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메뉴
  • 환경
    • 환경 뉴스
    • 환경 칼럼
  • 에너지전환
    • 에너지전환 뉴스
    • 에너지전환 칼럼
  • 과학·학술
    • 과학·학술 뉴스
    • 과학·학술 칼럼
    • 지속가능성 개념어 사전
  • 장회익의 자연철학
    • 자연철학 이야기 대담
    • 책
    • 논문
    • 칼럼, 강의, 강연
  • 공부모임
    • 녹색문명공부모임
    • 새 자연철학 세미나
  • 게시판
    • 새 자연철학세미나 게시판
    • 녹색문명공부모임 게시판
    • 녹색 책/영화클럽 게시판
    • 뉴스레터
  • 일정
  • Log In
    • Register
  • 검색
  • 환경
    • 환경 뉴스
    • 환경 칼럼
  • 에너지전환
    • 에너지전환 뉴스
    • 에너지전환 칼럼
  • 과학·학술
    • 과학·학술 뉴스
    • 과학·학술 칼럼
    • 지속가능성 개념어 사전
  • 장회익의 자연철학
    • 자연철학 이야기 대담
    • 책
    • 논문
    • 칼럼, 강의, 강연
  • 공부모임
    • 녹색문명공부모임
    • 새 자연철학 세미나
  • 게시판
    • 새 자연철학세미나 게시판
    • 녹색문명공부모임 게시판
    • 녹색 책/영화클럽 게시판
    • 뉴스레터
  • 일정
  • Log In
    • Register

녹색아카데미

더 나은 앎으로 푸른 미래를 가꾸는 사람들의 공부모임

녹색문명공부모임

[책새벽-화. 발췌] 저주받은 원자 : 5장. 영역 다툼과 녹색혁명 (pp.209-243)

모임 정리
책새벽-화
작성자
neomay33
작성일
2023-02-13 14:26
조회
1229
[책새벽-화. 발췌] 저주받은 원자 : 5장. 영역 다툼과 녹색혁명
.
『저주받은 원자』. 제이콥 햄블린 지음, 2021. 우동현 옮김, 2022. 너머북스. 5장. pp.209-243.
.
녹색아카데미에서는 매주 화요일 아침 6-7시에 온라인 책읽기 모임 '책새벽-화'를 합니다. 현재 제이콥 햄블린의 『저주받은 원자』를 읽고 있습니다. 모임에서 읽은 내용 중 핵심적이라고 생각하는 부분을 챕터별로 발췌해서 옮기고 있습니다.
.
책새벽-화 : 『저주받은 원자』 챕터별 발췌글 모두 읽기 (링크)
.
✻ 추가하고 싶은 책꼽문, 질문이나 토론거리, 함께 보면 좋을 자료들이 있으시면 부담없이 공유해주세요. 
.

목차
.
서론
제1부. 원자력의 약속
1장. 가지지 못한 자들
2장. 천 년을 일 년으로
제2부. 원자력의 선전
3장. 과거의 나쁜 꿈 잊기
4장. 유색 원자와 백색 원자
5장. 영역 다툼과 녹색혁명
3부. 원자력의 금지
6장. 물, 피 그리고 핵무기 보유국 집단
7장. 원자력 모스크와 기념비
8장. 불신의 시대
결론. 풍요라는 환상
.

