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메뉴
  • 환경
    • 환경 뉴스
    • 환경 칼럼
  • 에너지전환
    • 에너지전환 뉴스
    • 에너지전환 칼럼
  • 과학·학술
    • 과학·학술 뉴스
    • 과학·학술 칼럼
    • 지속가능성 개념어 사전
  • 장회익의 자연철학
    • 자연철학 이야기 대담
    • 책
    • 논문
    • 칼럼, 강의, 강연
  • 공부모임
    • 녹색문명공부모임
    • 새 자연철학 세미나
  • 게시판
    • 새 자연철학세미나 게시판
    • 녹색문명공부모임 게시판
    • 녹색 책/영화클럽 게시판
    • 뉴스레터
  • 일정
  • Log In
    • Register
  • 검색
  • 환경
    • 환경 뉴스
    • 환경 칼럼
  • 에너지전환
    • 에너지전환 뉴스
    • 에너지전환 칼럼
  • 과학·학술
    • 과학·학술 뉴스
    • 과학·학술 칼럼
    • 지속가능성 개념어 사전
  • 장회익의 자연철학
    • 자연철학 이야기 대담
    • 책
    • 논문
    • 칼럼, 강의, 강연
  • 공부모임
    • 녹색문명공부모임
    • 새 자연철학 세미나
  • 게시판
    • 새 자연철학세미나 게시판
    • 녹색문명공부모임 게시판
    • 녹색 책/영화클럽 게시판
    • 뉴스레터
  • 일정
  • Log In
    • Register

녹색아카데미

더 나은 앎으로 푸른 미래를 가꾸는 사람들의 공부모임

새 자연철학 세미나

[참고자료] 데카르트의 자연의 규칙들

자료
고전역학
작성자
자연사랑
작성일
2024-10-28 21:09
조회
596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97쪽에 인용된 르네 데카르트의 "운동의 법칙" 세 가지는 Le Monde de M. Descartes oule Traité de la Lumière (데카르트 선생의 세계 또는 빛에 관한 논고)라는 제목으로 1644년에 처음 출판된 책에 있는 내용입니다. 데카르트는 '운동의 법칙'이란 표현을 따로 쓰지 않았습니다. 원문이 생전에 출판되지 않은 원고여서 장 구분도 되어 있지 않고 장 제목도 없었습니다. 1664년에 원고를 모아 출판한 클로드 클레르셀리에(Claude Clerselier 1614-1684)가 장과 절을 나누고, 장의 제목도 따로 붙였습니다. 1677년에 새로 나온 것도 클레르셀리에의 편집입니다. 클레르셀리에는 7장 제목을 '새로운 세계의 자연의 규칙'이라고 붙였습니다.

아래에 있는 내용은 그 해당 부분을 발췌하여 옮겨 놓은 것입니다.

  • Charles Adam & Paul Tannery, Oeuvres de Descartes. Tome XI (1909) [AT]

« La première est : que chaque partie de la continue toujours d'être en même état, pendant ne la contraint point de changer. C'est-à-dire : elle ne deviendra jamais plus petite, sinon que elle est ronde ou carrée, elle ne changera jamais autres l'y contraignent; si elle est arrêtée en quelque jamais que les autres ne l'en chassent; et si elle se mouvoir, elle continuera toujours avec une égale les autres l'arrêtent ou la retardent. »  (p. 38)

« Je suppose pour seconde Règle : que quand un corps en pousse un autre, il ne saurait lui donner aucun mouvement, qu'il n'en perde en même temps autant du sien; ni lui en ôter, que le sien ne s'augmente d'autant. Cette Règle jointe avec la précédente, se rapporte fort bien à toutes les expériences, dans lesquelles nous voyons qu'un corps commence ou cesse de se mouvoir, parce qu'il est poussé ou arrêté par quelque autre. »  (p. 41)

« J'ajouterai pour la troisième : que lorsqu'un corps se meut, encore que son mouvement se fasse le plus souvent en ligne courbe et qu'il ne s'en puisse jamais faire aucun, qui ne soit en quelque façon circulaire, ainsi qu'il a été dit ci-dessus, toutefois chacune de ses parties en particulier tend toujours à continuer le sien en ligne droite. Et ainsi leur action, c'est-à-dire l'inclination qu'elles ont à se mouvoir, est différente de leur mouvement. » (p. 44)

아래의 영어 번역본을 참조할 수 있습니다.

