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이란 무엇인가?
옥현님의 질문이 무척 어렵고 무겁지만 또한 매우 중요한 질문이라 생각되어, 제 의견을 답글로 달았는데, 답글이 너무 길어져서 읽기 불편해서 여기 새로운 글로 한번 더 올립니다.
-----------------------
자연철학 강의 p.148
“내게는 우리 사고가 대부분 기호(말)을 사용함 없이 진행된다는 점, 여기에 더해 상당한 정도 무의식적으로 진행된다는 점에 대해 그 어떤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렇지 않다면 우리가 때로 어떤 경험에 대해 아주 자연발생적으로 ‘놀라움’을 겪는 것이 어떻게 가능하겠는가?”
-아인슈타인
질문:
1. 우리는 무엇을 이용하여 생각하는가? 기호(말)없이 생각할 수 있는가?
2. 사고는 무의식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가?
--------------무척 어렵고 무겁지만 또한 매우 중요한 질문을 던지셨습니다. 온라인 세미나에서는 시간을 잡아먹을까봐 말하는 것을 자제했는데, 저도 말씀드리고 싶은 게 있어서 여기에 답글을 답니다.
실상 1번 질문과 2번 질문에 대해 직접적인 대답은 아니더라도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제9장 "본원으로 돌아가다: 앎이란 무엇인가?"에도 관련된 대답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148쪽에 인용된 아인슈타인의 문장은 Paul Arthur Schilpp (ed.) Albert Einstein, Philosopher-Scientist (1949)에 실려 있는 글입니다. 이 책은 800쪽 정도의 분량으로 알버트 아인슈타인의 연구에 대한 다양한 평가의 글 25편이 묶여 있습니다. 스물 다섯 명의 저명한 학자들이 쓴논문들에 대해 아인슈타인이 일일이 답하는 논문이 그 뒤에 있습니다. 이 논문집의 맨 앞에 "자서전적 노트(Autographical Notes)"란 제목의 글이 있는데, 인용문은 바로 거기에 있습니다. 원고는 독일어로 썼지만, 파울 아르투어 쉴프가 이를 영어로 번역하여 양면 대조로 읽을 수 있도록 편집을 했습니다.
인용된 해당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For me it is not dubious that our thinking goes on for the most part without use of signs (words) and beyond that to a considerable degree unconsciously. For how, otherwise, should it happen that sometimes we “wonder” quite spontaneously about some experience?" (p. 9)
(독일어 원문: "Es ist mir nicht zweifelhaft, dass unser Denken zum grössten Teil ohne Verwendung von Zeichen (Worte) vor sich geht und dazu noch weitgehend unbewusst. Denn wie sollten wir sonst manchmal dazu kommen, uns über ein Erlebnis ganz spontan zu “wundern”?")
이 부분만 보면, 생각 또는 사유라는 것에서 '놀라움'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다루는 것이라 강조점은 '놀라움'에 있습니다, 하지만 이 단락의 앞부분을 보면, 아인슈타인 자신도 '생각이라는 것이 과연 무엇인가?" "어떻게 생각이란 것이 가능한가?" 하는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What, precisely, is “thinking”? When, at the reception of sense-impressions, memory-pictures emerge, this is not yet “thinking.” And when such pictures form series, each member of which calls forth another, this too is not yet “thinking.” When, however, a certain picture turns up in many such series, then—precisely through such return—it becomes an ordering element for such series, in that it connects series which in themselves are unconnected. Such an element becomes an instrument, a concept. I think that the transition from free association or “dreaming” to thinking is characterized by the more or less dominating role which the “concept” plays in it. It is by no means necessary that a concept must be connected with a sensorily cognizable and reproducible sign (word); but when this is the case thinking becomes by means of that fact communicable.
With what right—the reader will ask—does this man operate so carelessly and primitively with ideas in such a problematic realm without making even the least effort to prove anything? My defense: all our thinking is of this nature of a free play with concepts; the justification for this play lies in the measure of survey over the experience of the senses which we are able to achieve with its aid. The concept of “truth” can not yet be applied to such a structure; to my thinking this concept can come in question only when a far-reaching agreement (convention) concerning the elements and rules of the game is already at hand." (p. 7)
독일어를 읽으시는 분을 위해 독일어 원문을 가져오면 다음과 같습니다.
"Was ist eigentlich “Denken”? Wenn beim Empfangen von Sinnes-Eindrticken Erinnerungsbilder auftauchen, so ist das noch nicht “Denken.” Wenn solche Bilder Serien bilden, deren jedes Glied ein anderes wachruft, so ist dies auch noch kein “Denken.” Wenn aber ein gewisses Bild in vielen solchen Reihen wiederkehrt, so wird es eben durch seine Wiederkehr zu einer ordnenden Element für solche Reihen, indem es an sich zusammenhangslose Reihen verknüpft. Ein solches Element wird zum Werkzeug, zum Begriff. Ich denke mir, dass der Uebergang vom freien Assoziieren oder “Träumen” zum Denken characterisiert ist durch die mehr oder minder dominierende Rolle, die der “Begriff” dabei spielt. Es ist an sich nicht nötig, dass ein Begriff mit einem sinnlich wahrnehmbaren und reproduzierbaren Zeichen (Wort) verkniipft sei; ist er es aber so wird dadurch Denken mitteilbar.