.
  제2부. 원자력의 선전  
.
  5장. 영역 다툼과 녹색혁명 
.
p.210.  IAEA(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의 비정치적 신분이라는 허구의 이면에는 엄청난 규모의 정치적 책략이 있었다. ... 이 기구는 평화적 핵기술에 대한 긍정적 수사를 지구적 규모로 시행하는 하나의 수단 ... 
.
p.211.  1960년대 초 IAEA는 ... WHO와 FAO에 대항해 영역 다툼을 벌였다. ... IAEA는 원자력의 환경적, 공중보건적 측면에서 권위 있는 목소리를 내는 WHO를 점차 밀어내려 (했고) ... 자기네 식량, 곡물 조사, 해충 구제, 변이식물 육종 관련 프로젝트들의 정당성을 의심하는 FAO 비평가들의 허를 찌르고자 노력.
.
p.211-212.  IAEA는 1953년 아이젠하워가 제안한 '핵분열 물질의 은행'이 된 적이 결코 없었다. ... 그 대신 IAEA는 정부들 사이에서 거간꾼 역할 ... 우라늄 은행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튼튼한 재정 지원을 받는 이 신규 기구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또는 회원국들이 어떻게 협력해야 하는지는 불분명했다.
.
p.212-213.  초강대국들 간의 냉전적 긴장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소련은 원자의 풍요로운 약속에 전념한다는 측면에서는 동맹. ... IAEA를 둘러싼 신랄한 분류 중 일부는 지정학적 경재자들 사이가 아니라 IAEA와 다른 국제기구들 사이에서 벌어졌다.
.
p.223-214.  WHO는 광범위한 환경적 영향을 평가하는 위치에 스스로를 자리매김. WHO의 영역은 "대기, 토양, 수질 오염 문제, 공중보건상 관점에서 본 폐기물 문제, 결과적으로 핵시설의 위치와 관련된 문제들을 포함한다."
.
p.214.  "방사성 원소들에 의한 장기적 오염은 반전될 수 없는 축적 과정이다. ... 우리 세대의 경솔한 행동은 우리 스스로뿐 아니라 대기와 토양에서 독을 없앨 아무런 수단을 가지지 못할 미래 세대도 위험에 빠지게 할 것이다. 따라서 인류의 미래를 위태롭게 할 그런 위험이 존재한다면 너무 적은 신중함보다 아주 많은 신중함이 옹호되어야 한다." - 프랑스 빌쥐프대학의 저명한 의학물리학 교수 마우리스 투비아나(Maurice Tubiaana. 1920-2013)
.
p.215.  IAEA는 즉각 WHO의 영향력에 대항했다. ... 공중보건 사안에 친핵 목소리를 주장하는 방식에 관해 조언하는 위원회를 창설 ... 
.
p.216.  WHO 방사선, 동위원소 분야 선임 의무관 로리 돕슨(R. Lowry Dobson)은 ... 스웨덴 과학자 보 린델(Bo Lindell)과 WHO의 방사선 영향 관련 연구를 공저했고, 1961년에는 『전리 방사선과 보건』(Ionizing Radiation and Health-pdf. 출처 : WHO)이라는 책을 펴냈다. 
.
"WHO가 "방사선 방호를 포함해 방사선 보건이라는 광범한 분야에 분명한 책임이 있다." - 돕슨 & 린델.
