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함수의 덧셈 공식 증명
자료
상대성이론
작성자
자연사랑
작성일
2022-01-04 03:16
조회
6165
덧셈공식과 뺄셈공식은 사실 내용이 같습니다. 뺄샘공식은 삼각함수의 각에 마이너스가 붙을 때 어떻게 되는가만 알면, 덧셈공식에서 바로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an(-\beta)=-\tan\beta$이므로 \begin{align}\tan(\alpha - \beta) &= \tan (\alpha + (-\beta))\\&=\frac{\tan \alpha+\tan(-\beta)}{1- \tan\alpha \tan(-\beta)}\\&=\frac{\tan \alpha-\tan\beta}{1+\tan\alpha \tan\beta}\end{align}입니다. 마찬가지로 $\sin(-\beta)=-\sin\beta$, $\cos(-\beta)=\cos\beta$이므로 \begin{align}\sin (\alpha -\beta)&=\sin (\alpha +(-\beta))\\&=\sin\alpha \cos(-\beta) + \cos\alpha \sin(-\beta)\\&=\sin\alpha \cos\beta - \cos\alpha \sin\beta\end{align}임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전체 1
-
자연사랑
2024-11-13 09:35지난 번 세미나(11월 11일)의 발제자료 중에 삼각함수의 덧셈공식을 유도/증명하는 슬라이드가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이 글에 있는 그림을 이용하면 조금 더 직관적으로(?) 덧셈공식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위의 그림 중 탄젠트 함수의 뺄셈공식 유도에 사용되는 그림은 neomay33님이 그려주셨습니다.
전체 721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공지사항 |
심학십도 그림 자료
녹색아카데미
|
2025.04.28
|
추천 1
|
조회 1629
|
녹색아카데미 | 2025.04.28 | 1 | 1629 |
공지사항 |
2025 <양자역학 이해 강독모임> 계획
녹색아카데미
|
2025.04.23
|
추천 0
|
조회 1851
|
녹색아카데미 | 2025.04.23 | 0 | 1851 |
공지사항 |
3기 새 자연철학 세미나 상세 계획
시인처럼
|
2024.09.12
|
추천 0
|
조회 4408
|
시인처럼 | 2024.09.12 | 0 | 4408 |
공지사항 |
[자료] 유튜브 대담영상 "자연철학이야기" 녹취록 & 카툰 링크 모음 (5)
neomay33
|
2023.04.20
|
추천 3
|
조회 14125
|
neomay33 | 2023.04.20 | 3 | 14125 |
공지사항 |
『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 정오표 (10)
시인처럼
|
2022.12.22
|
추천 3
|
조회 17010
|
시인처럼 | 2022.12.22 | 3 | 17010 |
공지사항 |
[공지] 게시판 카테고리 설정에 대해서 (4)
시인처럼
|
2022.03.07
|
추천 0
|
조회 13486
|
시인처럼 | 2022.03.07 | 0 | 13486 |
705 |
[자료] 핼리 혜성, 3차원, 예측적 앎 (1)
자연사랑
|
2025.06.09
|
추천 0
|
조회 98
|
자연사랑 | 2025.06.09 | 0 | 98 |
704 |
[자료] 예측적 앎으로서의 고전역학 (2)
자연사랑
|
2025.06.08
|
추천 1
|
조회 134
|
자연사랑 | 2025.06.08 | 1 | 134 |
703 |
[자료] 고전역학이라는 용어
자연사랑
|
2025.06.08
|
추천 1
|
조회 119
|
자연사랑 | 2025.06.08 | 1 | 119 |
702 |
[자료] 3차원 vs. 2+1차원; 낙하운동의 서술
자연사랑
|
2025.06.03
|
추천 0
|
조회 235
|
자연사랑 | 2025.06.03 | 0 | 235 |
701 |
6월2일 질문 (4)
sola
|
2025.06.02
|
추천 0
|
조회 101
|
sola | 2025.06.02 | 0 | 101 |
700 |
[자료] 칼 포퍼의 [추측과 논박]에 나오는 그림
자연사랑
|
2025.06.02
|
추천 0
|
조회 99
|
자연사랑 | 2025.06.02 | 0 | 99 |
699 |
[자료] 해밀턴 함수와 동역학적 특성
자연사랑
|
2025.06.02
|
추천 1
|
조회 83
|
자연사랑 | 2025.06.02 | 1 | 83 |
698 |
[자료] 양자와 마음: 양자역학과 의식의 연결
자연사랑
|
2025.05.27
|
추천 0
|
조회 123
|
자연사랑 | 2025.05.27 | 0 | 123 |
697 |
[자료] 입자인가, 파동인가 (2)
자연사랑
|
2025.05.21
|
추천 1
|
조회 137
|
자연사랑 | 2025.05.21 | 1 | 137 |
696 |
수업 후에 질문드립니다 (11)
안소라
|
2025.05.21
|
추천 1
|
조회 209
|
안소라 | 2025.05.21 | 1 | 209 |
예를 들어 삼각함수의 덧셈공식 $$\tan(\alpha+\beta)=\frac{\tan \alpha +\tan\beta}{1-\tan\alpha \tan\beta}$$은 아래의 그림을 이용하여 쉽게 유도할 수 있습니다.