  • René Descartes, The World and Other Writings. Translated and Edited by Stephen Gaukrog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Chapter 7 The Laws of Nature of this new world

"The first is that each particular part of matter always continues in the same state unless collision with others forces it to change its state. That is to say, if the part has some size, it will never become smaller unless others divide it; if it is round or square, it will never change that shape unless others force it to; if it is brought to rest in some place it will never depart from that place unless others drive it out; and if it has once begun to move, it will always continue with an equal force until others stop or retard it." (pp. 25)

"I put forward as my second rule that when one of these bodies pushes another it cannot give the other any motion except by losing as much of its own motion at the same time; nor can it take away any of the other’s motion unless its own is increased by the same amount. This rule, together with the preceding, accords very well with all those  observations in which we see one body begin or cease to move because it is pushed or stopped by another." (p. 27)

"I shall add as a third rule that, when a body is moving, even if its motion most often takes place along a curved line and, as we said above, it can never make any movement that is not in some way circular, nevertheless each of its parts individually tends always to continue moving along a straight line. And so the action of these parts, that is the inclination they have to move, is different from their motion." (p. 29)

영어 번역본은 https://www.princeton.edu/~hos/mike/texts/descartes/world/worldfr.htm 에서 전체를 볼 수 있습니다.

장회익 선생님께서 인용하신 영어 번역은

  • John Cottingham, Robert Stoothoff, Dugald Murdoch transl. (1985). The Philosophical Writings of Descartes. Two volumes. Cambridge Univeristy Press.

로 출간된 판본으로서, 해당 부분을 번역한 사람은 로버트 스투트호프입니다.

"The first is that each individual part of matter continues always to be in the same state so long as collision with others does not force it to change that state. That is to say, if the part has some size, it will never become smaller unless others divide it; if it is round or square, it will never change that shape unless others force it to; if it is brought to rest in some place, it will never leave that place unless others drive it out; and if it has once begun to move, it will always continue with an equal force until others stop or retard it." (p. 93)

"I suppose as a second rule that when one body pushes another it cannot give the other any motion unless it loses as much of its own motion at the same time; nor can it take away any of the other's motion unless its own is increased by as much." (p. 94)

"I shall add, as a third rule, that when a body is moving, even though its motion for the most part takes place along a curved path and, as we said above, it can never make any movement which is not in some way circular, yet each of its parts individually tends always to continue moving along a straight line." (p. 96)

이와 관련된 [철학의 원리]의 구절은 다음과 같습니다.

  • 르네 데카르트 [철학의 원리] (원석영 옮김. 아카넷, 2012)

36. 신은 운동의 제1원인(primara motus causa)이며, 우주에 항상 동일한 운동의 양(motus quantitas)을 보존한다.

37. 자연의 제1법칙: 각각의 것은 자신에게 달려 있는 한 항상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고자 한다. 따라서 일단 움직여진 것은 항상 운동을 유지하고자 한다.

"첫 번째 법칙은 단순하고 나누어져 있지 않은 한 각각의 것은 자신에게 달려 있는 한 ... 외적인 원인에 의하지 않고선 결코 변화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39. 자연의 제2법칙: 모든 운동은 그 자체로서는 직선 운동이다. 그 때문에 원운동을 하는 것은 항상 자신이 그리는 원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고자 한다.

