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메뉴
  • 환경
    • 환경 뉴스
    • 환경 칼럼
  • 에너지전환
    • 에너지전환 뉴스
    • 에너지전환 칼럼
  • 과학·학술
    • 과학·학술 뉴스
    • 과학·학술 칼럼
    • 지속가능성 개념어 사전
  • 장회익의 자연철학
    • 자연철학 이야기 대담
    • 책
    • 논문
    • 칼럼, 강의, 강연
  • 공부모임
    • 녹색문명공부모임
    • 새 자연철학 세미나
  • 게시판
    • 새 자연철학세미나 게시판
    • 녹색문명공부모임 게시판
    • 녹색 책/영화클럽 게시판
    • 뉴스레터
  • 일정
  • Log In
    • Register
  • 검색
  • 환경
    • 환경 뉴스
    • 환경 칼럼
  • 에너지전환
    • 에너지전환 뉴스
    • 에너지전환 칼럼
  • 과학·학술
    • 과학·학술 뉴스
    • 과학·학술 칼럼
    • 지속가능성 개념어 사전
  • 장회익의 자연철학
    • 자연철학 이야기 대담
    • 책
    • 논문
    • 칼럼, 강의, 강연
  • 공부모임
    • 녹색문명공부모임
    • 새 자연철학 세미나
  • 게시판
    • 새 자연철학세미나 게시판
    • 녹색문명공부모임 게시판
    • 녹색 책/영화클럽 게시판
    • 뉴스레터
  • 일정
  • Log In
    • Register

녹색아카데미

더 나은 앎으로 푸른 미래를 가꾸는 사람들의 공부모임

녹색문명공부모임

온도와 생명

자료
녹색문명공부모임
작성자
자연사랑
작성일
2024-03-04 18:32
조회
1226

장회익 선생님의 <생명을 어떻게 이해할까?>에서 생명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디딤돌은 생명체(개체)는 네트워크 안에 있어야 한다는 점과 물리학의 열역학에서 가져온 온도 및 자유에너지 개념입니다.

“개체로서의 생명뿐 아니라 네트워크로서의 생명도 그 자체로 고립되어 존재할 수 없고 반드시 이를 가능하게 하는 바탕 체계와 함께 해야 한다.”(108쪽)

1886년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루트비히 볼츠만은 놀라운 통찰로 생명체의 생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엔트로피를 얻는 것이며, 또 이것이 다름 아니라 태양으로부터 지구로 가는 자유에너지 흐름에서 가능함을 제시했습니다. 

“생명체가 생존하기 위해 애쓰는 것은 원소들을 얻기 위해서가 아니다. 유기체를 구성하는 원소들은 공기와 물과 흙 속에 얼마든지 있다. 에너지를 위해서도 아니다. 이것도 열의 형태로 물체들 속에 얼마든지 있다. 오히려 엔트로피(음의 엔트로피)를 위해서이다. 이것은 뜨거운 태양에서 차가운 지구로의 에너지 흐름을 통해 얻을 수 있다.” (109쪽)

“Der allgemeine Daseinskampf der Lebenswesen ist daher nicht ein Kampf um die Grundstoffe - die Grundstoffe aller Organismen sind in Luft, Wasser und Erdboden im Überflusse vorhanden - auch nicht um Energie, welche in form von Wärme leider unverwandelbar in jedem Körper reichlich enthalten ist, sondern ein Kampf um die Entropie, welche durch den Übergang der Energie von der heißen Sonne zur kalten Erde disponibel wird.” 

Ludwig Boltzmann (1886) Der zweite Hauptsatz der mechanischen Wärmetheorie

열역학 둘째 법칙은 고립계에서 엔트로피는 그대로이거나 또는 증가하는 것만이 가능하다고 했지만, 이를 에너지의 흐름이 있는 부분계에 적용하려면 불편한 점이 많습니다. 이를 위해 헬름홀츠(Hermann von Helmholtz 1821-1894)는 계의 (내부)에너지와 엔트로피를 함께 고려할 수 있는 자유에너지(free energy, freie Energie)라는 개념을 도입했습니다.

