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카르트의 소용돌이
질문 및 토론
기타
작성자
Stella
작성일
2023-03-10 00:20
조회
2863
모비딕을 읽다가 ‘데카르트적 소용돌이’란 표현이 나오는 것을 보고 찾아보다가, 데카르트가 우주는 몇 개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소용돌이로 이루어져 있다고 주장했다는 이야기를 접했습니다. 데카르트의 이런 주장이 단지 철학적인 주장의 차원이라기 보다는 그 자신이 탁월한 수학자이기도 했던 데카르트 자신의 수학적 직관과 그에 따른 나름의 추론에 입각한 이야기가 아닐까 싶어서 문득 그런 주장을 한 배경이 궁금해졌습니다. 뭐든지 뚝딱 대답해 주신다고 너무 이것저것 여쭤보는 것 같아 죄송합니다만, 그래도 여기에 묻는 게 저로서는 최선이라 여쭤 봅니다. 저는 철학자 데카르트 보다는 사실 수학자로서의 데카르트의 사고가 더 궁금합니다.
전체 697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공지사항 |
<자연철학 강의 공부모임> 계획
시인처럼
|
2024.09.12
|
추천 0
|
조회 3540
|
시인처럼 | 2024.09.12 | 0 | 3540 |
공지사항 |
3기 새 자연철학 세미나 상세 계획
시인처럼
|
2024.09.12
|
추천 0
|
조회 3592
|
시인처럼 | 2024.09.12 | 0 | 3592 |
공지사항 |
[자료] 유튜브 대담영상 "자연철학이야기" 녹취록 & 카툰 링크 모음 (5)
neomay33
|
2023.04.20
|
추천 3
|
조회 13064
|
neomay33 | 2023.04.20 | 3 | 13064 |
공지사항 |
『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 정오표 (10)
시인처럼
|
2022.12.22
|
추천 3
|
조회 15848
|
시인처럼 | 2022.12.22 | 3 | 15848 |
공지사항 |
[공지] 게시판 카테고리 설정에 대해서 (4)
시인처럼
|
2022.03.07
|
추천 0
|
조회 12702
|
시인처럼 | 2022.03.07 | 0 | 12702 |
682 |
[질문] 엔트로피 법칙이 무엇인가요? (1)
자연사랑
|
2025.03.13
|
추천 0
|
조회 62
|
자연사랑 | 2025.03.13 | 0 | 62 |
681 |
[자료] 물리법칙과 '나'라는 문제
자연사랑
|
2025.03.12
|
추천 1
|
조회 80
|
자연사랑 | 2025.03.12 | 1 | 80 |
680 |
[자료] 자유에너지 경관과 준안정상태의 변화
자연사랑
|
2025.02.22
|
추천 1
|
조회 105
|
자연사랑 | 2025.02.22 | 1 | 105 |
679 |
[자료] 우주의 역사와 운명 (1)
자연사랑
|
2025.01.28
|
추천 1
|
조회 228
|
자연사랑 | 2025.01.28 | 1 | 228 |
678 |
[자료] 우주와 물질 - 개요 (4)
자연사랑
|
2025.01.27
|
추천 1
|
조회 239
|
자연사랑 | 2025.01.27 | 1 | 239 |
677 |
[자료] 고립계, 닫힌 계, 열린 계
자연사랑
|
2025.01.20
|
추천 1
|
조회 245
|
자연사랑 | 2025.01.20 | 1 | 245 |
676 |
[자료] 열역학 영째 법칙과 온도의 정의 (2)
자연사랑
|
2025.01.19
|
추천 0
|
조회 241
|
자연사랑 | 2025.01.19 | 0 | 241 |
675 |
상호작용 없는 측정(엘리추르-바이드만)과 겹실틈 실험
자연사랑
|
2024.12.25
|
추천 0
|
조회 220
|
자연사랑 | 2024.12.25 | 0 | 220 |
674 |
[자료] 푸리에 변환과 힐버트 공간
자연사랑
|
2024.12.10
|
추천 0
|
조회 301
|
자연사랑 | 2024.12.10 | 0 | 301 |
673 |
양자역학이 답하고 있는 문제: 상태를 어떻게 서술할까?
자연사랑
|
2024.12.09
|
추천 0
|
조회 257
|
자연사랑 | 2024.12.09 | 0 | 257 |
데카르트의 소용돌이 이론은 그의 자연철학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고, 이후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인터넷 검색하면 관련자료들이 많이 나옵니다.
정확하고 간결한 자료로 "Physical Astronomy for the Mechanistic Universe"가 좋겠습니다.
조금 더 상세한 것으로 [근대 철학 및 과학 백과사전]의 소용돌이 이론 항목이 유익합니다.
Ferlin, F., Chabot, H. (2020). Vortex Theories in the Early Modern Period. In: Jalobeanu, D., Wolfe, C. (eds) Encyclopedia of Early Modern Philosophy and the Sciences. Springer, Cham. https://doi.org/10.1007/978-3-319-20791-9_156-1 (해당 항목을 pdf로 만들어 첨부합니다.)
살펴보시고 정리해 주시면 다른 분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Vortex-Theories-in-the-Early-Modern-Period-F.-Ferlin-H.-Chabot.pdf
첨부파일 : Vortex-Theories-in-the-Early-Modern-Period-F.-Ferlin-H.-Chabot.pdf
아, 감사합니다. 파일로 첨부까지 해주시다니. 잘 읽어보겠습니다. 모비딕에서도 소용돌이 우주관이 매우 흥미로운 역할을 하고 있더군요. 덕분에 데카르트의 소용돌이 이론까지 관심이 확장되네요.^^
발등에 불을 끈 다음 조금 여유가 생기면 정리해보려고 일단 시도는 해보겠습니다. 하지만 모르는 게 많다보니 공백을 메꿀 자신이 없으면 하다가 말 수도 있을 것 같아 자신은 없네요. 독어면 도망갈려고 했는데 하필(!!!) 자료가 영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