p.217-218.  1961년 9월과 10월에 열린 IAEA 제5차 연례총회에서 바실리 에멜랴노프(소비에트 대표)는 미국이 다수 지분을 갖춘 기업으로 IAEA를 대우해서는 안 된다고 불평. ... 1961년 콜(Sterling Cole)의 (초대)사무총장 임기가 끝났을 때 ... 미국은(당시 캐네디 대통령) 스웨덴 과학자 시그바르드 에클룬드를 정치적으로 지지. ... 에클룬드는 WHO 같은 다른 조직들이 IAEA의 의견을 따라야 한다고 믿었다.
.
p.218-219.  IAEA는 ... WHO의 책임 영역에서 방사선 방호, 방사선 의학을 빼앗아오기를 희망 ... 자기네가 훨씬 더 많은 자원을 쏟았고 ... 더 많은 전문가를 기용했다고 주장. IAEA는 주로 핵무기 보유국들이 지원하는 엄청난 예산 때문에 WHO를 노력하게 압도.
.
p.219.  IAEA는 ... 세계 도처에서, 특히 이른바 개발도상국들에서 엄청난 숫자의 행사와 프로젝트를 시행. 이 중 일부는 1960년대 멕시코를 순회한 이동식 방사성 동위원소 실험실처럼 훈련에 집중되었다.
.
IAEA 프로젝트 가운데 대다수는 농업 생산성 향상과 주요 질병과의 싸움 ... 따라서 FAO와 충돌. IAEA는 쌀, 밀 변이 연구, 질병 매개 해충 불임화, 식량 곡물 조사(照射; irradiation) ... 
.
p.220.  "... 다수는 원자 방사선이 해충을 통제하기 위해 거의 모든 상황에서 쓰일 수 있는 일종의 마법적 도구라고 생각한다. ... 이는 사실이 아니며 우리는 역량 있는 과학자들이 수컷 불임화 기술에 무수한 한계가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으로 희망한다." - 미국 농무부 아서 린퀴스트. 1959.
.
p.221.  비슷하게, (방사선 피폭으로 돌연변이를 만드는 방식을 이용한) 변이식물 육종은 결코 새로운 곡물 품종을 찾는 유망한 방안으로 인식되지 않았다.
.
케임브리지의 식물 육종가 조지 벨은 IAEA의 작업에 긍정적이고자 노력했으나, 변이식물 육종이 경제적으로 합당하다고 암시하는 어떠한 긍정적 증거도 없다고 단호히 썼다.
.
p.221-222.  심지어 브룩헤이븐국립연구소 과학자들도 경제적으로 중요한 농업 연구에서 감마 정원(atomic gardening)의 유용성을 무시.
.
AMWts8BPUinkqLXwIS_MnO-MRISBbmmrkaVtztuMSxXMs8__nAj2kw_Ij79WHJ23d8lb6CWoDKXJmm_it7Im4VJSDLKsrgfFVbQy8EiHCAGs2yG4ASSZWss01xxTOwywkRSVKPybpBb4vx0c6SUNqnaEnr4vsw=w574-h404-s-no?authuser=0
[그림 1] 감마 정원의 구조. (출처 : Atomic Gardens: An online history)
.
p.222.  회의론이 만연했지만 IAEA 관리들은 기꺼이 원자에서 기회를 볼 용의가 있는 과학자들을 지원하는 전략을 개발.
.
아이슬란드 식물학자 비요른 시구르비요른슨은 IAEA에서 '국제돌연변이그룹(International Mutation Group)을 만들어 식물 육종에서 유발된 변이를 생산, 사용하는 수단을 쓰는 이라면 누구라도 포함시켰다.
.
*Joint FAO/IAEA Programme : Nuclear Techniques in Food and Agriculture. 이 사이트를 보니 지금은 두 조직이 함께 일하고 있나봅니다.