Mit welchem Recht—so fragt nun der Leser—operiert dieser Mensch so unbekiimmert und primitiv mit Ideen auf einem so problematischen Gebiet, ohne den geringsten Versuch zu machen, etwas zu beweisen? Meine Verteidigung: al! unser Denken ist von dieser Art eines freien Spiels mit Begriffen; die Berechtigung dieses Spiels liegt in dem Masse der Uebersicht über die Sinnenerlebnisse, die wir mit seiner Hilfe erreichen können. Der Begriff der “Wahrheit” kann auf ein solches Gebilde noch gar nicht angewendet werden; dieser Begriff kann nach meiner Meinung erst dann in Frage kommen, wenn bereits eine weitgehende Einigung (Convention) über die Elemente und Regeln des Spieles vorliegen."
이 인용문은 결국 "앎이란 무엇인가?" "생각이란 무엇인가?" 하는 근본적인 물음이 자연철학에서 대답해야 할 할 매우 중요한 과제임을 말해 주는 것 같기도 합니다.
최근에 요즘 잘 나가는 독일의 철학자 마르쿠스 가브리엘의 책 중 하나가 생각이란 무엇인가? (전대호 옮김)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어 출간되었는데,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공지사항 |
<자연철학 강의 공부모임> 계획
시인처럼
|
2024.09.12
|
추천 0
|
조회 3813
|
시인처럼 | 2024.09.12 | 0 | 3813 |
공지사항 |
3기 새 자연철학 세미나 상세 계획
시인처럼
|
2024.09.12
|
추천 0
|
조회 3875
|
시인처럼 | 2024.09.12 | 0 | 3875 |
공지사항 |
[자료] 유튜브 대담영상 "자연철학이야기" 녹취록 & 카툰 링크 모음 (5)
neomay33
|
2023.04.20
|
추천 3
|
조회 13432
|
neomay33 | 2023.04.20 | 3 | 13432 |
공지사항 |
『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 정오표 (10)
시인처럼
|
2022.12.22
|
추천 3
|
조회 16231
|
시인처럼 | 2022.12.22 | 3 | 16231 |
공지사항 |
[공지] 게시판 카테고리 설정에 대해서 (4)
시인처럼
|
2022.03.07
|
추천 0
|
조회 12969
|
시인처럼 | 2022.03.07 | 0 | 12969 |
687 |
New [질문/토론] 온도가 크게 올라가면, U≦TS가 되어 F<0이 되는 경우가 있나요?
자연사랑
|
2025.04.18
|
추천 1
|
조회 18
|
자연사랑 | 2025.04.18 | 1 | 18 |
686 |
[나의 질문] 최우석 - '선택의 여지' 그리고 '앎과 실재' (2)
시인처럼
|
2025.04.14
|
추천 0
|
조회 45
|
시인처럼 | 2025.04.14 | 0 | 45 |
685 |
[질문/토론] 대상 물체의 현재 온도가 낮을수록 △S의 값이 크다는 것을 어떻게 증명할 수 있나요?
자연사랑
|
2025.04.14
|
추천 1
|
조회 48
|
자연사랑 | 2025.04.14 | 1 | 48 |
684 |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와 범심론 (9)
유동나무
|
2025.03.30
|
추천 2
|
조회 169
|
유동나무 | 2025.03.30 | 2 | 169 |
683 |
[질문] 앎의 세 모드(역학 모드, 서술 모드, 의식 모드)와 포퍼의 세 세계
자연사랑
|
2025.03.24
|
추천 0
|
조회 152
|
자연사랑 | 2025.03.24 | 0 | 152 |
682 |
[질문] 엔트로피 법칙이 무엇인가요? (1)
자연사랑
|
2025.03.13
|
추천 0
|
조회 207
|
자연사랑 | 2025.03.13 | 0 | 207 |
681 |
[자료] 물리법칙과 '나'라는 문제
자연사랑
|
2025.03.12
|
추천 1
|
조회 216
|
자연사랑 | 2025.03.12 | 1 | 216 |
680 |
[자료] 자유에너지 경관과 준안정상태의 변화
자연사랑
|
2025.02.22
|
추천 1
|
조회 206
|
자연사랑 | 2025.02.22 | 1 | 206 |
679 |
[자료] 우주의 역사와 운명 (1)
자연사랑
|
2025.01.28
|
추천 1
|
조회 325
|
자연사랑 | 2025.01.28 | 1 | 325 |
678 |
[자료] 우주와 물질 - 개요 (4)
자연사랑
|
2025.01.27
|
추천 1
|
조회 337
|
자연사랑 | 2025.01.27 | 1 | 3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