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새벽 1회 - 발췌] 인포메이션 pp.17~43
모임 정리
책새벽
작성자
neomay33
작성일
2022-08-22 13:06
조회
1173
책새벽 1회. 2022. 8. 22.
<인포메이션> 제임스 글릭. 박래선, 김태훈 옮김. 김상욱 감수. 2017. 동아시아. / pp.17~43.
녹색아카데미에서는 매주 월요일 아침 6-7시에 온라인 책읽기 모임 '책새벽'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제임스 글릭의 <인포메이션>을 읽고 있는데요. 지난 시간(1회)에서 읽은 내용 중 핵심적이라고 생각하는 부분을 발췌해서 옮기고, 중요한 이미지를 넣고 주요 인물에 링크를 걸어두었습니다. 질문이나 토론거리, 함께 보면 좋을 자료들이 있으시면 부담없이 공유해주세요.
프롤로그
1948년은 벨연구소(Bell Labs)가 진공관 기능을 더 효율적으로 구현한 '놀라울 정도로 단순한 장치'인 반도체를 내놓은 해 ... 1948년 5월, 과학자들은 ... 작명위원회를 만들고 ... 설문지를 돌렸다. ... 결론은 '트랜지스터'transistor였다.

[그림 1] 최초의 작동하는 트랜지스터. 1947.(복제품) (출처 : wikipedia)
트랜지스터보다 훨씬 더 중요하고 근본적인 발명은 <벨시스템 기술저널> 7월호와 9월호에 실린 79페이지짜리 논문(Shannon. 1949. pdf.)이었다. ... "통신의 수학적 이론"(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 여기에서도 신조어가 생겨났다. 바로 '비트bit'였다. 비트는 지금은 ... 측정의 기본 단위로 자리 잡았다.

비트는 무엇을 측정하는 것일까? 섀넌은 마치 측정할 수 있고 수량화할 수 있는 정보가 있기라도 하듯 "비트는 정보를 측정하는 단위"라고 썼다.
대부분의 통신 엔지니어들은 증폭과 변조, 위상 왜곡, 신호 대 잡음비 저하 같은 물리적인 문제에 집중했다. 하지만 섀넌은 게임과 퍼즐을 좋아했으며, 애드거 앨런 포를 읽던 소년 시절부터 암호에 빠져 있었다. ... 이후에는 수학자이자 논리학자 ... 헤르만 바일Hermann Weyl과 함께 연구했다.
"이론은 의식이 '자신의 그림자를 뛰어넘게 하고', 주어진 것에서 벗어나게 하며, 오직 기호만을 써서 초월적인 것을 자명한 것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 헤르만 바일
1943년에는 영국의 수학자이자 암호해독가인 앨런 튜링Alan Turing이 암호 업무와 관련해 벨연구소를 방문했고, ... MIT 시절 스승으로 1948년 '인공두뇌학cybernetics'이라는 통신과 제어에 관한 새로운 학문 분야를 제안한 노버트 위너Norbert Wiener와도 교류했다.
1939년 섀넌은 ... 이렇게 썼다. "저는 시간 날 때면 소식intelligence을 전달하는 일반적인 체계의 근본적인 속성들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벨연구소에서 일하던 클로드 섀넌은 물리학을 생각하지 않았다. 입자물리학자들도 비트가 필요하지 않았다. 그러다 갑자기 사정이 달라졌다. 물리학자와 정보이론가가 점점 더 하나가 된 것 ... 비트는 다른 종류의 기본 입자로, 말하자면 이진수, 플립-플롭flip-flop, '예' 혹은 '아니요'로 이루어진 작고 추상적인 기본 입자이다.
문자는 정보의 기초 기술이었다. ... 정보는 항상 거기에 있었다. 정보는 화강암 묘비부터 전령의 귓속말까지 유무형의 형태로 선조들의 세계에도 스며들어 있었다.
모든 새로운 정보기술은 과거의 정보기술을 돋보이게 한다. 17세기 철학자인 토머스 홉스는 새로운 매체에 대한 당대의 호들갑에 이렇게 반발 ... "인쇄술의 발명은 창의적이기는 하지만, 문자의 발명에 비하면 사소한 것에 불과하다."
모든 새로운 매체는 사고의 속성을 변화시킨다.