.
2023년 2월 20일 추가한 부분.
.
p.224.  IAEA(국제 원자력 기구; IAEA)는 FAO(유엔식량농업기구)와 함께 (방사선을 이용한) 듀럼밀 이종들을 중동의 여러 나라에 심는 연구 프로젝트를 후원했다. ... IAEA가 이종들을 성공적으로 보았음에도 지역민들의 이해 관계나 농업적 실천에 항상 부합하지는 않았다.
.
p.225.  식물학자 로널드 실로(Ronald Alfred Silow)는 듀럼밀 실험 관련 IAEA 공식 보고서가 ... 부정확하게 언급했음을 지적. "보고는 그러한 실험들에서 ... 얻을 수 있는 과학적 증거에 틀림없이 반하므로 삭제되어야 합니다. 그 보고 때문에 회원국 정부들은 방사선 유발 변이가 이미 넓은 지역에서 농부들이 재배할 수 있는 다른 품종들에 비해 나은 소맥 품종을 제공했다는 잘못된 결론으로 인도되고 있습니다." - 실로
.
두 기구는 영역 싸움을 막기 위해 1964년 FAO/IAEA 공동원자력농업부서를 설립, 실로는 이에 합류했다.
.
AMWts8CvQrXY86eDH6hHgZ8yv5YEu3e0TMhZ2wQDtyDUvymFkmOx4gMq_ChdPawithWXwrleWSJl9YtvVlMDGfSJnQgJoNMeUht8DeZcoN-pe8i7H7WeiPW3HEm_Zt1CXpm0ZCR5f3MlbUPXsFm0E_cHJR_yHw=w1542-h1566-s-no?authuser=0
.
[그림 2] FAO/IAEA 공동 식량 및 농업 원자력기술 센터. 웹사이트 화면 갈무리. (출처 : IAEA)
.
.
p.226.  IAEA 관리들은 FAO가 제기하는 어떠한 원자력 관련 회의론도 회피하면서 원자력이 풍부한 기술의 산물이라는 서사를 고수. 실로는 IAEA가 거이 홍보기구나 다름없다고 보았다.
.
p.226-227.  (실로는 산업화된 나라들에서 타당성이 증명되기 전까지 가난한 나라들에서 원자력 기술들을 채택하지 않도록 FAO에 요청했으나, IAEA/FAO 공동부서는 정반대로 수행, 개발도상 세계를 하나의 실험구역으로 이용했다.)
.
p.229.  1967년 4월, 실로는 자기 생각을 공개하려고 시도하면서 IAEA 총회에서 보고서를 발표하길 원했다. 보고서에서 실로의 전략은 미국내 전문가들, 특히 대통령과학자문위원회*(PSAC)가 내린 조사 식품에 대한 반대를 개괄하는 것이었다.
*미국 대통령과학자문위원회(PSAC) : 1957년 설립, 1973년 닉슨 대통령이 폐지. 이후 1990년 조지 H. W. 부시가 대통령과학기술자문위원회(PCASC)라는 이름으로 새로 설립하여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다.
.
p.231.  결국 실로의 문서는 IAEA, FAO 양자에 제압되었고 결코 세상의 빛을 볼 수 없었다.
.
p.232.  1968년 봄까지 IAEA는 자기네 농업 사업으로 매체들의 헤드라인을 장식하려고 했는데, 이는 이른바 녹색혁명 안에서 역할을 주장하기 위해서였다. 녹색혁명(Green Revolution)은 미국 국제개발청 수장 윌리엄 가우드(William S. Gaud)가 ... 쓴 용어로, 그에게는 화학비료, 살충제, 관개, 개선된 씨앗의 집중적 사용을 의미.
.
p.233.  IAEA 관리들은 변이식물 육종에서 성공담을 다시 찾는 방식으로 원자력과 녹색혁명을 결부하려고 했다. 무척 유망한 연구 계획 중 하나는 인도의 만콤부 스와미나탄(M. S. Swaminathan. 1925-)이 지휘. 
.
p.234.  인도 정부는 (스와미나탄의 감독 아래 인도농업연구소에서) 멕시코 소재 국제옥수수밀개량연구소가 개발한 가장 유망하고 새로운 소맥 품종인 '소노라-64'(Sonora-64)를 들여온 뒤 감마선으로 조사했다. ... 이 밀은 식물성 단백질보다 동물성 단백질이 많은 필수 아미노산인 리신을 많이 함유한 것처럼 보였다.
.
p.234-235.  연구자 로버트 화이트는 ... 인도가 늘어난 리신 함량을 강조하지만 이것이 곡물 내 다른 필수 아미노산의 균형을 어지럽힐 수도 있다고 지적.
.
p.236-237.  단백질 관련 주장들은 뒤이은 기간에 상당한 논란거리로 거듭났다. ... 1972년, 그를 위해 일한 인도인 과학자 비노드 샤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그는 스와미나탄에게 남긴 쪽지에서 "당신이 생각하는 바에 맞추려고 수많은 비과학적 데이터가 수집되어 당신에게 전해졌다"라고 고백했다.
.
p.240.  1972년 정년퇴임한 실로는 ... 1973년 (FAO가 가짜과학을 연구하는 사기를 벌여왔다고 밝히기 위해) 영국 BBC 특파원에게 연락했다. 인도 정부가 스와미나탄을 수사하기 시작했다는 뉴스가 나간 뒤 같은 이야기를 전하기 위해 『뉴사이언티스트』 기자와도 작업.
.
p.240-241.  그러나 스와미나탄의 명성은 그대로. 그는 국제쌀연구소 소장이 되었고, 이후 인도 정계에 진출했고, 2009년 『사이언스』와 한 회고적 면담에서 스스로 '녹색혁명의 구루'라고 칭했다.
.
p.241-242.  1970년대 초 IAEA는 인구압과 식량 공급에 관한 맬서스주의적 수사와 FAO 및 다른 기구들의 개발주의적 기풍을 혼합하는 데 익숙해졌다.
.
p.243.  1960년대 말과 1970년대 초, 국제 환경은 IAEA에 영구적 존재 이유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변하는 중이었고, 핵무기 보유국들에 이 기구의 작업을 지지할 다른 유인을 제공했다. ... 핵무기 확산을 제한할 조약을 추구 ... 치안,유지, 감시 역할 ... 민간적 차원(물, 에너지 안보, 천연자원 부족, 기근, 질병을 강조하는 수사)을 강화.
.
(5장 발췌 끝.)
전체 1

