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 상대성이론과 관련된 동영상 2부
자료
상대성이론
작성자
자연사랑
작성일
2019-12-11 00:05
조회
6848
EBS 다큐프라임 "빛의 물리학" 2부는 일반상대성이론을 다룹니다.
전문적인 관점에서 보면 어설픈 면도 없지 않지만, 그래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잘 만들었고, 그래서 많은 호평을 받았습니다.
장회익 선생님의 <자연철학 강의>에서 일반상대성이론은 가장 접근하기 어려운 장애물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이것을 잘 해결해야만 6장에서 "우주와 물질"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이 다큐멘터리가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전체 699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공지사항 |
<자연철학 강의 공부모임> 계획
시인처럼
|
2024.09.12
|
추천 0
|
조회 3530
|
시인처럼 | 2024.09.12 | 0 | 3530 |
공지사항 |
3기 새 자연철학 세미나 상세 계획
시인처럼
|
2024.09.12
|
추천 0
|
조회 3574
|
시인처럼 | 2024.09.12 | 0 | 3574 |
공지사항 |
[자료] 유튜브 대담영상 "자연철학이야기" 녹취록 & 카툰 링크 모음 (5)
neomay33
|
2023.04.20
|
추천 3
|
조회 13046
|
neomay33 | 2023.04.20 | 3 | 13046 |
공지사항 |
『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 정오표 (10)
시인처럼
|
2022.12.22
|
추천 3
|
조회 15831
|
시인처럼 | 2022.12.22 | 3 | 15831 |
공지사항 |
[공지] 게시판 카테고리 설정에 대해서 (4)
시인처럼
|
2022.03.07
|
추천 0
|
조회 12691
|
시인처럼 | 2022.03.07 | 0 | 12691 |
684 |
New
![]()
익명
|
04:59
|
추천 0
|
조회 1
|
익명 | 04:59 | 0 | 1 |
683 |
New
![]()
익명
|
04:11
|
추천 0
|
조회 1
|
익명 | 04:11 | 0 | 1 |
682 |
[질문] 엔트로피 법칙이라는 것
자연사랑
|
2025.03.13
|
추천 0
|
조회 28
|
자연사랑 | 2025.03.13 | 0 | 28 |
681 |
[자료] 물리법칙과 '나'라는 문제
자연사랑
|
2025.03.12
|
추천 1
|
조회 46
|
자연사랑 | 2025.03.12 | 1 | 46 |
680 |
[자료] 자유에너지 경관과 준안정상태의 변화
자연사랑
|
2025.02.22
|
추천 1
|
조회 100
|
자연사랑 | 2025.02.22 | 1 | 100 |
679 |
[자료] 우주의 역사와 운명 (1)
자연사랑
|
2025.01.28
|
추천 1
|
조회 223
|
자연사랑 | 2025.01.28 | 1 | 223 |
678 |
[자료] 우주와 물질 - 개요 (4)
자연사랑
|
2025.01.27
|
추천 1
|
조회 236
|
자연사랑 | 2025.01.27 | 1 | 236 |
677 |
[자료] 고립계, 닫힌 계, 열린 계
자연사랑
|
2025.01.20
|
추천 1
|
조회 237
|
자연사랑 | 2025.01.20 | 1 | 237 |
676 |
[자료] 열역학 영째 법칙과 온도의 정의 (2)
자연사랑
|
2025.01.19
|
추천 0
|
조회 237
|
자연사랑 | 2025.01.19 | 0 | 237 |
675 |
상호작용 없는 측정(엘리추르-바이드만)과 겹실틈 실험
자연사랑
|
2024.12.25
|
추천 0
|
조회 216
|
자연사랑 | 2024.12.25 | 0 | 216 |
EBS 다큐프라임 "빛의 물리학"은 6부작입니다. 전체는 ">에서 볼 수 있습니다.
매우 흥미로운 쟁점은 과연 상대성이론에서 '빛'의 역할은 무엇이었을까 하는 문제입니다. 깊은 학문적 성찰보다는 대중적 이해에 촛점을 맞춘 EBS 다큐프라임에서는 전체 스토리를 '빛'이라는 매개를 써서 전개했습니다. 그러나 장회익 선생님의 관점에서 '빛'이라는 것은 일종의 트로이 목마일 뿐입니다. 시간과 공간의 구조를 밝히는 데 빛이 역사적으로는 나름의 역할을 했지만, 빛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 문제는 더 곰곰히 생각해 볼 매우 중요한 주제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