(그림 출처: https://commons.wikimedia.org )
위의 그림을 이용하여 삼각함수의 공식을 증명하는 것을 짧게 설명드릴까 합니다. 먼저 아래 쪽의 파란색 삼각형을 보면 왼쪽 아래 각이 '알파'이고 밑변의 길이가 1입니다. 탄젠트라는 삼각비는 (높이 / 밑변)입니다. 따라서 $$\tan \alpha = \frac{\mbox{높이}}{1}$$이므로, $$\mbox{높이} = \mbox{밑변} \times \tan\alpha = \tan\alpha$$가 됩니다. 비슷하게 코사인이라는 삼각비는 (밑변 / 빗변)이므로 $$\cos\alpha = \frac{1}{\mbox{빗변}}$$이고, 따라서 $$\mbox{빗변} = \frac{1}{\cos\alpha}$$가 됩니다.
이번에는 가운데 있는 살구색 삼각형을 생각하면 왼쪽 아래 각이 베타이고 밑변이 (1 / cos 알파)이므로, 높이는 거기에 (tan 베타)를 곱한 값, 즉 $$\frac{\tan \beta}{\cos \alpha}$$가 됩니다.
이번에는 오늘쪽 위 귀퉁이의 흰색 삼각형을 생각합니다. 약간 숨어 있긴 하지만 그 아래쪽 각이 알파임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파란색 삼각형의 직각을 고려하면, 오른쪽 아래 파란색 삼각형의 윗쪽 각은 (90도 - 알파)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른쪽 위 흰색 삼각형의 아랫쪽 각은 {90도 - (90도 - 알파)} = 알파입니다. 그러고 나면 빗변의 길이가 (tan 베타 / cos 알파)이고 각이 알파이므로 $$\mbox{밑변} = \mbox{빗변} \times \cos \alpha = \frac{\tan\beta}{\cos\alpha}\cdot \cos\alpha = \tan\beta$$를 얻습니다. 또 그 흰색 삼각형의 높이는 $$\mbox{밑변} \times \tan\alpha = \tan\alpha \times \tan \beta$$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사각형 전체를 보면 파란색 삼각형과 오른쪽 흰색 삼각형으로부터 왼쪽 흰색 삼각형의 왼쪽 변의 길이가 $$\tan \alpha + \tan \beta$$임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랫쪽 파란색 삼각형의 밑변의 길이가 1이고 오른쪽 위 흰색 삼각형의 밑변의 길이가 $\tan\alpha \times \tan \beta$이므로, 왼쪽 흰색 삼각형의 윗변의 길이는 $$1 - \tan \alpha\times \tan \beta$$가 됩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윗쪽 흰색 삼각형을 보면 그림에 있듯이 꼭지각이 (알파 + 베타)이므로 [평행선 두 개를 지나는 제3의 직선이 있을 때 소위 '엇각'은 항상 같음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tan(\alpha+\beta)=\frac{\mbox{큰 햐얀 삼각형의 높이}}{\mbox{큰 하얀 삼각형의 밑변}}=\frac{\tan \alpha +\tan\beta}{1-\tan\alpha \tan\beta}$$가 증명됩니다.
뺄셈공식 $$\tan(\alpha-\beta)=\frac{\tan \alpha-\tan\beta}{1+\tan\alpha \tan\beta}$$은 아래의 그림을 이용하여 쉽게 유도할 수 있습니다.
삼각함수의 덧셈공식 $$\sin (\alpha +\beta)=\sin\alpha \cos\beta + \cos\alpha \sin\beta$$ $$\cos(\alpha+\beta)=\cos\alpha\cos\beta -\sin\alpha\sin\beta$$ $$\sin (\alpha -\beta)=\sin\alpha \cos\beta - \cos\alpha \sin\beta$$ $$\cos(\alpha-\beta)=\cos\alpha\cos\beta +\sin\alpha\sin\beta$$는 아래 그림을 이용하면 간단하게 증명할 수 있습니다.




(그림 출처: https://commons.wikimedia.or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