  • neomay33 neomay33
    2023-02-20 13:23

    책새벽-화, 『저주받은 원자』 5장 발췌 업데이트(pp.224-243)했습니다. 5장 발췌 끝.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 [책새벽-화. 발췌] 저주받은 원자 : 4장. 유색 원자와 백색 원자 (진도에 맞춰 발췌 업데이트 중)
[책새벽-화. 발췌] 저주받은 원자 : 6장. 물, 피 그리고 핵무기 보유국 집단. pp.265-303. »
목록보기
전체 405
  • 전체
  • 자료
  • 질문 및 토론
  • 모임 정리
  • 공지사항
  • 전체
  • 녹색문명공부모임
  • 책새벽
  • 책밤
  • 책새벽-화
  • 책새벽-수2
  • 책새벽-목
  • 책새벽-금
  • 문학
  • 기타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4
[알림] '책새벽-화-과학' : 온도계의 철학 시작합니다.(6/24~)
눈사람 | 2025.06.03 | 추천 0 | 조회 67
눈사람 2025.06.03 0 67
13
루소의 『사회계약론』은 너무 비현실적인가?(추가) (3)
Stella | 2023.07.25 | 추천 3 | 조회 1074
Stella 2023.07.25 3 1074
12
세상에 불을 지르러 온 루소의 <사회계약론> (2)
Stella | 2023.06.20 | 추천 1 | 조회 905
Stella 2023.06.20 1 905
11
[책새벽-화-시즌1. 발췌] 『조국의 법고전 산책』 1장 (pp.4~59) (2)
neomay33 | 2023.05.09 | 추천 1 | 조회 1505
neomay33 2023.05.09 1 1505
Re: [책새벽-화-시즌1. 발췌] 『조국의 법고전 산책』 1장 (『최후의 전환』 참고자료)
neomay33 | 2023.05.09 | 추천 0 | 조회 995
neomay33 2023.05.09 0 995
10
[공지] 책새벽 - 화 : 법고전 읽기. 시즌1 시작합니다.
neomay33 | 2023.04.18 | 추천 1 | 조회 1086
neomay33 2023.04.18 1 1086
9
[책새벽-화. 발췌] 저주받은 원자 : 8장. 불신의 시대 & 결론. pp.349-410. (2)
neomay33 | 2023.03.27 | 추천 0 | 조회 1330
neomay33 2023.03.27 0 1330
8
[책새벽-화. 발췌] 저주받은 원자 : 7장. 원자력 모스크와 기념비 pp.304-348. (1)
neomay33 | 2023.03.13 | 추천 0 | 조회 1203
neomay33 2023.03.13 0 1203
7
[책새벽-화. 발췌] 저주받은 원자 : 6장. 물, 피 그리고 핵무기 보유국 집단. pp.265-303. (1)
neomay33 | 2023.02.27 | 추천 0 | 조회 1248
neomay33 2023.02.27 0 1248
6
[책새벽-화. 발췌] 저주받은 원자 : 5장. 영역 다툼과 녹색혁명 (pp.209-243) (1)
neomay33 | 2023.02.13 | 추천 0 | 조회 1229
neomay33 2023.02.13 0 1229
5
[책새벽-화. 발췌] 저주받은 원자 : 4장. 유색 원자와 백색 원자 (진도에 맞춰 발췌 업데이트 중) (1)
neomay33 | 2023.01.27 | 추천 1 | 조회 1189
neomay33 2023.01.27 1 1189
  • 1
  • 2
  • »
  • 마지막
Powered by KBoard

게시판 글

최신글 내가 쓴 글
[자료] 핼리 혜성, 3차원, 예측적 앎 (1)
2025.06.09
[자료] 예측적 앎으로서의 고전역학 (2)
2025.06.08
[자료] 고전역학이라는 용어
2025.06.08
[자료] 3차원 vs. 2+1차원; 낙하운동의 서술
2025.06.03
[알림] 6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생태위기 시대의 사유방식 : 장회익의 온생명론과 라투르의 가이아 2.0
2025.06.03
로그인 해주세요.

