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상대성이론에서 본 시공간의 기하학적 구조
약간 전문적인 논의이긴 하지만, 전형적인 물리학 교과서에서 특수상대성이론에서 본 시공간의 기하학적 구조에 대해 요약해 놓은 것을 공유하면 좋으리라는 생각이 들어 옮겨옵니다. 여기에 사용된 용어나 개념을 더 설명할 필요가 있겠습니다만, 문장 자체는 어느 정도 이해될 것 같습니다.
--------------------------------
특수상대성이론에서 본 시공간의 기하학적 구조
Michael Tsamparlis (2010). Special Relativity. Springer. pp. 94-96.
(1) 시공간은 4차원 실수 선형 공간(real linear space)이다.
(2) 시공간은 균질하다(homogeneous). 기하학적 관점에서 이것은 시공간의 모든 점이 좌표계의 원정과 동등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뜻이다. 물리학에서 보자면, 이것은 어떤 실험(즉 사건)이 언제 그리고 어디에서 일어나는지가 그 사건을서술하는 동역학적 변수의 값과 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뜻이다.
(3) 시공간에는 직선이 존재한다. 직선은 기하학적으로 $$\mathbf{r} = \mathbf{a}t + \mathbf{b}, \quad t \in \mathbb{R}, \mathbf{a}, \mathbf{b} \in \mathbb{R}^4$$
로 서술되는 유한하지 않은 곡선이다. 물리학의 관점에보면, 이 곡선들은 상대론적 관성운동이라 부르는 물리계의 특수한 운동의 궤적을 나타낸다. 관성운동이 아닌 것은 가속운동이라 부른다.
(4) 시공간은 등방(isotropic)이다. 즉 어느 점에서든 모든 방향이 동등하다. 균질성과 등방성의 가정은 특수상대성이론의 시공간이 평평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곡률이 0이란 말고 동등하다. 실제상의 의미는 어느 하나의 좌표계로 모든시공간을 다 포괄할 수 있다는 것이며, 이는 시공간이 선형공간 $\mathbb{R}^4$과 미분동형임이라는 의미이다.
(5) 시공간은 아핀 공간(affine space)이다. 다시 말해 시공간 안에 어떤 직선이 주어지거나 곡률이 0인 3차원 초곡면이 주어지면, 이 초곡면에 평행한 초곡면이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여기에서 평행하다는 말은 초곡면이 그 직선이나 초곡면과 무한대에서만 만난다는 뜻이다.
(6) 시공간 안의 직선 하나를 생각하면 이 직선과 단 한번만 만나는 평행한 초곡면들이 연속적으로 존재하며 이 초곡면들은 시공간 전체를 채운다. 이 때 이 초곡면은 시공간을 나누어 꿰맨다(foliate)고 말한다. 시공간 안에 절대적인 직선이있는 것이 아니므로 시공간 나누어 꿰매기는 무한히 많다. 뉴턴 공간에는 절대적인 시간의 직선이 존재하며, 이 나누어꿰매기가 특별하고, 이를 우주적 시간이라 부른다.
(7) 시공간은 거리함수 벡터공간(metric vector space)이다.
(8) 시공간의 거리함수는 로렌츠 거리함수다. 즉 4차원 실수 공간의 거리함수의 표준 형태는 (−1, 1, 1, 1)이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공지사항 |
심학십도 그림 자료
녹색아카데미
|
2025.04.28
|
추천 1
|
조회 1629
|
녹색아카데미 | 2025.04.28 | 1 | 1629 |
공지사항 |
2025 <양자역학 이해 강독모임> 계획
녹색아카데미
|
2025.04.23
|
추천 0
|
조회 1851
|
녹색아카데미 | 2025.04.23 | 0 | 1851 |
공지사항 |
3기 새 자연철학 세미나 상세 계획
시인처럼
|
2024.09.12
|
추천 0
|
조회 4408
|
시인처럼 | 2024.09.12 | 0 | 4408 |
공지사항 |
[자료] 유튜브 대담영상 "자연철학이야기" 녹취록 & 카툰 링크 모음 (5)
neomay33
|
2023.04.20
|
추천 3
|
조회 14125
|
neomay33 | 2023.04.20 | 3 | 14125 |
공지사항 |
『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 정오표 (10)
시인처럼
|
2022.12.22
|
추천 3
|
조회 17010
|
시인처럼 | 2022.12.22 | 3 | 17010 |
공지사항 |
[공지] 게시판 카테고리 설정에 대해서 (4)
시인처럼
|
2022.03.07
|
추천 0
|
조회 13486
|
시인처럼 | 2022.03.07 | 0 | 13486 |
705 |
[자료] 핼리 혜성, 3차원, 예측적 앎 (1)
자연사랑
|
2025.06.09
|
추천 0
|
조회 98
|
자연사랑 | 2025.06.09 | 0 | 98 |
704 |
[자료] 예측적 앎으로서의 고전역학 (2)
자연사랑
|
2025.06.08
|
추천 1
|
조회 134
|
자연사랑 | 2025.06.08 | 1 | 134 |
703 |
[자료] 고전역학이라는 용어
자연사랑
|
2025.06.08
|
추천 1
|
조회 119
|
자연사랑 | 2025.06.08 | 1 | 119 |
702 |
[자료] 3차원 vs. 2+1차원; 낙하운동의 서술
자연사랑
|
2025.06.03
|
추천 0
|
조회 235
|
자연사랑 | 2025.06.03 | 0 | 235 |
701 |
6월2일 질문 (4)
sola
|
2025.06.02
|
추천 0
|
조회 101
|
sola | 2025.06.02 | 0 | 101 |
700 |
[자료] 칼 포퍼의 [추측과 논박]에 나오는 그림
자연사랑
|
2025.06.02
|
추천 0
|
조회 99
|
자연사랑 | 2025.06.02 | 0 | 99 |
699 |
[자료] 해밀턴 함수와 동역학적 특성
자연사랑
|
2025.06.02
|
추천 1
|
조회 83
|
자연사랑 | 2025.06.02 | 1 | 83 |
698 |
[자료] 양자와 마음: 양자역학과 의식의 연결
자연사랑
|
2025.05.27
|
추천 0
|
조회 123
|
자연사랑 | 2025.05.27 | 0 | 123 |
697 |
[자료] 입자인가, 파동인가 (2)
자연사랑
|
2025.05.21
|
추천 1
|
조회 137
|
자연사랑 | 2025.05.21 | 1 | 137 |
696 |
수업 후에 질문드립니다 (11)
안소라
|
2025.05.21
|
추천 1
|
조회 209
|
안소라 | 2025.05.21 | 1 | 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