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마게스트 또는 가장 위대한 책

[알마게스트의 제목 표지. 출처: abdn.ac.uk/library]
알마게스트, 즉 '가장 위대한 책'을 쓴 프톨레마이오스(Claudius Ptolemaeus c. 100 – c. 170)는 종종 이집트의 왕족으로 오해받곤 했다. 메카도니아의 알렉산드로스 3세(흔히 영어 표현대로 알렉산더 대제라 불리는)의 친위대장 중 하였던 프톨레마이오스(Ptolemy I Soter 367 BCE - 282 BCE)가 알렉산드로스가 죽은 뒤 이집트에서 스스로 파라오가 되어 프톨레마이오스 소테르(Πτολεμαῖος Σωτήρ) 즉 '구원자 프톨레마이오스'라 불렸기 때문에, 2세기에 살았던 수학자/자연철학자가 왕족이라 잘못 생각한 사람들이 있었던 것이다.

알마게스트라는 이름은 아랍어 '알마지스티 al-majisṭī المجسطي '에서 온 것이다. 그리스어 제목은 ‘헤 마테마티케 쉰탁시스‘(Ἡ Μαθηματικὴ Σύνταξις) 즉 ’수학논고‘였지만 나중에 ’위대한 논저‘(헤 메갈레 쉰탁시스; Ἡ Μεγάλη Σύνταξις)라는 별명을 얻었고, 중세 이슬람에서는 그 책을 '가장 위대한 책(키타브 알 마자스티 Kitāb al-majast.ī)'이라 불렀다. 아랍어에서는 처음 모음이 없는 al-mjsty가 먼저 있었고 나중에 모음을 덧붙이면서 약간의 변형이 일어나서 '알 마자스티'와 함께 '알 마지스티(al-majisṭī المجسطي)'라는 이름이 함께 사용되었다. 첫 아랍어 번역은 살 이븐 비쉬르 알 타바리(Sahl ibn Bischr al-Tabari سهل بن بشر c. 786–c. 845)의 것으로 알려져 있다.
https://en.wikipedia.org/wiki/Almagest
https://en.wikipedia.org/wiki/Sahl_ibn_Bishr

[아랍어로 번역된 알마게스트의 모습. 출처: Sotheby's]
https://en.wikipedia.org/wiki/Ahmad_ibn_Muhammad_ibn_al-Sari_Ibn_al-Salah
먼저 지금은 남아 있지 않은 시리아어 번역본이 있었고, 다음으로 알마문 왕조 때 알 하산 이븐 쿠라이쉬(al-Hasan ibn Quraysh)가 아랍어로 번역한 것이 있다. 827-828 CE에 나온 것은 알 하자즈 이븐 유수프 이브 마타르(al-Ḥajjāj ibn Yūsuf)가 엘라스의 아들 세르기우스의 도움을 받아 아랍어로 번역한 것이다.
https://en.wikipedia.org/wiki/Al-Hajjaj_ibn_Yusuf
이샤크 이븐 후나인(Isḥāq ibn Ḥunayn 830–910)이 번역한 것과 이를 타비트 이븐 쿠라(Thābit ibn Qurra (836–901)가 개정한 것이 있었다.
https://en.wikipedia.org/wiki/Ishaq_ibn_Hunayn
https://en.wikipedia.org/wiki/Th%C4%81bit_ibn_Qurra
이 다섯 가지 번역본 중 알 하자즈의 판본과 후나인-타미트 판본은 지금까지 남아 있고, 1175년 경에 처음 나온 게라르두스의 라틴어 번역본은 바로 이 두 아랍어 판본을 라틴어로 번역한 것이다.

[알마게스트에서 화성의 주전원을 결정하는 과정을 발전시킨 알투시(Nasir al-Din Tusi 1201–1274)의 저술. 출처: isaw.nyu.edu/ ]
https://en.wikipedia.org/wiki/Gerard_of_Cremona
크레모나의 게라르두스(Gerardus Cremonensis)는 무엇보다도 프톨레마이오스의 그 책을 읽기 위해 톨레도로 가서 아랍어를 배웠고, 완전하지는 않았지만 1175년경에 '쉰탁시스 마테마티카 Syntaxis Mathematica'라는 제목으로 그 책의 라틴어 번역본을 출간했다. 중세 유럽의 대학에서 4과(quadrivium) 중 하나였던 천문학(astrologia)의 주된 교재는 바로 이 게라르두스의 번역이었다.