"이 법칙의 원인은 제1법칙의 원인과 마찬가지로 물질의 운동을 보존하는 신의 작업(operatio)의 불변성과 단순성이 그 원인이다. 왜냐하면 신이 운동을 보존할 때 그것이 조금 전에 어떠했는지를 고려하지 않고 오로지 자신이 그것을 보존하는 바로 그 순간에 있는 것 그대로 보존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어떤 운동도 한순간에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지만, 운동하는 것은 모두 그것이 운동하는 동안 표기될 수 있는 각각의 순간들에서 어떤 방향으로든 휘어진 운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직선을 따라 운동을 계속하도록 규정되어 있음이 명백하다."

40. 자연의 제3법칙: 물체가 자신보다 더 강한 물체와 부딪치면 운동의 양을 조금도 잃지 않지만, 더 약한 물체와 부딪치면 그것은 이 물체에 전달하는 양만큼의 운동의 양을 잃는다.

-----------

전체 0

« [나의 질문] 2장 나의 질문들
[나의 질문] 박** - 2장 - 함께 이야기 나눌 만한 나의 질문 »
목록보기 답글쓰기
글수정 글삭제
전체 723
  • 전체
  • 자료
  • 질문 및 토론
  • 모임 정리
  • 공지사항
  • 세미나 운영
  • 전체
  • 앎의 바탕 구도
  • 고전역학
  • 상대성이론
  • 양자역학
  • 통계역학
  • 우주와 물질
  • 생명
  • 주체와 객체
  • 앎
  • 온전한 앎
  • 자연철학 일반
  • 전자기학
  • 기타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심학십도 그림 자료
녹색아카데미 | 2025.04.28 | 추천 1 | 조회 1771
녹색아카데미 2025.04.28 1 1771
공지사항
2025 <양자역학 이해 강독모임> 계획
녹색아카데미 | 2025.04.23 | 추천 0 | 조회 2066
녹색아카데미 2025.04.23 0 2066
공지사항
3기 새 자연철학 세미나 상세 계획
시인처럼 | 2024.09.12 | 추천 0 | 조회 4563
시인처럼 2024.09.12 0 4563
공지사항
[자료] 유튜브 대담영상 "자연철학이야기" 녹취록 & 카툰 링크 모음 (5)
neomay33 | 2023.04.20 | 추천 3 | 조회 14308
neomay33 2023.04.20 3 14308
공지사항
『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 정오표 (10)
시인처럼 | 2022.12.22 | 추천 3 | 조회 17243
시인처럼 2022.12.22 3 17243
공지사항
[공지] 게시판 카테고리 설정에 대해서 (4)
시인처럼 | 2022.03.07 | 추천 0 | 조회 13598
시인처럼 2022.03.07 0 13598
657
[자료] 헤겔과 뉴턴주의 (1)
자연사랑 | 2024.11.11 | 추천 2 | 조회 597
자연사랑 2024.11.11 2 597
656
[자료] 18-19세기의 중력 개념 (4)
자연사랑 | 2024.11.10 | 추천 1 | 조회 527
자연사랑 2024.11.10 1 527
655
[자료] 뉴턴 방정식의 풀이
자연사랑 | 2024.11.05 | 추천 1 | 조회 608
자연사랑 2024.11.05 1 608
654
[자료] 뉴턴의 힘과 질량 개념
자연사랑 | 2024.11.05 | 추천 1 | 조회 558
자연사랑 2024.11.05 1 558
653
고전역학 수식풀이 (낙하운동, 용수철운동, 포물선운동) (8)
neomay33 | 2024.11.05 | 추천 0 | 조회 658
neomay33 2024.11.05 0 658
652
[나의 질문] 김** - 2장 2 - 함께 이야기 나눌 만한 나의 질문 (5)
시인처럼 | 2024.11.04 | 추천 0 | 조회 477
시인처럼 2024.11.04 0 477
651
[질문과 의견] 뉴턴의 보편중력 개념은 잘못된 형이상학 (3)
자연사랑 | 2024.10.31 | 추천 1 | 조회 706
자연사랑 2024.10.31 1 706
650
[참고자료] 데카르트 vs 뉴턴
자연사랑 | 2024.10.29 | 추천 2 | 조회 1051
자연사랑 2024.10.29 2 1051
649
데카르트 자연의 규칙 또는 뉴턴의 운동의 법칙 중 첫 번째의 의미
자연사랑 | 2024.10.29 | 추천 2 | 조회 855
자연사랑 2024.10.29 2 855
648
[나의 질문] 박** - 2장 - 함께 이야기 나눌 만한 나의 질문 (6)
시인처럼 | 2024.10.28 | 추천 0 | 조회 493
시인처럼 2024.10.28 0 493
  • 처음
  •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 마지막
글쓰기
Powered by KBoard

