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철학 세미나>를 제안합니다.
세미나 운영
작성자
녹색아카데미
작성일
2019-11-04 12:46
조회
5604
<자연철학 세미나> 제안서
하지만 <자연철학 강의>는 쉽지 않습니다. 이미 책을 펼쳐보신 분은 아시겠지만 이 책은 고전역학과 상대성이론, 양자역학, 통계역학, 현대 우주론과 물질론까지 소위 현대 물리학 핵심 이론들의 골간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이야기를 따라가기 위해서는 ‘수학적 이해’를 피할 수가 없습니다. 많은 대중 과학서들이 ‘수학 없는 물리학’을 표방하곤 하는데 이해보다는 오해를 더 많이 낳는 듯 합니다. 수학을 빼고는 현대과학이 알려주는 바를 제대로 이해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물론 물리학 이이야기만 어려운 것은 아닙니다. 이어지는 생명, 주체, 앎에 대한 이야기들 역시 만만하지는 않습니다.
아마도 <자연철학 강의>를 혼자서 읽어내려갈 수 있는 사람은 꽤나 드물 것 같습니다. 선생님께서도 이 점 때문에 책이 출간되면 세미나 모임을 만들어야겠다는 구상을 하셨습니다. 그래서 함께 책을 읽는 “자연철학 세미나”를 꾸려보자고 제안을 드립니다. 저자인 장회익 선생님을 모시고 여러 사람들이 서로 품앗이를 해가면서 <자연철학 강의>를 온전히 읽어내기 위한 세미나 모임을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
우선 장회익 선생님과 가까운 녹색문명공부모임, 양자역학공부모임, 천안아산온생명모임, 경희대 “철학자를 위한 물리학” 강좌 수강학생들, 경희대 융합학술연구세미나 참석자들 중심으로 일정과 장소 등 실무 사항을 확정짓고 그 뒤에 출판사, 여러 학교, 인문학 및 과학 공부모임 등에 알려서 관심있는 분들이 참여할 수 있게 해보죠. 제안 드리는 바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자연철학 강의>의 모든 내용을 충실하게 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세미나를 해보았으면 합니다.
‘약간의 수학’을 포함하여 <자연철학 강의>에서 이야기하는 바를 모두 다 따라가보자는 목표로 세미나를 해보았으면 합니다. 그러니까 수학을 써서 이해해야 하는 대목들을 하나도 건너뛰지 말고 도전해보자는 겁니다. 장회익 선생님께서도 세미나에 계실테고, 그 밖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분들이 없지 않을테니 불가능하지는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수학과 과학의 내용이 어려워서 지체가 되면 지체가 되는대로 다 소화를 해보기로 하는 겁니다.2. 원칙적으로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세미나가 모두 끝날 때까지 성실하게 참석할 수 있고, 적어도 1회 이상 발제 맡기를 마다하지 않는다면 수학과 과학을 잘 몰라도 함께 공부하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세미나 방식은 대학원 세미나 방식에 가깝게 될 듯 합니다. 발제를 맡은 분은 최대한 먼저 이해하고 소화를 해서 다른 분들의 이해를 돕는 차원에서 세미나를 이끌어가야 하고, 나머지 참석자들도 최선을 다해서 공부를 해오셔야 원활하게 이야기 나눌 수 있을 겁니다. <자연철학 강의>를 꼭 읽고 싶고, 꼭 이해하고 싶은데 나 혼자서는 도저히 막혀서 읽을 수 없다는 분들을 위한 모임입니다.3. 짧으면 6개월, 길면 1년 정도를 생각해 봅니다.
책을 본 분들 대부분 그렇게 생각하시겠지만 총 10장 가운데 어떤 장은 한 번 정도의 발제와 논의로 어느 정도 새길 수 있을테지만 어떤 장은 두 번, 세 번으로도 소화가 잘 안 될 겁니다. 격주 3시간 세미나라면 대략 18~20회, 월례 5~6시간 세미나라면 대략 9~10회 정도 내다보고 시작해 보시죠. 물론 뒤는 열어놓아도 좋을 것 같습니다.4. 세미나 모임은 요일과 모임시간, 장소를 달리 해서 2개로 운영해보려 합니다.
애초 장회익 선생님 초빙교수로 계신 서울 회기동의 경희대에서 격주 목요일로 세미나 모임을 가질 계획이었습니다만 뜻이 있어도 시간과 장소 문제 때문에 어려운 분들이 많이 있는 게 사실입니다. 장회익 선생님과 공부하시는 천안아산공부모임 분들께 여쭤보니 아산에서도 세미나 모임 열면 좋겠다고 하시더군요. 해서 매달 네 번째 토요일마다 좀 더 시간을 길게 갖는 월례 세미나 모임을 아산에서 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모임은 KTX 천안아산역에서 멀지 않은 충청남도 사회복지사협회(충남 아산시 배방읍 용연로 12 중앙플라자 402호)에서 하려고 합니다. 참고로 월례 토요일 아산 세미나에는 장회익 선생님 제자인 물리철학자 김재영 박사가 참석해서 어려운 대목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격주 목요일 경희대 세미나에서는 누가 큰 도움 주실지 참여 신청을 받으면서 함께 살펴보시죠.5. 아래의 표와 같이 일정 가안을 가지고 시작해보면 어떨까요.
