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 질문] 빛의 세기, 에너지 등
질문 및 토론
양자역학
작성자
neomay33
작성일
2022-03-17 17:06
조회
5125
3/17 세미나 질문입니다. - 황승미
(1) 광전효과, 빛의 세기, 에너지 (책 p.202)
광전효과에서, 빛의 세기를 아무리 늘려도 그 빛의 진동수 f가 일정한 값 이상이 되지 않으면 금속 내부에서 전자가 방출되지 않는다, 전자가 방출되기 위해서는 일정량 $E_0$ 이상의 에너지가 요구된다고 되어 있습니다.
아래 그래프(흑체복사 곡선)에서 세로 축이 빛의 세기인가요? 빛의 세기와 에너지가 어떻게 다른지 궁금합니다.
(2) 파동함수의 의미 (책 p.206-209)
장회익선생님의 이론에서는 파동함수가 사건 야기 성향을 나타냅니다. 하지만 양자역학, 파동함수의 의미가 무엇인지 여러 이론과 해석이 있다고 하고, 다들 잘 모르겠으니 그냥 계산이나 하라고 하는데("Shut up, and calculate!" 책 p.209), 여기서 계산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함수에 대한 해석과 의미가 달라질 때 계산 결과나 응용이 달라질 수 있나요?
전체 703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공지사항 |
2025 <양자역학 이해 강독모임> 계획
녹색아카데미
|
2025.04.23
|
추천 0
|
조회 308
|
녹색아카데미 | 2025.04.23 | 0 | 308 |
공지사항 |
3기 새 자연철학 세미나 상세 계획
시인처럼
|
2024.09.12
|
추천 0
|
조회 3947
|
시인처럼 | 2024.09.12 | 0 | 3947 |
공지사항 |
[자료] 유튜브 대담영상 "자연철학이야기" 녹취록 & 카툰 링크 모음 (5)
neomay33
|
2023.04.20
|
추천 3
|
조회 13553
|
neomay33 | 2023.04.20 | 3 | 13553 |
공지사항 |
『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 정오표 (10)
시인처럼
|
2022.12.22
|
추천 3
|
조회 16349
|
시인처럼 | 2022.12.22 | 3 | 16349 |
공지사항 |
[공지] 게시판 카테고리 설정에 대해서 (4)
시인처럼
|
2022.03.07
|
추천 0
|
조회 13033
|
시인처럼 | 2022.03.07 | 0 | 13033 |
688 |
[질문/토론] 온도가 크게 올라가면, U≦TS가 되어 F<0이 되는 경우가 있나요?
자연사랑
|
2025.04.18
|
추천 1
|
조회 79
|
자연사랑 | 2025.04.18 | 1 | 79 |
687 |
[나의 질문] 최우석 - '선택의 여지' 그리고 '앎과 실재' (5)
시인처럼
|
2025.04.14
|
추천 0
|
조회 100
|
시인처럼 | 2025.04.14 | 0 | 100 |
686 |
[질문/토론] 대상 물체의 현재 온도가 낮을수록 △S의 값이 크다는 것을 어떻게 증명할 수 있나요?
자연사랑
|
2025.04.14
|
추천 1
|
조회 80
|
자연사랑 | 2025.04.14 | 1 | 80 |
685 |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와 범심론 (9)
유동나무
|
2025.03.30
|
추천 2
|
조회 187
|
유동나무 | 2025.03.30 | 2 | 187 |
684 |
[질문] 앎의 세 모드(역학 모드, 서술 모드, 의식 모드)와 포퍼의 세 세계
자연사랑
|
2025.03.24
|
추천 0
|
조회 176
|
자연사랑 | 2025.03.24 | 0 | 176 |
683 |
[질문] 엔트로피 법칙이 무엇인가요? (1)
자연사랑
|
2025.03.13
|
추천 0
|
조회 230
|
자연사랑 | 2025.03.13 | 0 | 230 |
682 |
[자료] 물리법칙과 '나'라는 문제
자연사랑
|
2025.03.12
|
추천 1
|
조회 241
|
자연사랑 | 2025.03.12 | 1 | 241 |
681 |
[자료] 자유에너지 경관과 준안정상태의 변화
자연사랑
|
2025.02.22
|
추천 1
|
조회 224
|
자연사랑 | 2025.02.22 | 1 | 224 |
680 |
[자료] 우주의 역사와 운명 (1)
자연사랑
|
2025.01.28
|
추천 1
|
조회 343
|
자연사랑 | 2025.01.28 | 1 | 343 |
679 |
[자료] 우주와 물질 - 개요 (4)
자연사랑
|
2025.01.27
|
추천 1
|
조회 349
|
자연사랑 | 2025.01.27 | 1 | 349 |
3월 24일 보조세미나에서 더 이야기 나누겠습니다만, 우선 간단하게 저의 의견을 간단하게 올려 둡니다. 자연철학보다는 물리학에 속하는 문제는 아무래도 물리학 분야의 표준적인 대답이 되겠습니다.