[크레모나의 게라르두스가 번역한 알마게스트의 모습. 출처: laphamsquarterly.org]
그리스어를 쓰던 비잔틴 제국에서는 그리스 자연철학, 특히 그리스 천문학에 대한 관심이 거의 없었고, 드물게 보이는 알마게스트에 대한 언급으로 보면 알마게스트를 처음부터 끝까지 읽은 사람은 전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행히 비잔틴 제국에 알마게스트의 그리스어 판본이 남아 있었고, 15세기에는 아랍어로부터가 아니라 그리스어로부터 알마게스트를 번역하려는 노력이 시작되었다.
뮐러(Johannes Müller von Königsberg 1436-1476)와 함께 <알마게스트>의 번역을 시작한 것이 1460년이다. 요하네스 뮐러는 레기오몬타누스(Regiomontanus)라는 이름으로 더 널리 알려져 있다. 포이어바흐는 교황청의 명을 따라 레기오몬타누스와 함께 <알마게스트>의 번역을 시작했지만, 이듬해 전체 13권 중 6권까지만 번역 작업을 마치고 세상을 떠났다. 레기오몬타누스가 나머지 번역을 완성하여 Epytoma in almagesti Ptolemei라는 제목으로 베네치아에서 출간한 것이 1496년이다.
영어 번역본은 조지 제이 투머(George J. Toomer)가 번역하고 주석을 달아 편집한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1983년에 초판이 나왔고 1998년에 나온 페이퍼백에서 중요한 오류를 바로잡았으며, 하버드-스미소니안 천체물리학 연구소의 천문학자이자 천문사학자인 오웬 깅거리치가 서언을 달았다.
Ptolemy's Almagest, Edited and translated by G. J. Toom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8.
https://press.princeton.edu/books/ebook/9780691213361/ptolemys-almagest

Ptolemys-Almagest-Tanslated-and-Annotated-by-G.-J.-Toomer-With-a-Forwrod-by-Owen-Gingerich.pdf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공지사항 |
[자료] 자연철학이야기 대담 녹취록, 세미나 녹취록, 카툰 등 링크 모음입니다.
neomay33
|
2023.10.24
|
추천 0
|
조회 2942
|
neomay33 | 2023.10.24 | 0 | 2942 |
381 |
한강의 생명과 장회익의 생명 (2)
박 용국
|
2025.02.01
|
추천 3
|
조회 205
|
박 용국 | 2025.02.01 | 3 | 205 |
380 |
[자료] 책새벽-목-문예사1 : 선사시대 관련 책
neomay33
|
2025.01.16
|
추천 0
|
조회 135
|
neomay33 | 2025.01.16 | 0 | 135 |
379 |
[자료] 『Cosmos』 읽으면서 초반에 알아두면 도움되는 내용
neomay33
|
2025.01.09
|
추천 0
|
조회 202
|
neomay33 | 2025.01.09 | 0 | 202 |
378 |
[자료] 「Cosmos」 다큐(2014, 1980) 영상보기 링크
neomay33
|
2024.12.31
|
추천 0
|
조회 879
|
neomay33 | 2024.12.31 | 0 | 879 |
377 |
제주항공 7C 2216편 여객기 사고 희생자분들을 추모합니다.
neomay33
|
2024.12.31
|
추천 0
|
조회 169
|
neomay33 | 2024.12.31 | 0 | 169 |
376 |
[질문] 보람의 가치론과 실재의 질서
자연사랑
|
2024.12.13
|
추천 2
|
조회 196
|
자연사랑 | 2024.12.13 | 2 | 196 |
375 |
[알림] 책새벽-목-시즌5 : 읽을 책 설문조사 결과
neomay33
|
2024.12.13
|
추천 0
|
조회 167
|
neomay33 | 2024.12.13 | 0 | 167 |
374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자료 모음 - 캐릭터, 프랑스어 낭독 유튜브 등 (1)
neomay33
|
2024.12.11
|
추천 0
|
조회 194
|
neomay33 | 2024.12.11 | 0 | 194 |
373 |
[책꼽문] 책새벽-화/금. 『세계철학사 3』 6장. 기학의 표현주의
neomay33
|
2024.12.09
|
추천 0
|
조회 179
|
neomay33 | 2024.12.09 | 0 | 179 |
372 |
[책꼽문] 책새벽-화/금. 『세계철학사 3』 5장. 표현주의의 두 길.
neomay33
|
2024.11.28
|
추천 0
|
조회 187
|
neomay33 | 2024.11.28 | 0 | 187 |
지난 책밤 모임에서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가 13권(libro)으로 되어 있지만, 그 '권'이 실상은 그리 많은 분량은 아닐 거라는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옛날 책들은 코덱스로 되어 있어서 두루마리 같은 형태이기 때문에 글자가 많이 들어가지 않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런데 저는 알마게스트의 분량이 꽤 방대하다는 의견을 말씀드렸습니다. 하지만 그 말씀은 제 기억에 따른 것이라 잘못된 것일 수도 있어서 다시 찾아보고 몇 자 적어 보았습니다.
archive.org에 있는 Claudii Ptolemaei Opera quae exstant omnia를 확인해 보니까 1권부터 6권까지로 구성된 1부가 560족이고 7권부터 13권까지로 구성된 2부가 650쪽 정도입니다. 합하면 1200쪽 정도가 됩니다. 덴마크의 문헌학자이자 역사학자인 요한 루드빅 하이베르(Johan Ludwig Heiberg)가 편집한 것인데, 그리스어로 쓰여 있습니다.
그리스어 필사본을 독일 뮌헨에 있는 바이에른 국립도서관(Bayerische Staatsbibliothek) 전자도서관에서 구경할 수 있습니다.
Ptolemaeus, Claudius: Syntaxis mathematica
1983년에 초판이 나온 영어번역판은 710쪽 정도 분량입니다. 물론 여기에는 참고자료라든가 여러 가지 부록 등도 들어있긴 하지만, 원문 자체가 방대하다고 말해도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