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다윈도 월리스도 아닌 퍼트릭 매튜?
영어권 위주의 진화이론에서는 자연스럽게 자연선택설을 주장한 찰스 다윈의 역할이 강조됩니다. 또 다윈과 동시에 어쩌면 다윈보다 먼저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가 이 생각을 했다는 이야기도 나옵니다. 그런데 다윈과 월리스가 활동하던 시기에도 퍼트릭 매튜라는 사람이 우선권을 주장하면서, 논란이 되었습니다.
"다윈 이전에 진화론 주장한 ‘매튜’" (강석기) [사이언스타임즈 2015.04.24]
Michael E. Weale, Patrick Matthew's law of natural selection, Bi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Volume 115, Issue 4, August 2015, Pages 785–791, https://doi.org/10.1111/bij.12524
https://en.wikipedia.org/wiki/Patrick_Matthew
퍼트릭 매튜(Patrick Matthew 1790-1874)가 1838년에 출판된 책에 이미 자연선택이론과 관련된 아이디어를 냈기 때문에 1958년에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가 다윈에게 보낸 논문 "On the Tendency of Varieties to Depart Indefinitely From the Original Type"이나 1859년에 <종의 기원 또는 자연선택에 의한 선호되는 종의 보존에 관하여>를 출판한 찰스 다윈보다 먼저라는 주장이 곧잘 나옵니다.
더 상세한 것은 2015년 사이언스타임즈에 실린 강석기 기자의 글을 참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사 연구자의 관점에서 보면 이런 주장을 별로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누군가 어떤 아이디어를 가졌다고 해서 그것이 과학의 역사에서 중요한 기여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여하간 그것이 발표되고 사람들이 어떻게 영향을 받았고 그로 인해 어떻게 사회가 변했는가 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아래 인용문은 찰스 다윈이 퍼트릭 매튜에게서 편지를 받고 1861년에 출판된 <종의 기원> 3판에 덧붙인 내용입니다.
"Unfortunately the view was given by Mr. Matthew very briefly in scattered passages in an Appendix to a work on a different subject, so that it remained unnoticed until Mr. Matthew himself drew attention to it in the 'Gardener's Chronicle,' on April 7th, 1860. The differences of Mr. Matthew's view from mine are not of much importance: he seems to consider that the world was nearly depopulated at successive periods, and then re-stocked; and he gives, as an alternative, that new forms may be generated "without the presence of any mould or germ of former aggregates." I am not sure that I understand some passages; but it seems that he attributes much influence to the direct action of the conditions of life. He clearly saw, however, the full force of the principle of natural selection. In answer to a letter of mine (published in Gard. Chron., April 13th), fully acknowledging that Mr. Matthew had anticipated me, he with generous candour wrote a letter (Gard. Chron. May 12th) containing the following passage:—"To me the conception of this law of Nature came intuitively as a self-evident fact, almost without an effort of concentrated thought. Mr. Darwin here seems to have more merit in the discovery than I have had; to me it did not appear a discovery. He seems to have worked it out by inductive reason, slowly and with due caution to have made his way synthetically from fact to fact onwards; while with me it was by a general glance at the scheme of Nature that I estimated this select production of species as an à priori recognisable fact—an axiom requiring only to be pointed out to be admitted by unprejudiced minds of sufficient grasp."
[Darwin, C.R. (1861) On the Origin of Species, 3rd Edition, John Murray, London, pp. xiv–xv]
https://en.wikipedia.org/wiki/Patrick_Matthew#Matthew's_legacy_in_evolutionary_studies
https://en.wikipedia.org/wiki/Patrick_Matthew#Rebuttal_of_claims
진화이론의 역사에서 자주 거론되는 전문가로서 피터 보울러, 에른스트 마이어, 리처드 도킨스, 제임스 무어(다윈 평전의 저자), 존 판비헤, 나일즈 엘드리지 등이 퍼트릭 매튜에 대해 논의했습니다.다윈의 <종의 기원>을 함께 읽고 있으니 저희도 이 문제에 대해 어느 정도 판단을 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서 질문으로 이 내용을 올립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공지사항 |
[자료] 자연철학이야기 대담 녹취록, 세미나 녹취록, 카툰 등 링크 모음입니다.
neomay33
|
2023.10.24
|
추천 0
|
조회 3125
|
neomay33 | 2023.10.24 | 0 | 3125 |
384 |
어제 모임의 토론에 이어 (1)
박 용국
|
2025.04.11
|
추천 2
|
조회 68
|
박 용국 | 2025.04.11 | 2 | 68 |
383 |
녹색문명공부모임- 숙제 (4)
kyeongaelim
|
2025.04.10
|
추천 1
|
조회 63
|
kyeongaelim | 2025.04.10 | 1 | 63 |
382 |
민주주의와 온생명 (2)
박 용국
|
2025.04.06
|
추천 1
|
조회 79
|
박 용국 | 2025.04.06 | 1 | 79 |
381 |
한강의 생명과 장회익의 생명 (2)
박 용국
|
2025.02.01
|
추천 3
|
조회 252
|
박 용국 | 2025.02.01 | 3 | 252 |
380 |
[자료] 책새벽-목-문예사1 : 선사시대 관련 책
neomay33
|
2025.01.16
|
추천 0
|
조회 204
|
neomay33 | 2025.01.16 | 0 | 204 |
379 |
[자료] 『Cosmos』 읽으면서 초반에 알아두면 도움되는 내용
neomay33
|
2025.01.09
|
추천 0
|
조회 289
|
neomay33 | 2025.01.09 | 0 | 289 |
378 |
[자료] 「Cosmos」 다큐(2014, 1980) 영상보기 링크
neomay33
|
2024.12.31
|
추천 0
|
조회 1596
|
neomay33 | 2024.12.31 | 0 | 1596 |
377 |
제주항공 7C 2216편 여객기 사고 희생자분들을 추모합니다.
neomay33
|
2024.12.31
|
추천 0
|
조회 226
|
neomay33 | 2024.12.31 | 0 | 226 |
376 |
[질문] 보람의 가치론과 실재의 질서
자연사랑
|
2024.12.13
|
추천 2
|
조회 270
|
자연사랑 | 2024.12.13 | 2 | 270 |
375 |
[알림] 책새벽-목-시즌5 : 읽을 책 설문조사 결과
neomay33
|
2024.12.13
|
추천 0
|
조회 238
|
neomay33 | 2024.12.13 | 0 | 2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