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메뉴
  • 환경
    • 환경 뉴스
    • 환경 칼럼
  • 에너지전환
    • 에너지전환 뉴스
    • 에너지전환 칼럼
  • 과학·학술
    • 과학·학술 뉴스
    • 과학·학술 칼럼
    • 지속가능성 개념어 사전
  • 장회익의 자연철학
    • 자연철학 이야기 대담
    • 책
    • 논문
    • 칼럼, 강의, 강연
  • 공부모임
    • 녹색문명공부모임
    • 새 자연철학 세미나
  • 게시판
    • 새 자연철학세미나 게시판
    • 녹색문명공부모임 게시판
    • 녹색 책/영화클럽 게시판
    • 뉴스레터
  • 일정
  • Log In
    • Register
  • 검색
  • 환경
    • 환경 뉴스
    • 환경 칼럼
  • 에너지전환
    • 에너지전환 뉴스
    • 에너지전환 칼럼
  • 과학·학술
    • 과학·학술 뉴스
    • 과학·학술 칼럼
    • 지속가능성 개념어 사전
  • 장회익의 자연철학
    • 자연철학 이야기 대담
    • 책
    • 논문
    • 칼럼, 강의, 강연
  • 공부모임
    • 녹색문명공부모임
    • 새 자연철학 세미나
  • 게시판
    • 새 자연철학세미나 게시판
    • 녹색문명공부모임 게시판
    • 녹색 책/영화클럽 게시판
    • 뉴스레터
  • 일정
  • Log In
    • Register

녹색아카데미

더 나은 앎으로 푸른 미래를 가꾸는 사람들의 공부모임

새 자연철학 세미나

[자료] 우주와 물질 - 개요

자료
우주와 물질
작성자
자연사랑
작성일
2025-01-27 22:45
조회
817
3.1x
96x
3.1x
96x
3.1x
96x
3.1x
96x
3.1x
96x
3.1x
96x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제6장 "우주와 물질: 소를 타고 집으로 돌아가다"는 텍스트의 밀도가 꽤 높아서 읽어나가기가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대략의 흐름을 정리하고 건너뛸 수 있는 부분이나 이 "새 자연철학 세미나" 게시판에 있는 참고 글을 덧붙이고자 합니다.

제6장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 역사지평
  • 내용정리
  •       아인슈타인의 우주방정식: [306-315쪽]
  •       우주의 물질 생성과 그 변화 [315-325쪽]
  •       은하와 별의 형성 [325-330쪽]
  • 해설 및 성찰
  •       물고기 우화 (힉스 마당과 힉스 입자)
  •       우주를 이해한다는 것 [336-337쪽]

(1) 역사지평

역사지평에서 다루는 아인슈타인의 일화가 흥미롭습니다.

300-304쪽에는 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성이론을 우주에 적용할 수 있다고 제안한 이야기, 러시아의 수학자 알렉상드르 프리드만의 이론, 에드윈 허블의 발견, 펜지어스와 윌슨의 우주배경복사 관측 등이 나옵니다.

이와 관련하여 "빅뱅 우주론의 개요와 몇 가지 오해"(https://bit.ly/3HMKIJm)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2) 내용정리

아인슈타인의 우주방정식: [306-315쪽]

이 부분을 읽어나가기는 쉽지 않습니다. 일반상대성이론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거기에 바탕을 두어 우주론까지 다루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처음 읽을 때에는 이 부분을 건너 뛰는 것도 방안이 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을 가장 잘 요약해 주는 것이 심학제6도입니다.

간단한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라 시간과 공간, 더 정확히는 4차원 시공간은 메트릭 텐서(거리함수)로 서술되며, 우주를 다룰 때에는 308쪽 (6-4)식에 있는 로버트슨-워커 거리함수가 우주의 시공간을 나타냅니다. 이것은 (a) 모든 방향이 대등하고 (b) 모든 위치가 대등하면 이렇게 되어야 한다는 수학적 주장입니다. 여기에서 $a(t)$라 부르는 '규모인자(스케일 인수)'는 아직 정해지지 않은 시간의 함수입니다. 그 유도과정이 "우주론을 위한 FLRW 거리함수의 유도"(https://bit.ly/4g9fxHS)에 있습니다.

아인슈타인 방정식은 물질과 시공간의 관계를 말해 줍니다. 물질의 분포를 309쪽 (6-7)식처럼 선택하고, 그에 대한 세세한 방정식을 풀면 311쪽 (6-8), (6-9)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 중간과정이 부록(556-564쪽)에 상세하게 나와 있습니다. 이 과정을 따라가보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더라도 결과를 받아들이기로 해도 됩니다.

