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제자료 & 소감] 장회익 저작읽기 15회 - 『생명을 어떻게 이해할까?』 7장
녹색문명공부모임 15회 (『생명을 어떻게 이해할까?』 7장 의식과 주체) 발제자료는 아래쪽에 파일 첨부했습니다.
어제는 발제 준비하고 발표하느라 정신이 없어서 제 소감(몇 가지 안 되기는 하지만) 얘기를 잘 못했는데요. 간단히 몇 자 적어봅니다.
장회익선생님의 앎의 이론에서 저는 ‘우리’에 대한 설명이 가장 인상적이고 와닿고 실천적으로 느껴졌습니다. 반면 후반부에 나오는 확장된 인위적 자아, 인간 가족은 왠지 잘 받아들여지지 않았는데요, 이런 ‘우리’ 개념이 크게 깊이 확장되면 도달할 수 있는 좀 이상적인 개념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라는 개념은 ‘집합적 지성’과도 다른 것 같습니다. 주체’와 ‘나’가 다른 것과 유사할까요? 어떻게 설명해야할지 잘 모르겠는데요. ‘주체’는 대상이 될 수 있지만, ‘나’는 대상이 될 수 없거나 ‘주체’와는 다른 종류의 대상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나’, ‘주체’, 앎, 제1철학 등에 대한 장회익선생님의 설명이 데카르트와 상당히 비슷하다고 저는 느꼈는데요. 하지만 동시에 크게 다른 점이라고 생각했던 것은, 바로 ‘나’를 확장해서 ‘우리’에 이른다는 것입니다.
“이처럼 모든 사고는 한 주체의 주관적 영역 안에서만 이루어지지만, 세계에는 다수의 주체가 존재하므로 서로 포괄할 수 없는 다수의 사고가 있을 수 있으며, 한 주체의 사고에서 보는 다른 주체의 사고는 원칙적으로 외적 접근을 통한 사유만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한 주체는 다른 주체의 사고 상당 부분을 자신의 사고 영역 안에 포섭할 수 있다. 즉, 통신이라는 특정한 방법을 통해 … 실질적으로 자신의 사고 영역을 넓혀 나가는 것이다. … 여진히 … ‘나’라고 하는 주체를 벗어날 길은 없다. … 이를 넘어설 오직 한 가지 길이 있다면 이런 ‘나’를 확장해 더 큰 나’를 만들어가는 길이다.
… 여타의 주체를 대등한 주체, 곧 ‘너’로 인정하면고, 다시 ‘나’와 ‘너’를 결합해 더 큰 ‘나’, 곧 ‘우리’를 형성하는 일이다. … 인류 전체를 포함한 ‘우리’, 곧 ‘집합적 의미의 인간’으로의 ‘나’입니다.”
『생명을 어떻게 이해할까?』 p.234.
우리는 ‘나’라는 물리적 한계를 넘어설 수 없지만 소통을 통해 수많은 ‘너’와 교류할 수 있고 앎을 확장시켜나갈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집단적 지성이 집단이 가지고 있는 지성이라고 보통 생각하는데요. 여기서는 다르다고 저는 이해했습니다. 장회익선생님의 앎의 이론에 따르면 집단적 지성은 수많은 ‘나’들이 수많은 ‘너’와 통신하고 소통해서 만들어내는 것이지만 소유나 구현은 단일한 ‘나’에 의해 이루어질 수 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소통이 더욱 중요한 것이고요.
그리고 45억 년 전에 지구가 태어났고, 온생명이 40억 년 동안 진화해온 과정을 40억 년 동안의 '이어달리기'으로 표현하신 건 정말 재밌고 와닿아서 장회익선생님 스타일로 이미지를 만들어보았습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공지사항 |
[자료] 자연철학이야기 대담 녹취록, 세미나 녹취록, 카툰 등 링크 모음입니다.
neomay33
|
2023.10.24
|
추천 0
|
조회 3081
|
neomay33 | 2023.10.24 | 0 | 3081 |
384 |
어제 모임의 토론에 이어 (1)
박 용국
|
2025.04.11
|
추천 2
|
조회 39
|
박 용국 | 2025.04.11 | 2 | 39 |
383 |
녹색문명공부모임- 숙제 (4)
kyeongaelim
|
2025.04.10
|
추천 1
|
조회 52
|
kyeongaelim | 2025.04.10 | 1 | 52 |
382 |
민주주의와 온생명 (2)
박 용국
|
2025.04.06
|
추천 1
|
조회 71
|
박 용국 | 2025.04.06 | 1 | 71 |
381 |
한강의 생명과 장회익의 생명 (2)
박 용국
|
2025.02.01
|
추천 3
|
조회 246
|
박 용국 | 2025.02.01 | 3 | 246 |
380 |
[자료] 책새벽-목-문예사1 : 선사시대 관련 책
neomay33
|
2025.01.16
|
추천 0
|
조회 190
|
neomay33 | 2025.01.16 | 0 | 190 |
379 |
[자료] 『Cosmos』 읽으면서 초반에 알아두면 도움되는 내용
neomay33
|
2025.01.09
|
추천 0
|
조회 262
|
neomay33 | 2025.01.09 | 0 | 262 |
378 |
[자료] 「Cosmos」 다큐(2014, 1980) 영상보기 링크
neomay33
|
2024.12.31
|
추천 0
|
조회 1457
|
neomay33 | 2024.12.31 | 0 | 1457 |
377 |
제주항공 7C 2216편 여객기 사고 희생자분들을 추모합니다.
neomay33
|
2024.12.31
|
추천 0
|
조회 213
|
neomay33 | 2024.12.31 | 0 | 213 |
376 |
[질문] 보람의 가치론과 실재의 질서
자연사랑
|
2024.12.13
|
추천 2
|
조회 248
|
자연사랑 | 2024.12.13 | 2 | 248 |
375 |
[알림] 책새벽-목-시즌5 : 읽을 책 설문조사 결과
neomay33
|
2024.12.13
|
추천 0
|
조회 216
|
neomay33 | 2024.12.13 | 0 | 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