게시판 글

최신글 내가 쓴 글
몇 가지 질문에 대한 답 (1)
2025.06.30
[자료] 고전역학적 상태의 조작적 의미 (1)
2025.06.29
[자료] 핼리 혜성, 3차원, 예측적 앎 (1)
2025.06.09
[자료] 예측적 앎으로서의 고전역학 (2)
2025.06.08
[자료] 고전역학이라는 용어
2025.06.08
로그인 해주세요.

게시판 댓글

최신댓글 내가 쓴 댓글
서술 중 약간 틀린 것을 수정하고 더 읽기 쉽게 몇 구절을 덧붙였습니다.
2025.07.06
[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를 읽어나갈 때 저는 세세한 부분은 대충 그러려니 하고 넘어가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2장 고전역학에서는 2.2절 "고전역학의 존재론"이 핵심이기 때문에 이 부분은 곱씹어가면서 깊이 그리고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2025.06.30
삼각함수의 미분을 더 쉽게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영상이 https://youtu.be/ S0_qX4VJhMQ?t=757 에 있습니다.
2025.06.16
케플러의 법칙([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 75쪽)에 대한 더 상세한 이야기가 "케플러의 법칙과 뉴턴의 증명"에 있습니다. 또 같은 페이지에 케플러의 법칙을 고전역학에서 유도하는 과정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한 내용을 "케플러 문제의 간단한 풀이"에 상세하게 해설해 두었습니다. 약간 성격이 다르긴 하지만, 미국의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의 1964년 강의가 연관됩니다. 그 내용을 "태양 주변의 행성의 운동 (리처드 파인만의 강의)"에서 소개했습니다.
2025.06.16
'낙하의 문제'([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 62-64쪽)와 관련하여 이전에 쓴 글 "천원지방, 갈릴레오, 뉴턴, 여헌 장현광"이 참고가 될 수 있겠습니다. 특히 70쪽에 소개 되어 있는, 물체를 수평으로 던질 때 그리는 궤적을 구하는 문제는 갈릴레오가 1638년의 저서 [새로운 두 과학](Discorsi e dimostrazioni matematiche intorno a due nuove scienze)에서 처음으로 상세하게 해명하여 과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성취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Two_New_Sciences
2025.06.15
로그인 해주세요.

Upcoming Events

7월 14
6:00 오전 - 7:00 오전 KST

책새벽 – 월. 시즌6 : 『침묵의 봄』 12회

7월 15
6:00 오전 - 7:00 오전 KST

책새벽 – 화 : 『온도계의 철학』 – 4회

7월 15
9:00 오후 - 10:00 오후 KST

책밤-화-과학 : 칼 포퍼 『추측과 논박 1』 – 22회 (마지막회)

7월 16
6:00 오전 - 7:00 오전 KST

책새벽 – 수 : 칼 세이건 『Cosmos』 – 27회

7월 17
6:00 오전 - 7:00 오전 KST

책새벽 – 목 :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 2. 르네상스, 매너리즘, 바로끄』 8회

달력보기

카테고리

녹색아카데미 페이스북 공개그룹

녹색아카데미 페이스북 공개그룹

Copyright © 2025 녹색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

Codilight 테마 제작자 FameThe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