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아카데미 뉴스레터 – 2024년 10월


2024년 10월 한 달 동안 녹색아카데미 소식을 한 곳에 모아 전합니다. 녹색아카데미는 문명, 과학과 자연철학, 기후위기 등 환경문제, 에너지 전환 등을 공부하는 사람들의 모임입니다. 책읽기 모임과 녹색문명공부모임, 자연철학세미나와 양자역학 공부모임을 해오고 있습니다.
*녹색아카데미의 모임은 별도 표시가 없는 한 모두 온라인 모임입니다. 오프라인 모임은 1년에 2회 정도 계획하고 있고, 웹사이트와 SNS에 미리(대체로 한 달 전에) 공지를 올리고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새 자연철학 세미나’ 3기 –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온라인)

녹색아카데미는 장회익의 자연철학을 공부하는 1년 과정의 온라인 공부모임을 엽니다. 장회익 선생님의 후기 저작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와 『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를 저자와 함께 읽고 토론합니다. 자세한 안내는 위의 안내글 링크와 참가 신청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이번 신청은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에 대한 것입니다. 『양자역학…』은 2025년 3월에 별도로 공지합니다.)

  • 새 자연철학 세미나 –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를 읽고 세미나를 합니다.
  • 일시 : 매주 월요일 저녁 8:30~10:30
  • 장소 : 온라인 zoom 세미나실
  • 자연철학세미나 게시판 바로가기


[안내글 바로가기] ‘새 자연철학 세미나’ 3기 –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를 시작합니다.

[참가신청 바로가기] 3기 새 자연철학 세미나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공부모임


녹색문명공부모임 – 11/14 : 『슈뢰딩거의 자연철학 강의』 (온라인)


  • 녹색문명공부모임
  • 일시 : 2024년 11월 14일. 목요일. 저녁 8:30~10:30
  • 장소 : 온라인 zoom 세미나실
  • 다룰 내용 : 『슈뢰딩거의 자연철학 강의』. 에르빈 슈뢰딩거. 김재영, 황승미 옮김. 2024. 에디토리얼.
  • 발제 : 김재영, 황승미
  • 참가 문의 : 댓글이나 이메일, SNS,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링크는 이 글 말미에 표시해두었습니다.

녹색아카데미에서는 매달 세 번째 목요일 녹색문명공부모임을 합니다. 지난 1년 동안 장회익선생님의 생명, 문명 관련 저작을 가지고 세미나를 했고, 지난 9월에 마쳤습니다. 그 마무리로 주제발표를 통해 좀 더 심도 있는 공부를 할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몇 분이 준비하고 있는데요. 발표 준비를 하는 동안 막간을 이용해 『슈뢰딩거의 자연철학 강의』 (에르빈 슈뢰딩거. 김재영, 황승미 옮김. 2024. 에디토리얼)를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이 책은 슈뢰딩거의 강연을 묶은 책입니다. 슈뢰딩거는 현대 과학적 세계관이 언제 어디에서 기원했는지, 이 세계관의 특수성 혹은 오류에 기원이 있다면 그것이 언제 어디에서 어떻게 생겨났는지 그리스까지 거슬러 올라가 검토합니다. 특히 자신의 전문 분야인 양자이론에는 어떤 문제가 담겨있는지도 이야기해줍니다. 이 작업은 강연이 이루어졌던 19세기 말, 20세기 초의 상황을 반영하고 있는데요. 엄청난 과학의 발전과 성과, 전문화와 분과학문의 발달 등이 오히려 과학 본연의 과업이라고 할 수 있는 우리 존재의 목적, 삶의 의미를 밝히기는 커녕 말살하고 있다는 지적에서부터 문제 의식이 출발합니다. 슈뢰딩거 당시의 상황은 현재 우리의 상황과 크게 다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지금 더 심해졌는데요. 슈뢰딩거는 그러한 상황을 어떻게 분석하고 대안 혹은 방책을 제시하고 있다면 그것은 어떤 것인지 살펴보고, 어떤 도움을 얻을 수 있을지 이야기 나누고자 합니다.


책읽기 모임 “책새벽 – 월” – 시즌5 : 『사피엔스』 (온라인)



  • ‘책새벽-월’에서는 참가자들의 추천과 투표를 통해 읽을 책을 선정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인포메이션』, 『뉴맵: 에너지, 기후, 지정학이 바꾸는 새로운 패권 지도』, 『선과 모터사이클 관리술』, 『역사의 역사』, 『역사란 무엇인가』를 읽었습니다.
  • 읽는 책 : 『사피엔스』. 유발 하라리. 2015. 김영사.
  • 때 : 매주 월요일 아침 6~7시
  • 모임 공간 : 온라인 회의 앱 Zoom
  • 참가 문의 : 댓글이나 이메일, SNS,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링크는 이 글 말미에 표시해두었습니다.