이제 열역학 둘째 법칙은 닫힌 계에서 자유에너지가 증가하지 않는다는 일반 법칙으로 표현됩니다. 그런데 그 일반 법칙에도 불구하고, 온도 차이가 있는 두 부분계들 사이에 에너지의 흐름이 있으면, 낮은 온도의 대상계에서 일정량의 자유에너지가 유지되거나 증가할 수 있습니다.

그것이 $$\Delta F_B \le \Delta E \left(1 - \frac{T}{T_A}\right)$$라는 수식의 의미입니다. 자유에너지를 보충함으로써 높은 질서를 유지할 길이 열리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이야기를 풀어가려다 보면 직관적으로 궁금해지는 것이 있습니다. 한 겨울 동면 상태로 생명을 유지하는 변온동물의 체온에 대해 이런 매우 추상적이고 일반적/보편적인 이야기를 적용할 수 있을까 하는 것입니다. 이런 논의는 낮은 수준의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과학이론에서 상세하게 다루고 있는 것이라고 하기보다는, 생명에 대한 추상적이고 보편적인 논의가 구체적인 맥락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 살펴보는 것도 흥미로운 문제일 것 같습니다. (여담으로 말씀드리자면, 오래 전 제가 장회익 선생님의 강의조교를 할 때 시험 문제 중에서 항온동물과 변온동물의 차이를 열역학의 관점에서 서술하고 변온동물이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논의하라는 것이 있었습니다. 지금도 다시 찬찬히 생각해 볼 좋은 문제인 것 같습니다.)

대화방에서 관련된 질문이 나온 것도 그런 맥락인 것 같습니다. 제가 그 질문을 정확하게 이해한 것은 아니지만, 대략 $$\frac{1}{T} = \frac{\Delta S}{\Delta E}$$라는 수식을 통해 온도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물(수증기와 얼음 포함), 금속, 생명체의 몸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작동하는가 하는 문제로 보았습니다.

먼저 엔트로피가 온도의 함수가 아니라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표준적인 열역학에서 엔트로피는 내부에너지 $E$, 부피 $V$, 분자수 $N$의 함수로 상정됩니다. 즉 $S=S(E, V, N)$입니다. 독립변수가 셋입니다. 대략 말해서 그 독립변수가 거시상태를 이룹니다. 온도가 높을수록 내부에너지가 크고, 그만큼 넉넉하게 여유가 있으면 거시상태에 대응하는 미시상태의 수가 많을 터이므로 엔트로피도 클 것입니다. 그러나 온도가 높다고 반드시 엔트로피가 크다 말할 수는 없습니다. 물리학자는 근본적인 개념 이해를 추구하지만, 물리학 내에서도 실험물리학이나 물성물리학에서는 이런 문제를 아주 세밀하게 탐구하고 정량화하고 실험합니다. 화학에서는 훨씬 더 복잡하고 정교한 이론과 실험을 전개합니다. 이를 응용하는 화학공학 쪽으로 가면 열역학을 사용하는 방식이 근본적으로 아주 체계적이고 정교합니다.

그러면 열역학에서 이해하는 온도 개념을 가지고 물과 금속과 생명체의 몸에 모두 적용할 수 있을까요? 이런 문제를 다루는 것이 생물학적 열역학입니다. 

대표적인 교과서로 아래의 책이 있습니다.

  • Donald T. Haynie (2008) Biological thermodynamics, 2n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목차를 보면 쉽게 알 수 있듯이, 생물학을 전공하는 학생을 위해 만들어진 열역학 교과서입니다.

먼저 1장 에너지 변환에서 에너지의 분포, 계와 주변, 동물의 에너지 소비, 탄소와 에너지와 생명 등을 다룹니다. 2장의 열역학 첫째 법칙과 3장의 열역학 둘째 법칙에 이어 4장에서 기브스 자유에너지의 이론을, 5장에서 기브스 자유에너지의 적용을 다룹니다. 6장에서 통계열역학을, 7장에서 평형간 결합을, 8장에서 반응동역학을 다룬 뒤 9장에서 생물학적 열역학의 최신 문제를 간단하게 다룹니다.