게시판 댓글

최신댓글 내가 쓴 댓글
삼각함수의 미분을 더 쉽게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영상이 https://youtu.be/ S0_qX4VJhMQ?t=757 에 있습니다.
2025.06.16
케플러의 법칙([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 75쪽)에 대한 더 상세한 이야기가 "케플러의 법칙과 뉴턴의 증명"에 있습니다. 또 같은 페이지에 케플러의 법칙을 고전역학에서 유도하는 과정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한 내용을 "케플러 문제의 간단한 풀이"에 상세하게 해설해 두었습니다. 약간 성격이 다르긴 하지만, 미국의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의 1964년 강의가 연관됩니다. 그 내용을 "태양 주변의 행성의 운동 (리처드 파인만의 강의)"에서 소개했습니다.
2025.06.16
'낙하의 문제'([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 62-64쪽)와 관련하여 이전에 쓴 글 "천원지방, 갈릴레오, 뉴턴, 여헌 장현광"이 참고가 될 수 있겠습니다. 특히 70쪽에 소개 되어 있는, 물체를 수평으로 던질 때 그리는 궤적을 구하는 문제는 갈릴레오가 1638년의 저서 [새로운 두 과학](Discorsi e dimostrazioni matematiche intorno a due nuove scienze)에서 처음으로 상세하게 해명하여 과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성취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Two_New_Sciences
2025.06.15
우와! 자세한 자료, 설명들 감사드립니다! 열심히 읽어보겠습니다.
2025.06.09
1. 변별체의 존재 양상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공부할 거리가 많은 것 같습니다. 어쩌면 제가 바로 위의 답글에 쓴 물의 온도를 재는 상황이 도움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 저는 장회익 선생님의 '변별체' 개념이 물리학에서 말하는 측정장치 개념에서 군더더기를 걷어내고 가장 핵심적인 부분을 요약하여 추상화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직관적으로는 모종의 측정장치를 염두에 두면 이해가 더 쉬웠던 것 같습니다. 입자물리학에서는 매우 다양한 측정장치 또는 검출장치를 사용합니다. 장회익 선생님께서 세미나에서 인용하신 안개상자(cloud chamber)나 거품상자(bubble chamber)가 전형적인 예입니다. 겹실틈 실험에서 사용하는 사진건판도 변별체입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Cloud_chamber https://en.wikipedia.org/wiki/Bubble_chamber 하지만 변별체가 측정장치/검출장치와 동의어는 아닙니다. 변별체는 물리적 작용을 통해 뭔가 흔적을 남길 수 있어야 하지만, 또 동시에 그것을 읽어내서 인식주체의 경험표상영역에 기록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변별체는 대상과 인식주체 사이에 놓인 가교 내지 창문의 역할을 합니다. (제가 장회익 선생님의 제안을 온전히 이해하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아래 사진은 거품상자에서 기본입자가 만들어내는 궤적을 사진으로 찍은 것입니다. [사진 출처: pinterest]
2025.06.03
로그인 해주세요.

Upcoming Events

6월 17
9:00 오후 - 10:00 오후 KST

책밤-화-과학 : 칼 포퍼 『추측과 논박 1』 – 18회

6월 18
6:00 오전 - 7:00 오전 KST

책새벽 – 수 : 칼 세이건 『Cosmos』 – 23회

6월 19
6:00 오전 - 7:00 오전 KST

책새벽 – 목 :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 2. 르네상스, 매너리즘, 바로끄』 4회

6월 20
6:00 오전 - 7:00 오전 KST

책새벽 – 화/금 : 『세계철학사 4 – 탈근대 사유의 지평들』 17회

6월 23
6:00 오전 - 7:00 오전 KST

책새벽 – 월. 시즌6 : 『침묵의 봄』 9회

달력보기

카테고리

녹색아카데미 페이스북 공개그룹

녹색아카데미 페이스북 공개그룹

Copyright © 2025 녹색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

Codilight 테마 제작자 FameThe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