책읽기 모임 “책새벽 – 화/금” 시즌4 : 세계철학사 3 – 근대성의 카르토그라피 (온라인)



  • ‘책새벽-화/금’에서는 철학, 철학사를 공부합니다.
  • 읽는 책 : 『세계철학사 3 – 근대성의 카르토그라피』 이정우. 2021. 길.
  •  : 매주 화, 금요일 아침 6~7시 (주 2회)
  • 모임 공간 : 온라인 회의 앱 Zoom
  • 책꼽문 읽기 : 『세계철학사』 책꼽문 바로 가기
  • 참가 문의 : 댓글이나 이메일, SNS,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링크는 이 글 말미에 표시해두었습니다.

책읽기 모임 “책밤-화” 시즌7 : 『상대성이론의 결정적 순간들』 (온라인)



  • ‘책밤'(화)에서는 참가자들의 추천과 투표를 통해 읽을 책을 선정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소유란 무엇인가』, 『우연과 필연』, 『종의 기원』, 『에티카를 읽는다』, 『옥스퍼드 과학사』를 읽었습니다.
  • 읽는 책 : 『상대성이론의 결정적 순간들』. 김재영. 2023. 현암사.
  •  : 매주 화요일 밤 9~10:10 (70분)
  • 모임 공간 : 온라인 회의 앱 Zoom
  • 관련 자료 게시판 바로 가기
  • 참가 문의 : 댓글이나 이메일, SNS,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링크는 이 글 말미에 표시해두었습니다.

책읽기 모임 “책새벽 – 수 – 시즌6”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5 – 게르망트쪽 1』 (온라인)


‘책새벽-수’에서는 프루스트의 『읽어버린 시간을 찾아서』(1~13권)를 읽습니다. 지금까지 1~4권을 읽었고(김희영 옮김, 민음사), 책에 나오는 예술과 예술가들을 좀 더 알아보기 위해 『프루스트의 화가들』(유예진. 현암사)을 읽었습니다. 시즌6에서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5 – 게르망트쪽 1』을 11월 20일에 시작합니다.

  • 현재 읽는 책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5 – 게르망트쪽 1』 마르셀 프루스트. 김희영 옮김. 2015. 민음사.
  •  : 매주 수요일 아침 6~7시
  • 모임 공간 : 온라인 회의 앱 Zoom
  • 관련 자료 게시판 바로가기
  • 참가 문의 : 댓글이나 이메일, SNS,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링크는 이 글 말미에 표시해두었습니다.

[참가신청 바로가기] ‘책새벽-수-프루스트 읽기’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5권 – 게르망트쪽 1』


책읽기 모임 “책새벽 – 목” 시즌4 : 『산책자를 위한 자연수업』 (온라인)


‘책새벽-목’ 시즌 1~3에서는 『미적분의 힘』과 『최무영교수의 물리학 강의』, 『완벽한 날들』를 읽었습니다. 앞으로 ‘책새벽-목’에서는 환경, 생태, 기후, 자연 등을 주제로 하는 책을 위주로 읽을 계획입니다.

  • 현재 읽는 책 : 『산책자를 위한 자연수업-우리 주변에 널린 자연의 신호와 단서들을 알아보는 법』. 트리스탄 굴리. 김지원 옮김. 이케이북. 2017.
  •  : 매주 목요일 아침 6~7시
  • 모임 공간 : 온라인 회의 앱 Zoom
  • 참가 문의 : 댓글이나 이메일, SNS,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링크는 이 글 말미에 표시해두었습니다.

가볍게 책/영화클럽 2024년 시즌2 3회 : 영화 「토탈 리콜」, 「아바타」 (11/28) (온라인)



‘가볍게 책/영화클럽’은 그동안 공부하고 고민해온 주제들을 영화와 책을 통해 재밌고 색다르고 자유롭게 이야기 나눠보기 위한 모임입니다. 9~12월 동안 진행할 시즌2의 주제는 ‘기후+문명+과학‘입니다. 지난 9월에 영화 『예스터데이』를 가지고 문명과 기억, 기록에 대해서 이야기해보았고요. 두 번째 시간에는 책 『철도원 삼대』(황석영, 2020)을 읽었습니다. 세 번째 시간에는 영화 「토탈 리콜」과 「아바타」를 가지고 이야기 나눕니다.
참가 문의 : 녹색아카데미 greenacademy.kr@gmail.com


의견이나 제안, 모임 참석 문의는 이곳에 댓글로 남겨주시거나 녹색아카데미 페이스북 그룹인스타그램 등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철학 세미나 게시판과 녹색문명공부모임 게시판, 가볍게 책/영화클럽 게시판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의 : 녹색아카데미 greenacademy.kr@gmail.com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