는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을 읽고 있고, 지금까지 『인포메이션』, 『뉴맵: 에너지, 기후, 지정학이 바꾸는 새로운 패권 지도』, 『선과 모터사이클 관리술』, 『역사의 역사』, 『역사란 무엇인가』, 『사피엔스』를 읽었습니다. 모임 방식과 책, 작가에 대한 자세한 안내는 링크의 글을 참조해주세요.
  • 읽는 책 : 『침묵의 봄』. 레이첼 카슨 지음. 김은령 옮김. 2024. 에코르브르.
  • 모임 시간 : 매주 월요일 아침 6~7시
  • 모임 공간 : 온라인 회의 앱 Zoom
  • 참가 문의 : 녹색아카데미 greenacademy.kr@gmail.com

책읽기 모임 “책새벽-화-과학” : 『온도계의 철학』



  • 읽을 책 : 『온도계의 철학』. 장하석 지음. 오철우 옮김. 동아시아. 2004/2013.
    이 책의 저자 장하석 교수는 현재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과학사-과학철학과 석좌교수로, 물리학과 철학을 넘나들며 과학의 본질을 깊이 탐구해오고 있습니다. 『온도계의 철학』은 온도를 재는 도구인 온도계를 통해, 우리가 당연하게 여겨온 과학적 개념들이 어떻게 역사적·사회적 맥락 속에서 형성되었는지를 흥미롭게 풀어내는 책입니다. 과학은 단순한 사실의 모음이 아니라, 인간의 사고와 해석이 스며든 복합적인 활동임을 보여줍니다. 과학사와 과학철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이 책을 함께 읽으며, 과학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나눠보면 좋겠습니다.
  • 모임 시간 : 6월 24일부터 15회, 매주 화요일 아침 6~7시.
  • 모임 공간 : 온라인 회의 앱 Zoom
  • 참가비 : 15,000원 (1회 1,000원 * 15회. 모임 기간이 늘어나도 참가비를 추가로 내지 않습니다.)
  • 책새벽-화 모임 게시판 바로가기
  • 참가 문의 : 녹색아카데미 greenacademy.kr@gmail.com

책읽기 모임 “책밤-화” : 『추측과 논박 1』



  • ‘책밤'(화)에서는 참가자들의 추천과 투표를 통해 읽을 책을 선정하고 있습니다. 현재 칼 포퍼의 『추측과 논박』 1권을 읽고 있고, 지금까지 『소유란 무엇인가』, 『우연과 필연』, 『종의 기원』, 『에티카를 읽는다』, 『옥스퍼드 과학사』, 『상대성이론의 결정적 순간들』을 읽었습니다.
  • 읽는 책 : 『추측과 논박 1』. 칼 포퍼 지음. 이한구 옮김. 2001. 민음사.
  • 모임 시간 : 매주 화요일 밤 9~10시
  • 모임 공간 : 온라인 회의 앱 Zoom
  • 책밤-화, 모임 게시판 바로 가기
  • 참가 문의 : 녹색아카데미 greenacademy.kr@gmail.com

책읽기 모임 “책새벽 – 수” : 『Cosmos』



책새벽-수에서는 영문 책을 읽고 있습니다. 첫 책은 칼 세이건의 『Cosmos』입니다.
* 이 모임은 함께 돌아가면서 소리내어 읽는 윤독 모임입니다(강독 모임 아님). 55분 동안 책을 읽고 5분 동안 그날 읽은 내용에 대해 이야기 나눕니다.
* 이 모임은 서로 함께 도와가면서 질문하고 공부하는 모임입니다. 관련 분야의 전문가가 따로 있어서 이끌어주는 모임이 아님을 유념해주세요.


책읽기 모임 “책새벽 – 목” :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2권



‘책새벽-목’에서는 아르놀트 하우저의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을 읽습니다. 현재 1~4권 중 2권을 읽고 있습니다. 앞 시즌에서는 『미적분의 힘』과 『최무영교수의 물리학 강의』, 『완벽한 날들』, 『산책자를 위한 자연수업』을 읽었습니다.

  • 현재 읽는 책 :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2. 르네상스, 매너리즘, 바로끄』 아르놀트 하우저 지음. 백낙청, 반성완 옮김. 2016(2판). 창비.
  • 모임 시간 : 매주 목요일. 오전 6~7시.
  • 모임 공간 : 온라인 회의 앱 Zoom
  • 책새벽 – 목, 모임 게시판 바로가기
  • 참가 문의 : 녹색아카데미 greenacademy.kr@gmail.com

책읽기 모임 “책새벽 – 금” : 세계철학사 4 – 탈근대 사유의 지평들



  • ‘책새벽-금’에서는 이정우선생님의 『세계철학사』를 읽습니다. 이번 시즌에는 마지막 권인 4권을 읽고 있습니다 모임에 대한 자세한 안내는 링크의 글을 참조해주세요.
  • 읽는 책 : 『세계철학사 4 – 탈근대 사유의 지평들』 이정우. 2021. 길.
  • 모임 공간 : 온라인 회의 앱 Zoom
  • 『세계철학사』 게시판 바로 가기
  • 참가 문의 : 녹색아카데미 greenacademy.kr@gmail.com

* 책읽기 모임에 대한 자세한 안내는 일정 메뉴를 참고해주세요. 다음 시간에 읽을 곳이 어디인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의견이나 제안, 모임 참석 문의는 이곳에 댓글로 남겨주시거나 녹색아카데미 페이스북 그룹인스타그램 등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철학 세미나 게시판과 녹색문명공부모임 게시판, 가볍게 책/영화클럽 게시판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의 : 녹색아카데미 greenacademy.kr@gmail.com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