1730년 ... 영국 노예 상인들의 대리인이었던 (프랜시스) 무어Francis Moore ... 나무로 만든 북을 들고 다니는 원주민 남녀들을 만난 무어는 ... 그 북이 "적의 접근을 알리는" 데 ... 이웃 마을에 지원을 요청할 때 사용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림 3] 말하는 북. (출처 : wikipedia)
1세기 후 니제르 강을 탐사하던 윌리엄 앨런 선장은 ... 더 많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 ... "음악으로 소식을 주고받는 능력"을 모든 사람들이 갖고 있다 ... 믿기 어려웠지만 앨런은 원주민들이 많은 문장으로 구성된 세세한 메시지를 몇 킬로미터 떨어진 곳까지 전달할 수 있다는 사실을 결국 수긍했다.
그리스인들이 기원전 12세기에 벌어진 트로이 전쟁에서 봉화를 사용 ... 독일의 역사학자인 리하르트 헤니히는 1908년 이 경로를 추적하고 측정해 이런 봉화 체계가 일리 있음을 확인했다.
물론 메시지의 의미는 미리 조율을 거쳐 1비트로 효과적으로 축약되어야 했다. 이진법에서 선택은 '어떤 것' 혹은 '아무것도 아님'으로 나타난다. 이 경우 봉화가 의미한 것은 '어떤 것', 즉 '트로이가 함락됐다'라는 것이다.
자력의 발견은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더욱 흥미로운 점은 자력이 지구 전체에 걸쳐 아주 먼 거리까지 작용해 사물, 다시 말해 나침반의 바늘을 정렬시킨다는 점 ...
이런 생각이 퍼져나가자, 1640년대 토머스 브라운(Thomas Browne)은 이 '기발한 생각'에 대해 이렇게 썼다. "... 만약 실제로 이러한 효과가 있다면 이는 어느 정도 신의 섭리가 아닐까 한다. 이에 따라 우리는 영혼들처럼 의사소통을 하고 지구에서 달에 있는 메니푸스Menippus와 대화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편집자주 - 메니푸스는 기원전 3세기 그리스의 풍자작가이다. 기원후 2세기 풍자작가 루키아노스Lucian의 작품 에 메니푸스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데 그는 달로 날아가서 지구를 내려다보며 자신의 생전의 삶을 되돌아본다.)
브라운은 이 신비한 힘이 언젠가 통신에 활용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 않았지만 한 가지 경고를 덧붙였다. 원거리 자기통신이 가능하다고 해도 발신자와 수신자가 동시에 행동하려 할 때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른 장소에서 서로 시간이 얼마나 차이 나는지를 아는 것은 평범한 문제나 달력과 관련된 사안이 아니며, 수학적인 문제이다. ..." - 토머스 브라운
17세기 천문학과 지리학의 새로운 지식에서 나온 이 지적은 ... 그때까지 확고했던 동시성이라는 전제에 최초로 균열을 냈다. ... 2세기가 지나서야 시간대의 차이를 실감할 수 있을 만큼 빠르게 이동하거나 소통하는 일이 가능해졌다.
... 1841년 무렵, 새뮤얼 모스Samuel F. B. Morse는 자신만의 타악기적 코드, 다시 말해 전신선을 따라 고동 치는 전자기적 북소리를 연구하고 있었다.
모스가 쓸 수 있는 기술은 전기회로의 개폐 혹은 전류의 단속을 통해 단순한 펄스를 발생시키는 것뿐이었다. 모스는 어떻게 전자기를 조작해 언어를 전달할 수 있었을까? ... 1840년에 낸 자신의 첫 특허에서 모스는 이렇게 주장했다.
"이 사전 혹은 단어집은 알파벳순으로 정렬되고, 단어에 규칙적으로 번호가 매겨지며, 알파벳 첫 글자에서 시작한다. 그리하여 각 단어는 전신 번호를 가지며 숫자 부호를 통해 임의로 지정된다." - 새뮤얼 모스
[그림 4] 알파벳과 숫자 0~9의 모스 코드. (출처 : wikipedia)
하지만 모스는 모든 단어를 일일이 사전에서 찾는 일이 대단히 번거롭다고 생각했다. 한편 모스의 조수였던 알프레드 베일은 전신 기사가 전기 회로를 빠르게 개폐할 수 있는 단순한 레버 키lever key를 개발하고 있었다.
두 사람은 부호를 글자의 대용물로 삼아 모든 단어를 표시하는 코드화된 알파벳으로 관심을 돌렸다. ... 베일은 상대적인 (알파벳 사용) 빈도 데이터를 구하기 위해 ... 지역 신문사를 찾아가 ... 활자 개수를 세어보니 E는 1만 2,000개, T는 9,000개, Z는 200개 ... 베일과 모스는 이를 기준으로 알파벳을 정렬했다. 원래 T에 지정된 코드는 선선점이었다. 두 사람은 T에 해당하는 코드를 선 하나로 바꿔 ... 수십 억 번의 키 입력을 줄였다.