우주 안에 있는 물질의 분포를 309쪽 (6-7)식처럼 매우 추상적이고 일반적인 방식으로 정하더라도 그 밀도 $\rho$와 압력 $p$는 일정한 관계를 충족시켜야 합니다. 크게 세 가지 경우가 가능합니다.

(a) 성간먼지처럼 우주 안에 골고루 먼지처럼 물질이 분포되어 있다면 압력은 없고 오직 밀도가 있게 됩니다. 즉 $p=0$인 경우입니다. 이 때 우주의 전체적인 크기를 나타내는 규모인자(스케일 인수) $a(t)$는 314쪽 (6-16)식으로 주어집니다. 즉 $a(t) \propto t^{2/3}$입니다. 흔히 차가운 물질(cold matter)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b) 빛의 경우에는 밀도와 압력이 $p=\frac{1}{3}\rho c^2$의 관계를 충족시킵니다. 여기에는 빛만이 아니라 상대성이론으로 다루어야만 하는 대상이 다 포함됩니다. 그래서 곧잘 '초상대론적 대상(ultra-relativistic object)'이라는 이름이 붙기도 합니다. 왜 이렇게 되는지 "빛의 압력은 에너지밀도의 1/3"(https://bit.ly/4jpJw10)에 설명하고 유도해 놓았습니다. 이 경우 규모인자(스케일 인수)의 변화는 314쪽 (6-17)식으로 주어집니다. 즉 $a(t) \propto t^{1/2}$입니다.

(c) 물질이나 빛과 달리 $p=-\rho c^2$가 될 수도 있습니다. 이를 암흑에너지라 합니다. 이는 물리적으로 생각했다기보다는 312쪽 (6-12)식 바로 위에 번호 없이 적힌 수식에서 오른쪽이 0이 되는 경우를 수학적으로 생각한 것입니다. 이 때에는 팽창이 기하급수적으로 일어나며 점점 팽창이 커지는 가속팽창의 시기입니다.

이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 아래의 그림입니다.

3.1x

[그림 출처: https://pdg.org ]

처음에는 (c)의 경우처럼 가속팽창이 일어나며, 이 시기는 급팽창의 시대입니다. 거기에 이어 (b)의 경우가 되어 팽창은 감속팽창, 즉 우주(시공간)가 커지는 비율이 점차 둔화되지만 빛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거기에 이어 (a)의 경우가 되고, 이 때의 팽창비율이 달라지고 우주공간은 어둠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흥미롭게도 현 단계는 다시 (c)의 경우로 돌아가서 가속팽창 중이라는 것이 현재의 정설입니다.

이 이야기를 아래 그래프에서 더 분명하게 볼 수 있습니다.

[그림 출처: https://sites.ualberta.ca ]

처음에는 암흑에너지(dark energy)[녹색선]가 우세하고, 거기에 이어 빛[빨간선]이 우세한 시대가 오고, 다시 세로 방향 점선이 있는 시간을 지나면 물질[파란선]이 우세한 시대가 이어집니다. 지금은 다시 암흑에너지[녹색선]가 우세한 시대입니다.

더 상세한 것은 "현대 우주론의 기본 얼개"(https://bit.ly/3Edb2yH)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우주의 물질 생성과 그 변화 [315-325쪽]

우주공간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팽창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그 우주공간 안에서 어떻게 물질이 만들어지고 변화해 왔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이 부분에서는 더 상세한 것을 다루기 전에 자유에너지가 어떻게 이런 것을 가능하게 했는지 설명하고 있습니다.

은하와 별의 형성 [325-330쪽]

이 부분에서는 구체적으로 물질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그로부터 별과 은하와 행성이 만들어졌는지 상세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위의 대중적인 그림에는 우주가 점점 더 커지고 있고 어느 단계에서 빛으로부터 쿼크가 만들어지고 쿼크와 글루온이 만나 원자핵을 이루고, 다시 원자핵이 전자와 만나 원자를 이루고, 그 원자들이 분자들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도식화하여 보여줍니다.

이를 강조하는 것이 아래의 그림입니다.

96x

[그림 출처: https://science.nasa.gov ]

최초의 순간으로부터 $10^{-32}$초 지날 때까지 급팽창이 있었고, 1밀리초 즉 1천분의 1초가 지날 무렵 처음 기본입자가 만들어졌습니다. 3분 정도 지나자 수소원자핵과 헬륨원자핵이 만들어졌습니다. 38만년 정도 지나자 그 전까지 물질과 뒤섞여 있던 빛이 우주배경복사 형태로 우주 안에 퍼졌습니다. 2억년이 지나자 별이 만들어졌고 4억년지 지나자 은하와 암흑물질이 만들어졌습니다. 100억년쯤 지날 때부터 암흑에너지가 우세해져서 최초의 순간으로부터 138억년지 지난 지금은 우주가 가속팽창하고 있습니다.