(1) 물리학에서는 ‘단위’가 매우 중요합니다. 올리신 그래프에서 세로축은 spectral radiance라고 되어 있는데 한국어로는 ‘스펙트럼 복사휘도’라고 말합니다. 에너지와 무슨 관계인가 알려면 단위를 보면 됩니다. 단위가 kW st^-1 m^-2 nm^-1로 되어 있습니다. 킬로와트는 일률의 단위이니까 시간당 에너지의 단위입니다. sr은 ‘입체각’의 단위인 스테라디안입니다. 따라서 구면의 단위각에 국한된 시간당 에너지가 됩니다. 다음은 ‘제곱미터당’인데 단위면적당이란 뜻입니다. 끝으로 nm^-1은 ‘나노미터당’이니까 ‘파장’에 대해 복사휘도를 그리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즉 가로축이 파장이 되는 것이죠. 그래서 이 곡선 아래 넓이는 “단위 입체각당 단위넓이당 단위시간당 에너지”가 되고, 이 곡선의 높이는 이를 파장당으로 계산한 값을 나타냅니다. 가로축을 파장 대신 진동수로 선택하면, 세로축의 복사휘도 단위도 nm^-1 대신 Hz^-1과 같이 ‘헤르츠당’으로 바뀝니다.
https://en.m.wikipedia.org/wiki/Radiance" target="_blank" rel="noopener">https://en.m.wikipedia.org/wiki/Radiance
https://en.m.wikipedia.org/wiki/Solid_angle" target="_blank" rel="noopener">https://en.m.wikipedia.org/wiki/Solid_angle
(2)의 질문에 대한 간단한 답은 말 그대로 상태함수를 계산한 것입니다.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2장에서 용수철 끝에 달린 물체의 상태 즉, 특정 시각의 위치와 운동량을 계산한 것과 꼭 마찬가지로 가령 고리 모양에 갇혀 있는 물체의 상태함수를 3장에서 계산했습니다.
고리모양에 갇혀 있는 물체의 상태함수는 비교적 간단한 예인데, 만일 용수철 끝에 달린 물체의 상태함수를 계산하면 꽤 복잡합니다.
https://en.m.wikipedia.org/wiki/Quantum_harmonic_oscillator" target="_blank" rel="noopener">https://en.m.wikipedia.org/wiki/Quantum_harmonic_oscillator
수소원자이든 반도체이든 초전도체이든 요즘 인기 좋은 그래핀과 같은 신소재이든, 양자역학으로 계산하는 것은 상태함수(즉 물리학계의 흔한 용어로는 파동함수)입니다. 더도 덜도 아닙니다. 모든 계산은 상태함수를 구하는 것에 집중됩니다. 상태함수에 대한 해석을 단지 확률이라 부를지 사건야기성향이라 부를지 세계가 갈라진다고 할지 어떻게 하더라도 상태함수 자체의 계산은 유일하게 정해집니다. 이게 달라지면 양자역학이 모순을 갖고 있는 것인데, 지난 100년 동안 모순이 밝혀진 적은 없습니다. 모든 응용은 상태함수의 계산결과를 가지고 합니다. 상세한 것은 보조세미나에서 더 말씀드리겠습니다.
설명 감사합니다!! 지난 주 보조세미나 때 질문 할까도 했는데 어쩌다 보니 넘어가버렸습니다. 고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