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앎의 세 모드(역학 모드, 서술 모드, 의식 모드)와 포퍼의 세 세계
장회익 선생님의 자연철학 강의에서 9장 “앎이란 무엇인가?”는 인식 전반에 대한 포괄적이고 보편적인 해명을 꾀하는 매우 중요하고 의미 있는 작업입니다.
“앎의 주체 조직에 외부 정보 $\alpha$가 가해질 때, 조직의 변별 구조 $\Gamma_{\alpha\beta}$에 의해 특정되는 반응 $\beta$가 나타난다고 하면, $\Gamma_{\alpha\beta}$를 $\alpha$와 $\beta$를 연결하는 서술내용이라 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앎의 주체는 물리적 실체를 가지게 되며, 이 물리적 실체를 보는 관점은 역학적 서술의 대상으로 보는 관점과 조직의 구성체로 보는 관점의 두 가지로 대별된다. 이것이 (제3의 주체에 의한) 역학적 서술의 대상으로 간주될 때, 이것이 역학 모드(mechanical mode)에 있다고 말하며, 이것이 조직을 이루어 정보와 반응 관계를 연결하는 기구로 간주될 때, 이것이 서술 모드(descriptive mode)에 있다고 말한다.”(<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457-458쪽)
이는 기존의 양자역학 서울해석에서 ‘상태서술’과 ‘사건서술’을 구분함으로써 양자역학의 해석을 둘러싼 많은 난점들을 해결하거나 해소한 것을 더 일반적인 개념과 용어로 다시 논의한 것과 연결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앎의 과정에 대한 해명은 이와 같은 양자역학의 해석에 머물지 않습니다. 그런 해석이 가능하게 되는 마음 또는 의식에 대한 적극적인 해명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역학 모드와 서술 모드에 대한 더 근본적이고 자성적인 이해로서 ‘의식 모드’가 추가로 도입되어야 합니다.
“이미 의식의 주체가 되어 있는 우리로서는 이러한 정보적 진행의 최소한 일부만이라도 의식하는 경험을 가지고 있으므로 앎의 주체인 ‘나’는 앎에 대한 의식의 주체도 된다는 선언을 할 수 있다. 우리가 이 점을 인정한다면 앎의 주체는 ‘역학 모드’와 ‘서술 모드’ 이외에 또 하나의 존재론적 모드로 ‘의식 모드’에 놓일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462쪽)
그런데 이와 같이 세 층위로 나눈 ‘모드’에 대해 일반적인 독자가 가질 수 있는 의문은 가령 (1) 세 ‘모드’에서 '모드'의 의미가 무엇인가? (2) 왜 하필 세 층위인가? (3) 이러한 세 '모드'는 보편적인가? (4) 왜 하필 셋인가? (5) '모드'와 일원이측면론에서의 '측면'은 어떻게 연관될까? 등이 될 것입니다.
공부가 짧은 저는 이 대목을 읽을 때 가졌던 의문을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오스트리아 출신의 철학자 칼 포퍼는 1968년에 "앎의 주체가 없는 인식론"이란 글에서 세 세계에 대한 이야기를 제시했습니다. 이는 다시 1963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신경생리학자 존 에클스(John Eccles, 1903-1997)의 저서를 통해 확장됩니다. 포퍼와 에클스는 1977년 <자아와 그의 뇌: 상호작용주의를 위한 논변>이라는 제목의 공저를 출간했습니다.
- Popper, K (1968). Epistemology Without a Knowing Subject.
- Eccles, J. C. (1970). Facing Reality: Philosophical Adventures by a Brain Scientist.
- Popper, K; Eccles, J. C. (1977). The Self and Its Brain: An Argument for Interactionism.
포퍼와 에클스의 논의에서 세계는 세 가지 세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에클스 자신은 자신은 '이원론자(dualist)'였는데, 포퍼의 글을 읽고 나서 '삼원론자(trialist)'가 되었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 World 1: the world of physical objects and events, including biological entities
- World 2: the world of individual mental processes
- World 3: the world of abstractions that emerge from and have an effect back on world 2 through their representations in world 1.
이를 그림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그림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John_Eccles_(neurophysiologist) ]
장회익 선생님의 세 가지 모드 역학모드, 서술모드, 의식모드가 포퍼-에클스의 세 세계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포퍼의 세계1에는 물체뿐 아니라 생명체가 포함되며, 포퍼의 세계2는 정신과정이 있는 세계를 가리킵니다. 포퍼의 세계3은 세계1과 세계2의 상호작용에서 비롯하는 추상들로 이루어진 세계입니다.
도식적으로 간단하게 보면, "세계1: 역학모드, 세계3: 서술모드, 세계3: 의식모드"라고 보면 여러 면에서 비슷해 보입니다. 역시 도식적이지만, 에클스의 말과 달리 포퍼의 세 가지 세계는 삼원론보다는 일원삼측면론으로 해석할 수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앎의 세 모드(역학 모드, 서술 모드, 의식 모드)와 포퍼의 세 세계는 어떻게 연결될 수 있을까요?