전체 4

  • 자연사랑 자연사랑
    2025-01-27 23:16

    "https://greenacademy.re.kr/%EC%9E%90%EC%97%B0%EC%B2%A0%ED%95%99-%EC%84%B8%EB%AF%B8%EB%82%98?pageid=1&mod=document&category2=%EC%9A%B0%EC%A3%BC%EC%99%80+%EB%AC%BC%EC%A7%88&uid=713" target="_blank" rel="noopener">가교로서의 심학제6도"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 자연사랑 자연사랑
    2025-01-27 23:17

    우주공간의 팽창, 물질의 생성, 그리고 거기에 이은 은하, 별, 행성의 탄생은 http://marsatschool.ethz.ch/de/mission/1/에 알기 쉬운 그래픽으로 나와 있습니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교육자료라 쉽고 명료합니다.

    아인슈타인의 모교이기도 한 스위스 연방공과대학(ETH)에서 만든 것입니다. 독일어권인 취리히에 있는 학교라서 들어가면 독일어가 먼저 나오지만, 오른쪽 위에 있는 국기를 누르면 영어와 프랑스어 버전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 자연사랑 자연사랑
    2025-01-28 12:55

    우주의 물질 생성과 그 변화 [315-325쪽]와 관련된 글 "https://greenacademy.re.kr/%EC%9E%90%EC%97%B0%EC%B2%A0%ED%95%99-%EC%84%B8%EB%AF%B8%EB%82%98?mod=document&uid=245" target="_blank" rel="noopener">상 전이와 란다우 평균마당 이론"


  • 자연사랑 자연사랑
    2025-01-28 14:52

    제6장 "우주와 물질"의 개정판이라 할 수 있는 글이 [생명을 어떻게 이해할까?] 제5장 "우주와 질서"에 있습니다. 그 글은 생명의 탄생으로 나아가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라서 일반상대성이론과 우주론의 방정식이 나오지 않고 더 알기 쉽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또 자유에너지와 관련된 우주의 초기 질서 출현을 더 명료하고 논리적으로 서술하고 있습니다.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제6장을 읽어나가기가 녹록치 않다면, [생명을 어떻게 이해할까?] 제5장을 대신 읽어도 놓치는 것이 별로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 [자료] 고립계, 닫힌 계, 열린 계
[자료] 우주의 역사와 운명 »
목록보기 답글쓰기
글수정 글삭제
전체 724
  • 전체
  • 자료
  • 질문 및 토론
  • 모임 정리
  • 공지사항
  • 세미나 운영
  • 전체
  • 앎의 바탕 구도
  • 고전역학
  • 상대성이론
  • 양자역학
  • 통계역학
  • 우주와 물질
  • 생명
  • 주체와 객체
  • 앎
  • 온전한 앎
  • 자연철학 일반
  • 전자기학
  • 기타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심학십도 그림 자료
녹색아카데미 | 2025.04.28 | 추천 1 | 조회 1796
녹색아카데미 2025.04.28 1 1796
공지사항
2025 <양자역학 이해 강독모임> 계획
녹색아카데미 | 2025.04.23 | 추천 0 | 조회 2122
녹색아카데미 2025.04.23 0 2122
공지사항
3기 새 자연철학 세미나 상세 계획
시인처럼 | 2024.09.12 | 추천 0 | 조회 4580
시인처럼 2024.09.12 0 4580
공지사항
[자료] 유튜브 대담영상 "자연철학이야기" 녹취록 & 카툰 링크 모음 (5)
neomay33 | 2023.04.20 | 추천 3 | 조회 14335
neomay33 2023.04.20 3 14335
공지사항
『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 정오표 (10)
시인처럼 | 2022.12.22 | 추천 3 | 조회 17272
시인처럼 2022.12.22 3 17272
공지사항
[공지] 게시판 카테고리 설정에 대해서 (4)
시인처럼 | 2022.03.07 | 추천 0 | 조회 13612
시인처럼 2022.03.07 0 13612
688
[질문/토론] 온도가 크게 올라가면, U≦TS가 되어 F<0이 되는 경우가 있나요?
자연사랑 | 2025.04.18 | 추천 1 | 조회 1294
자연사랑 2025.04.18 1 1294
687
[나의 질문] 최우석 - '선택의 여지' 그리고 '앎과 실재' (5)
시인처럼 | 2025.04.14 | 추천 0 | 조회 1065
시인처럼 2025.04.14 0 1065
686
[질문/토론] 대상 물체의 현재 온도가 낮을수록 △S의 값이 크다는 것을 어떻게 증명할 수 있나요?
자연사랑 | 2025.04.14 | 추천 1 | 조회 917
자연사랑 2025.04.14 1 917
685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와 범심론 (9)
유동나무 | 2025.03.30 | 추천 2 | 조회 846
유동나무 2025.03.30 2 846
684
[질문] 앎의 세 모드(역학 모드, 서술 모드, 의식 모드)와 포퍼의 세 세계
자연사랑 | 2025.03.24 | 추천 0 | 조회 817
자연사랑 2025.03.24 0 817
683
[질문] 엔트로피 법칙이 무엇인가요? (1)
자연사랑 | 2025.03.13 | 추천 0 | 조회 834
자연사랑 2025.03.13 0 834
682
[자료] 물리법칙과 '나'라는 문제
자연사랑 | 2025.03.12 | 추천 1 | 조회 913
자연사랑 2025.03.12 1 913
681
[자료] 자유에너지 경관과 준안정상태의 변화
자연사랑 | 2025.02.22 | 추천 1 | 조회 798
자연사랑 2025.02.22 1 798
680
[자료] 우주의 역사와 운명 (1)
자연사랑 | 2025.01.28 | 추천 1 | 조회 855
자연사랑 2025.01.28 1 855
679
[자료] 우주와 물질 - 개요 (4)
자연사랑 | 2025.01.27 | 추천 1 | 조회 817
자연사랑 2025.01.27 1 817
  • 처음
  •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 마지막
글쓰기
Powered by KBoard

