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를 어떻게 이해할까? (^^)
2년 전에 『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장회익, 2022, 한울아카데미)로 첫 번째 세미나를 마친 후 오프라인 마무리 토론회(2023년 8월 19일)를 가졌었습니다. 그때 돌아가면서 질문도 하고 소감도 나눌 때 제가 말씀드렸던 내용이 메모로 남아있어서, 다시 정리해서 공유합니다. 참고로만 봐주세요.
책 출간됐을 때 한겨레신문 '책과 생각' 코너에 실린 서평 기사도 공유합니다.
"양자역학 오해 씻어내는 장회익의 새 존재론". 2022. 11. 11. 고명섭.
2023년 8월 19일. 『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 세미나 마무리 토론회에서.
몇 년 전에 경희대로 장회익선생님 세미나(융합 세미나)에 다니고 있을 때였습니다. 제가 이런 세미나에 참석하고 있고 양자역학도 공부한다고 지인한테 얘기하니 도대체 양자역학이 뭐냐고 물어왔습니다. 어쩌면 당연한 질문이고 누구나 가질 수 있는 질문이었는데, 그순간 제 머리속이 하얘지면서 단 한 마디도 해줄 수가 없었습니다. 사실 역학이라는 것 자체가 뭔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그래서 다음 세미나 때 선생님께 여쭤봤습니다.
“선생님, 양자역학이 (‘도대체’는 생략하고) 뭔가요?”
선생님은 살짝 웃으시면서 이렇게 대답하셨습니다.
“^*%#%@^*~%#^*%#%@^&*~%#&&^*%#%@^&*~%#&, OK?! :)”
……..
“ㅠㅠ”
두어 문장으로 설명해주셨는데 하나도 못 알아들었습니다. 다시 여쭤보질 못했고, 당연히 "OK?!" 말고는 기억도 안 나고, 내가 왜 녹음을 안 했던가 후회 막급이었는데요. 그후 선생님께서 이런 책을 내주셔서 정말 기뻤고 감사했습니다. 그런데 기쁨도 잠시… 너무 어려웠습니다. ㅠㅠ 그래도 세미나를 마치고 나니 몇 년 전보다는 양자역학에 대해서 몇 마디 할 수 있게는 된 것 같아서, 누구한테 이 책을 소개한다면 그리고 책을 읽어나갈 때 참고할 수 있는 전략 같은 것을 말씀드리면 이렇습니다.(아래 내용은 제가 이해한 바임을 유념해주세요. ^^;)
양자역학은 자연을 합법칙적으로 이해하는 한 가지 틀이다. 양자역학 전에 고전역학, 상대성이론이 있었는데, 양자역학은 그 둘을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그 개념의 틀은 본질적으로 수정되었다. 그렇다면 어떻게 수정되었는지 존재론을 검토해보자(만들어보자) 하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다. 현재까지는 그러한 존재론이 없었고 그래서 양자역학의 해석, 파동함수 이해가 제대로 되지 못하고 있다. 챕터별로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먼저 서설과 1장에서, 양자역학에서 무엇이 문제가 되고 있는지 소개하고, 앎이란 무엇인지 장회익의 앎의 이론을 설명한다.
- 2, 3, 4장에서는 고전역학과 상대성이론이 어떤 존재론적 가정을 하고 있는지 본다.
- 5, 6, 7장에서는 양자역학이 고전역학, 상대성이론과 어떻게 다른지 정식화 과정을 보여준다.(정식화=formulation : 어떤 물리적 이론이나 현상을 수학적으로 체계화하여 명확한 구조와 원리로 표현하는 것. 책 27쪽에 ‘정식화’라는 말이 처음 나옵니다.)
- 8장에서는 주요한 양자역학의 해석 도장깨기
제가 보기에 이 책에서 선생님의 (최종)목표는 양자역학의 해석 문제를 진짜로 해결하는 것이고, 그렇게 하려면 우리가 과학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것(고전역학, 상대성이론과 같은 것을 통해 우리가 파악할 수 있는 ‘과학적 실재’ - 선생님께서 세미나 때, 여기서 우리는 ‘과학적 실재’에 국한해서 얘기해야 한다고 언급하신 적이 있습니다.)은 무엇이며, 그렇게 안다는 것은 무슨 의미이며, 우리는 그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하는 앎의 문제, 즉 인식론과 존재론을 건드리지 않을 수 없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장회익, 2019, 추수밭.) 후반부에서도 주체와 객체, 앎의 문제, 온전한 앎, 앎의 뫼비우스 띠 이야기가 나옵니다.