참고로, 이러한 맥락에서 다시 검토해볼만한 접근이 Fagerjord & Storsul (2007), Frau-Meigs (2007), Liestøl (2007)입니다.
- Fagerjord, A. & Storsul, T., “Questioning convergence”, pp. 19-31.
- Frau-Meigs, D. “Convergence, internet governance and cultural diversity”, pp. 33-53.
- Liestøl, G. “The dynamics of convergence & divergence in digital domains”, pp. 165-178.
구나르 리스퇼(Gunnar Liestøl)의 “디지털 영역에서 융합과 발산의 동적 원리”(Liestøl 1996)는 “디지털 미디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세 층위에서 논의해야 함을 주장합니다. 리스퇼이 제안하는 세 층위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A) 하드웨어의 층: 컴퓨터와 네트워크의 물질적 및 물리적 하부구조
(B) 소프트웨어의 층: 코드화된 명령들, 인터넷과 월드와이드웹을 정의하는 프로토콜
(C) 의미웨어(meaningware)의 층: 개별적인 메시지와 의미, 글, 이미지, 소리, 영상으로 이루어진 내용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구별은 대략 널리 알려진 편입니다. 이것은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에서 논의되고 있는 역학모드와 서술모드의 구별과 잘 맞아 떨어집니다. 여기에서 의식모드는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리스퇼이 말하는 의미웨어와 연결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조금 더 상세한 것은 "[질문] 세 층위의 문제: 개념사적 비교" 참조)
장회익 선생님의 접근과 포퍼-에클스의 세 세계와 리스퇼 같은 디지털 문화 관련 연구자들의 논의가 어떻게 맞물릴까요?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공지사항 |
<자연철학 강의 공부모임> 계획
시인처럼
|
2024.09.12
|
추천 0
|
조회 3813
|
시인처럼 | 2024.09.12 | 0 | 3813 |
공지사항 |
3기 새 자연철학 세미나 상세 계획
시인처럼
|
2024.09.12
|
추천 0
|
조회 3875
|
시인처럼 | 2024.09.12 | 0 | 3875 |
공지사항 |
[자료] 유튜브 대담영상 "자연철학이야기" 녹취록 & 카툰 링크 모음 (5)
neomay33
|
2023.04.20
|
추천 3
|
조회 13432
|
neomay33 | 2023.04.20 | 3 | 13432 |
공지사항 |
『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 정오표 (10)
시인처럼
|
2022.12.22
|
추천 3
|
조회 16231
|
시인처럼 | 2022.12.22 | 3 | 16231 |
공지사항 |
[공지] 게시판 카테고리 설정에 대해서 (4)
시인처럼
|
2022.03.07
|
추천 0
|
조회 12969
|
시인처럼 | 2022.03.07 | 0 | 12969 |
687 |
New [질문/토론] 온도가 크게 올라가면, U≦TS가 되어 F<0이 되는 경우가 있나요?
자연사랑
|
2025.04.18
|
추천 1
|
조회 18
|
자연사랑 | 2025.04.18 | 1 | 18 |
686 |
[나의 질문] 최우석 - '선택의 여지' 그리고 '앎과 실재' (2)
시인처럼
|
2025.04.14
|
추천 0
|
조회 45
|
시인처럼 | 2025.04.14 | 0 | 45 |
685 |
[질문/토론] 대상 물체의 현재 온도가 낮을수록 △S의 값이 크다는 것을 어떻게 증명할 수 있나요?
자연사랑
|
2025.04.14
|
추천 1
|
조회 48
|
자연사랑 | 2025.04.14 | 1 | 48 |
684 |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와 범심론 (9)
유동나무
|
2025.03.30
|
추천 2
|
조회 168
|
유동나무 | 2025.03.30 | 2 | 168 |
683 |
[질문] 앎의 세 모드(역학 모드, 서술 모드, 의식 모드)와 포퍼의 세 세계
자연사랑
|
2025.03.24
|
추천 0
|
조회 152
|
자연사랑 | 2025.03.24 | 0 | 152 |
682 |
[질문] 엔트로피 법칙이 무엇인가요? (1)
자연사랑
|
2025.03.13
|
추천 0
|
조회 207
|
자연사랑 | 2025.03.13 | 0 | 207 |
681 |
[자료] 물리법칙과 '나'라는 문제
자연사랑
|
2025.03.12
|
추천 1
|
조회 216
|
자연사랑 | 2025.03.12 | 1 | 216 |
680 |
[자료] 자유에너지 경관과 준안정상태의 변화
자연사랑
|
2025.02.22
|
추천 1
|
조회 206
|
자연사랑 | 2025.02.22 | 1 | 206 |
679 |
[자료] 우주의 역사와 운명 (1)
자연사랑
|
2025.01.28
|
추천 1
|
조회 325
|
자연사랑 | 2025.01.28 | 1 | 325 |
678 |
[자료] 우주와 물질 - 개요 (4)
자연사랑
|
2025.01.27
|
추천 1
|
조회 337
|
자연사랑 | 2025.01.27 | 1 | 3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