9장에 등장하는 문제들은 "에너지란 도대체 무엇인가?" "열역학 법칙과 우리 우주", "아주 작은 계의 열역학", "최초의 생물학적 거대분자의 형성", "박테리아", "에너지, 정보, 생명", "생물학과 복잡성", "열역학 둘째 법칙과 진화" 등입니다. <생명을 어떻게 이해할까?>도 이 9장에 등장하는 문제들에 대한 하나의 대답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은 생물학을 전공하는 학부 고학년을 위해 쓰인 책인데, 관심 있는 누구나 볼 수 있다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생명과 온도의 관계를 더 본격적으로 다루는 책으로 
  • Herbert Precht, Jes Christophersen, Herbert Hensel, Walter Larcher (1973) Temperature and Life. Springer.
이 있습니다. 이 분야에서는 거의 '바이블'로 여겨집니다. 800쪽 가까운 분량으로 체온이 변화하는 생명체(poikilothermic organism) 즉 미생물, 식물, 변온동물과 함께 체온이 유지되는 생명체(homeothermic organism)에서 생명체가 온도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아주 상세하게 해명하고 있습니다. 

변온동물과 항온동물의 문제는 생물학 안에서도 아주 중요한 주제입니다. 한 가지 덧붙이자면, 흔히 변온동물(poikilotherms)을 '냉혈동물(cold-blooded)'이라 하고 항온동물(homeotherms)을 '온형동물(warm-blooded)'이라 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부적절한 용어입니다. 변온동물의 피도 결코 차지 않고, 변온동물도 주변의 온도에 따라 체온을 적절하게 조절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또 흔히 포유류와 조류를 항온동물로 보고 다른 강은 변온동물인 것처럼 생각하기 쉽지만, 박쥐 중에는 주변 온도에 따라 체온을 급격하게 바꾸는 종류도 있고, 파충류 중에서도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게 중요합니다. 그래서 요즘에는 변온동물/항온동물 개념쌍보다는 외온동물(ectothermic)/내온동물( endothermic)의 개념쌍을 더 선호합니다.

이에 대해 나중에 더 적어보겠습니다.

전체 0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 [일정표] 녹색아카데미 3월 모임
변온동물과 항온동물 »
목록보기
전체 405
  • 전체
  • 자료
  • 질문 및 토론
  • 모임 정리
  • 공지사항
  • 전체
  • 녹색문명공부모임
  • 책새벽
  • 책밤
  • 책새벽-화
  • 책새벽-수2
  • 책새벽-목
  • 책새벽-금
  • 문학
  • 기타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알림] 6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생태위기 시대의 사유방식 : 장회익의 온생명론과 라투르의 가이아 2.0
눈사람 | 2025.06.03 | 추천 0 | 조회 297
눈사람 2025.06.03 0 297
공지사항
[자료] 자연철학이야기 대담 녹취록, 세미나 녹취록, 카툰 등 링크 모음입니다.
neomay33 | 2023.10.24 | 추천 0 | 조회 3447
neomay33 2023.10.24 0 3447
308
변온동물과 항온동물 (1)
자연사랑 | 2024.03.05 | 추천 1 | 조회 3643
자연사랑 2024.03.05 1 3643
307
온도와 생명
자연사랑 | 2024.03.04 | 추천 1 | 조회 1226
자연사랑 2024.03.04 1 1226
306
[일정표] 녹색아카데미 3월 모임
neomay33 | 2024.03.04 | 추천 0 | 조회 1125
neomay33 2024.03.04 0 1125
305
[책꼽문과 자료] 책새벽-수 『프루스트의 화가들』 1장.두 개의 산책로 (지오토, 뱅퇴유, 벨리니)
neomay33 | 2024.02.28 | 추천 0 | 조회 849
neomay33 2024.02.28 0 849
304
[책꼽문] 책새벽-월. 『선과 모터사이클 관리술』 29장. (p.628-675) (1)
neomay33 | 2024.02.25 | 추천 0 | 조회 730
neomay33 2024.02.25 0 730
303
[책꼽문] 책새벽-화/금. 『세계철학사 2』 2장 '역'의 사유 (p.61-128) (2)
neomay33 | 2024.02.22 | 추천 0 | 조회 677
neomay33 2024.02.22 0 677
302
[자료 - 장회익선생님과의 대담] 열역학, 엔트로피, 생명이란 무엇인가. (4)
neomay33 | 2024.02.16 | 추천 1 | 조회 1042
neomay33 2024.02.16 1 1042
301
[발제자료] 생명을 어떻게 이해할까 3장 발제자료 (2월 15일 세미나) (1)
자연사랑 | 2024.02.15 | 추천 1 | 조회 516
자연사랑 2024.02.15 1 516
300
브리태니커 생명 (2)
자연사랑 | 2024.02.15 | 추천 1 | 조회 830
자연사랑 2024.02.15 1 830
299
[책꼽문] 책새벽-화/금. 『세계철학사 2』 여는 말 & 1장 동북아세계의 형성 (p7-60) (1)
neomay33 | 2024.02.15 | 추천 0 | 조회 713
neomay33 2024.02.15 0 713
  • 처음
  •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 마지막
Powered by KBoard