서울 격주 목요일 세미나 | 세미나 모임 | 아산 월례 토요일 세미나 | ||
격주 목요일 | 모이는 때 | 매월 네 번째 토요일 | ||
오후 6시~9시 | 모임 시간 | 오후 1시~6시 | ||
경희대학교 청운관 508호 세미나실 | 모임 장소 | 충청남도 사회복지사협회 | ||
세미나 일정 계획 (가안) | ||||
1 | 2019년 11월 28일 목 | 제1장 앎의 바탕 구도 | 1 | 2019년 11월 30일 토 |
2 | 2019년 12월 5일 목 | 제2장 고전역학 | ||
3 | 2019년 12월 19일 목 | 2 | 2019년 12월 28일 토 | |
4 | 2020년 1월 2일 목 | 제3장 상대성이론 | ||
5 | 2020년 1월 16일 목 | 3 | 2020년 2월 1일 토 | |
6 | 2020년 2월 6일 목 | |||
7 | 2020년 2월 20일 목 | 제4장 양자역학 | 4 | 2020년 2월 22일 토 |
8 | 2020년 3월 5일 목 | |||
9 | 2020년 3월 19일 목 | 5 | 2020년 3월 28일 토 | |
10 | 2020년 4월 2일 목 | 제5장 통계역학 | ||
11 | 2020년 4월 16일 목 | 6 | 2020년 4월 25일 토 | |
12 | 2020년 5월 7일 목 | |||
13 | 2020년 5월 21일 목 | 제6장 우주와 물질 | 7 | 2020년 5월 23일 토 |
14 | 2020년 6월 4일 목 | |||
15 | 2020년 6월 18일 목 | 제7장 생명 | 8 | 2020년 6월 27일 토 |
16 | 2020년 7월 2일 목 | 제8장 주체 | ||
17 | 2020년 7월 16일 목 | 제9장 앎 | 9 | 2020년 7월 25일 토 |
18 | 2020년 7월 30일 목 | 제10장 온전한 앎 |
-
<자연철학 세미나> 참여 신청 링크
-
<자연철학 세미나> 게시판
- 20191105 자연철학 세미나 모임 제안서 (수정)(이 글 본문과 동일한 내용의 PDF 문서입니다.)
녹색아카데미 최우석 드림
전체 697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공지사항 |
<자연철학 강의 공부모임> 계획
시인처럼
|
2024.09.12
|
추천 0
|
조회 3540
|
시인처럼 | 2024.09.12 | 0 | 3540 |
공지사항 |
3기 새 자연철학 세미나 상세 계획
시인처럼
|
2024.09.12
|
추천 0
|
조회 3592
|
시인처럼 | 2024.09.12 | 0 | 3592 |
공지사항 |
[자료] 유튜브 대담영상 "자연철학이야기" 녹취록 & 카툰 링크 모음 (5)
neomay33
|
2023.04.20
|
추천 3
|
조회 13063
|
neomay33 | 2023.04.20 | 3 | 13063 |
공지사항 |
『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 정오표 (10)
시인처럼
|
2022.12.22
|
추천 3
|
조회 15848
|
시인처럼 | 2022.12.22 | 3 | 15848 |
공지사항 |
[공지] 게시판 카테고리 설정에 대해서 (4)
시인처럼
|
2022.03.07
|
추천 0
|
조회 12701
|
시인처럼 | 2022.03.07 | 0 | 12701 |
682 |
[질문] 엔트로피 법칙이 무엇인가요? (1)
자연사랑
|
2025.03.13
|
추천 0
|
조회 62
|
자연사랑 | 2025.03.13 | 0 | 62 |
681 |
[자료] 물리법칙과 '나'라는 문제
자연사랑
|
2025.03.12
|
추천 1
|
조회 80
|
자연사랑 | 2025.03.12 | 1 | 80 |
680 |
[자료] 자유에너지 경관과 준안정상태의 변화
자연사랑
|
2025.02.22
|
추천 1
|
조회 105
|
자연사랑 | 2025.02.22 | 1 | 105 |
679 |
[자료] 우주의 역사와 운명 (1)
자연사랑
|
2025.01.28
|
추천 1
|
조회 228
|
자연사랑 | 2025.01.28 | 1 | 228 |
678 |
[자료] 우주와 물질 - 개요 (4)
자연사랑
|
2025.01.27
|
추천 1
|
조회 239
|
자연사랑 | 2025.01.27 | 1 | 239 |
677 |
[자료] 고립계, 닫힌 계, 열린 계
자연사랑
|
2025.01.20
|
추천 1
|
조회 245
|
자연사랑 | 2025.01.20 | 1 | 245 |
676 |
[자료] 열역학 영째 법칙과 온도의 정의 (2)
자연사랑
|
2025.01.19
|
추천 0
|
조회 241
|
자연사랑 | 2025.01.19 | 0 | 241 |
675 |
상호작용 없는 측정(엘리추르-바이드만)과 겹실틈 실험
자연사랑
|
2024.12.25
|
추천 0
|
조회 220
|
자연사랑 | 2024.12.25 | 0 | 220 |
674 |
[자료] 푸리에 변환과 힐버트 공간
자연사랑
|
2024.12.10
|
추천 0
|
조회 301
|
자연사랑 | 2024.12.10 | 0 | 301 |
673 |
양자역학이 답하고 있는 문제: 상태를 어떻게 서술할까?
자연사랑
|
2024.12.09
|
추천 0
|
조회 257
|
자연사랑 | 2024.12.09 | 0 | 257 |
수고하셨습니다!
1월 30일 일정 변경된 것을 반영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넵, 이건 생각도 않고 있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