... 북과 모스 원리가 아주 비슷하다는 사실은 사람들을 혼란에 빠뜨렸다. 유럽인들은 북소리의 코드를 해독하지 못했다. 왜냐하면 사실 북의 언어에는 코드가 없기 때문이다.
모스는 말과 최종 코드를 이어주는 중간 부호층인 문자언어를 가지고 혼자 힘으로 모스 체계를 만들었다. 점과 선은 소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었다. 다시 말해 점과 선은 글자들을 나타냈다. ...
(반면) 북 언어는 말을 바로 변형시켰던 것... 이에 대한 설명은 존 캐링턴John F. Carrington의 몫이었다. ... 북꾼들은 신호를 보내는 것이 아니라 말을 했던 것이다.
캐링턴은 아프리카에서 40년을 살면서 식물학, 인류학, 언어학에 식견을 쌓았다. 특히 수백 종의 개별 언어와 수천 종의 방언이 있는 아프리카 언어군의 구조 연구로 명성을 얻었다. ... 결국 캐링턴은 1949년 자신이 북에 대해 발견한 내용들을 모아 <아프리카의 말하는 북Talking Drums of Africa>이라는 얇은 책으로 펴냈다.
전체 399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공지사항 |
[자료] 자연철학이야기 대담 녹취록, 세미나 녹취록, 카툰 등 링크 모음입니다.
neomay33
|
2023.10.24
|
추천 0
|
조회 3081
|
neomay33 | 2023.10.24 | 0 | 3081 |
384 |
어제 모임의 토론에 이어 (1)
박 용국
|
2025.04.11
|
추천 2
|
조회 39
|
박 용국 | 2025.04.11 | 2 | 39 |
383 |
녹색문명공부모임- 숙제 (4)
kyeongaelim
|
2025.04.10
|
추천 1
|
조회 52
|
kyeongaelim | 2025.04.10 | 1 | 52 |
382 |
민주주의와 온생명 (2)
박 용국
|
2025.04.06
|
추천 1
|
조회 71
|
박 용국 | 2025.04.06 | 1 | 71 |
381 |
한강의 생명과 장회익의 생명 (2)
박 용국
|
2025.02.01
|
추천 3
|
조회 246
|
박 용국 | 2025.02.01 | 3 | 246 |
380 |
[자료] 책새벽-목-문예사1 : 선사시대 관련 책
neomay33
|
2025.01.16
|
추천 0
|
조회 190
|
neomay33 | 2025.01.16 | 0 | 190 |
379 |
[자료] 『Cosmos』 읽으면서 초반에 알아두면 도움되는 내용
neomay33
|
2025.01.09
|
추천 0
|
조회 262
|
neomay33 | 2025.01.09 | 0 | 262 |
378 |
[자료] 「Cosmos」 다큐(2014, 1980) 영상보기 링크
neomay33
|
2024.12.31
|
추천 0
|
조회 1457
|
neomay33 | 2024.12.31 | 0 | 1457 |
377 |
제주항공 7C 2216편 여객기 사고 희생자분들을 추모합니다.
neomay33
|
2024.12.31
|
추천 0
|
조회 213
|
neomay33 | 2024.12.31 | 0 | 213 |
376 |
[질문] 보람의 가치론과 실재의 질서
자연사랑
|
2024.12.13
|
추천 2
|
조회 248
|
자연사랑 | 2024.12.13 | 2 | 248 |
375 |
[알림] 책새벽-목-시즌5 : 읽을 책 설문조사 결과
neomay33
|
2024.12.13
|
추천 0
|
조회 216
|
neomay33 | 2024.12.13 | 0 | 216 |
잘 읽었습니다. 책을 읽고 되돌아보기 좋기 정리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림이 있으니, 머릿속에 내용이 더 각인되는 것 같네요. ^^
고맙습니다. ^^ 이렇게 하면 복습도 되고, 나중에 다 읽고 나서 혹시 녹색문명공부모임에서 다루게 될 때 요긴하게 쓸 수 있을 것 같아요.
저도 덕분에 잘 읽었어요. 복습, 반복학습 효과.. 승미쌤, 고맙습니다.^^
고맙습니다, 샘~!! ^^
저야말로 복습효과가 큽니다. 그림 찾아보는 재미도 쏠쏠하고요. 책 읽을 때는 붙일 이미지가 별로 없을 것 같아서 걱정이 되는데 신기하게도 뒤져보면 재밌는 그림이 몇 개는 나오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