게시판 글

최신글 내가 쓴 글
복소수 공간과 4차원 위치-시각 공간 관련 자료 목록
2025.07.14
몇 가지 질문에 대한 답 (1)
2025.06.30
[자료] 고전역학적 상태의 조작적 의미 (1)
2025.06.29
[자료] 핼리 혜성, 3차원, 예측적 앎 (1)
2025.06.09
[자료] 예측적 앎으로서의 고전역학 (2)
2025.06.08
로그인 해주세요.

게시판 댓글

최신댓글 내가 쓴 댓글
서술 중 약간 틀린 것을 수정하고 더 읽기 쉽게 몇 구절을 덧붙였습니다.
2025.07.06
[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를 읽어나갈 때 저는 세세한 부분은 대충 그러려니 하고 넘어가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2장 고전역학에서는 2.2절 "고전역학의 존재론"이 핵심이기 때문에 이 부분은 곱씹어가면서 깊이 그리고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2025.06.30
삼각함수의 미분을 더 쉽게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영상이 https://youtu.be/ S0_qX4VJhMQ?t=757 에 있습니다.
2025.06.16
케플러의 법칙([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 75쪽)에 대한 더 상세한 이야기가 "케플러의 법칙과 뉴턴의 증명"에 있습니다. 또 같은 페이지에 케플러의 법칙을 고전역학에서 유도하는 과정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한 내용을 "케플러 문제의 간단한 풀이"에 상세하게 해설해 두었습니다. 약간 성격이 다르긴 하지만, 미국의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의 1964년 강의가 연관됩니다. 그 내용을 "태양 주변의 행성의 운동 (리처드 파인만의 강의)"에서 소개했습니다.
2025.06.16
'낙하의 문제'([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 62-64쪽)와 관련하여 이전에 쓴 글 "천원지방, 갈릴레오, 뉴턴, 여헌 장현광"이 참고가 될 수 있겠습니다. 특히 70쪽에 소개 되어 있는, 물체를 수평으로 던질 때 그리는 궤적을 구하는 문제는 갈릴레오가 1638년의 저서 [새로운 두 과학](Discorsi e dimostrazioni matematiche intorno a due nuove scienze)에서 처음으로 상세하게 해명하여 과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성취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Two_New_Sciences
2025.06.15
로그인 해주세요.

Upcoming Events

7월 18
6:00 오전 - 7:00 오전 KST

책새벽 – 금 : 『세계철학사 4 – 탈근대 사유의 지평들』 21회

7월 21
6:00 오전 - 7:00 오전 KST

책새벽 – 월. 시즌6 : 『침묵의 봄』 13회

7월 22
6:00 오전 - 7:00 오전 KST

책새벽 – 화 : 『온도계의 철학』 – 5회

달력보기

카테고리

녹색아카데미 페이스북 공개그룹

녹색아카데미 페이스북 공개그룹

Copyright © 2025 녹색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

Codilight 테마 제작자 FameThe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