아쉬운 점이라면, 한 챕터 더 있었으면 하는 것입니다. 1장에서 제기한 문제들을 닫아주는, 말하자면 선생님의 의도가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해소되었는지 저희같은 사람들에게 한 번 더 친절하게 알려주셨으면 책 전체를 이해하는 데 더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어제 세미나 때도 수식, 정식화에 대해서 얘기가 나왔었는데요. 그런 것 없이 양자역학을 이해할 수 있을까 혹은 수식 없이 이해하고 싶다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몇 년 전에 삼각함수를 새로 들여다봤을 때가 기억나는데요, 기하학과 삼각함수 없이는, 기하학과 삼각함수가 설명해주는 삼각형의 성격을 이해하지는 못하겠구나 하는 생각이 그때 들었습니다. 아직 이 책 4장 이후를 이해하지 못한 상태라 너무 단순화시켜서 비유한 건지는 모르겠습니다. ^^;
모임 공지글에서도 안내를 드렸을텐데요. 선생님의 다른 책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을 가지고 예전에 대담을 했었고 녹취록을 만들어두었습니다. 이 책에도 양자역학이 나오는데요. 책을 직접 보셔도 좋겠지만 대담은 좀 더 쉽게 풀어주시니까요. 아래 녹취록과 영상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링크로 가시면 녹취록을 보실 수 있고 유튜브 영상 링크도 달아놓았습니다.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장회익, 2019, 추수밭) '대담 영상+녹취록' 중에서 양자역학과 앎에 대한 부분.
<양자역학>
5-2. 양자역학 : 겹실틈(이중슬릿)과 양자역학의 문제
5-3. 양자역학의 ‘상태’와 ‘측정’에 대하여 : ‘성향’과 ‘변별체’ 이해하기
<앎이란 무엇인가>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공지사항 |
심학십도 그림 자료
녹색아카데미
|
2025.04.28
|
추천 1
|
조회 1500
|
녹색아카데미 | 2025.04.28 | 1 | 1500 |
공지사항 |
2025 <양자역학 이해 강독모임> 계획
녹색아카데미
|
2025.04.23
|
추천 0
|
조회 1709
|
녹색아카데미 | 2025.04.23 | 0 | 1709 |
공지사항 |
3기 새 자연철학 세미나 상세 계획
시인처럼
|
2024.09.12
|
추천 0
|
조회 4362
|
시인처럼 | 2024.09.12 | 0 | 4362 |
공지사항 |
[자료] 유튜브 대담영상 "자연철학이야기" 녹취록 & 카툰 링크 모음 (5)
neomay33
|
2023.04.20
|
추천 3
|
조회 14070
|
neomay33 | 2023.04.20 | 3 | 14070 |
공지사항 |
『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 정오표 (10)
시인처럼
|
2022.12.22
|
추천 3
|
조회 16956
|
시인처럼 | 2022.12.22 | 3 | 16956 |
공지사항 |
[공지] 게시판 카테고리 설정에 대해서 (4)
시인처럼
|
2022.03.07
|
추천 0
|
조회 13447
|
시인처럼 | 2022.03.07 | 0 | 13447 |
705 |
[자료] 핼리 혜성, 3차원, 예측적 앎
자연사랑
|
2025.06.09
|
추천 0
|
조회 59
|
자연사랑 | 2025.06.09 | 0 | 59 |
704 |
[자료] 예측적 앎으로서의 고전역학
자연사랑
|
2025.06.08
|
추천 1
|
조회 99
|
자연사랑 | 2025.06.08 | 1 | 99 |
703 |
[자료] 고전역학이라는 용어
자연사랑
|
2025.06.08
|
추천 1
|
조회 99
|
자연사랑 | 2025.06.08 | 1 | 99 |
702 |
[자료] 3차원 vs. 2+1차원; 낙하운동의 서술
자연사랑
|
2025.06.03
|
추천 0
|
조회 216
|
자연사랑 | 2025.06.03 | 0 | 216 |
701 |
6월2일 질문 (4)
sola
|
2025.06.02
|
추천 0
|
조회 87
|
sola | 2025.06.02 | 0 | 87 |
700 |
[자료] 칼 포퍼의 [추측과 논박]에 나오는 그림
자연사랑
|
2025.06.02
|
추천 0
|
조회 63
|
자연사랑 | 2025.06.02 | 0 | 63 |
699 |
[자료] 해밀턴 함수와 동역학적 특성
자연사랑
|
2025.06.02
|
추천 1
|
조회 73
|
자연사랑 | 2025.06.02 | 1 | 73 |
698 |
[자료] 양자와 마음: 양자역학과 의식의 연결
자연사랑
|
2025.05.27
|
추천 0
|
조회 112
|
자연사랑 | 2025.05.27 | 0 | 112 |
697 |
[자료] 입자인가, 파동인가 (2)
자연사랑
|
2025.05.21
|
추천 1
|
조회 130
|
자연사랑 | 2025.05.21 | 1 | 130 |
696 |
수업 후에 질문드립니다 (11)
안소라
|
2025.05.21
|
추천 1
|
조회 197
|
안소라 | 2025.05.21 | 1 | 1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