게시판 글

최신글 내가 쓴 글
복소수 공간과 4차원 위치-시각 공간 관련 자료 목록
2025.07.14
몇 가지 질문에 대한 답 (1)
2025.06.30
[자료] 고전역학적 상태의 조작적 의미 (1)
2025.06.29
[자료] 핼리 혜성, 3차원, 예측적 앎 (1)
2025.06.09
[자료] 예측적 앎으로서의 고전역학 (2)
2025.06.08
로그인 해주세요.

게시판 댓글

최신댓글 내가 쓴 댓글
서술 중 약간 틀린 것을 수정하고 더 읽기 쉽게 몇 구절을 덧붙였습니다.
2025.07.06
[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를 읽어나갈 때 저는 세세한 부분은 대충 그러려니 하고 넘어가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2장 고전역학에서는 2.2절 "고전역학의 존재론"이 핵심이기 때문에 이 부분은 곱씹어가면서 깊이 그리고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2025.06.30
삼각함수의 미분을 더 쉽게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영상이 https://youtu.be/ S0_qX4VJhMQ?t=757 에 있습니다.
2025.06.16
케플러의 법칙([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 75쪽)에 대한 더 상세한 이야기가 "케플러의 법칙과 뉴턴의 증명"에 있습니다. 또 같은 페이지에 케플러의 법칙을 고전역학에서 유도하는 과정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한 내용을 "케플러 문제의 간단한 풀이"에 상세하게 해설해 두었습니다. 약간 성격이 다르긴 하지만, 미국의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의 1964년 강의가 연관됩니다. 그 내용을 "태양 주변의 행성의 운동 (리처드 파인만의 강의)"에서 소개했습니다.
2025.06.16
'낙하의 문제'([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 62-64쪽)와 관련하여 이전에 쓴 글 "천원지방, 갈릴레오, 뉴턴, 여헌 장현광"이 참고가 될 수 있겠습니다. 특히 70쪽에 소개 되어 있는, 물체를 수평으로 던질 때 그리는 궤적을 구하는 문제는 갈릴레오가 1638년의 저서 [새로운 두 과학](Discorsi e dimostrazioni matematiche intorno a due nuove scienze)에서 처음으로 상세하게 해명하여 과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성취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Two_New_Sciences
2025.06.15
로그인 해주세요.

Upcoming Events

7월 16
6:00 오전 - 7:00 오전 KST

책새벽 – 수 : 칼 세이건 『Cosmos』 – 27회

7월 17
6:00 오전 - 7:00 오전 KST

책새벽 – 목 :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 2. 르네상스, 매너리즘, 바로끄』 8회

7월 18
6:00 오전 - 7:00 오전 KST

책새벽 – 금 : 『세계철학사 4 – 탈근대 사유의 지평들』 21회

7월 21
6:00 오전 - 7:00 오전 KST

책새벽 – 월. 시즌6 : 『침묵의 봄』 13회

7월 22
6:00 오전 - 7:00 오전 KST

책새벽 – 화 : 『온도계의 철학』 – 5회

달력보기

카테고리

녹색아카데미 페이스북 공개그룹

녹색아카데미 페이스북 공개그룹

Copyright © 2025 녹색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

Codilight 테마 제작자 FameThe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