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메뉴
  • 환경
    • 환경 뉴스
    • 환경 칼럼
  • 에너지전환
    • 에너지전환 뉴스
    • 에너지전환 칼럼
  • 과학·학술
    • 과학·학술 뉴스
    • 과학·학술 칼럼
    • 지속가능성 개념어 사전
  • 장회익의 자연철학
    • 자연철학 이야기 대담
    • 책
    • 논문
    • 칼럼, 강의, 강연
  • 공부모임
    • 녹색문명공부모임
    • 새 자연철학 세미나
  • 게시판
    • 새 자연철학세미나 게시판
    • 녹색문명공부모임 게시판
    • 녹색 책/영화클럽 게시판
    • 뉴스레터
  • 일정
  • Log In
    • Register
  • 검색
  • 환경
    • 환경 뉴스
    • 환경 칼럼
  • 에너지전환
    • 에너지전환 뉴스
    • 에너지전환 칼럼
  • 과학·학술
    • 과학·학술 뉴스
    • 과학·학술 칼럼
    • 지속가능성 개념어 사전
  • 장회익의 자연철학
    • 자연철학 이야기 대담
    • 책
    • 논문
    • 칼럼, 강의, 강연
  • 공부모임
    • 녹색문명공부모임
    • 새 자연철학 세미나
  • 게시판
    • 새 자연철학세미나 게시판
    • 녹색문명공부모임 게시판
    • 녹색 책/영화클럽 게시판
    • 뉴스레터
  • 일정
  • Log In
    • Register

녹색아카데미

더 나은 앎으로 푸른 미래를 가꾸는 사람들의 공부모임

녹색문명공부모임

[책새벽-수. 자료]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1권 (1부 1장)

자료
문학
작성자
neomay33
작성일
2023-03-22 11:41
조회
1720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 – 스완네 집 쪽으로 1 (1부 1장)

발췌글과 등장하는 그림 등 자료 모음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 - 스완네 집 쪽으로 1』에서 챙겨놓고 싶은 글귀, 그림자료 등을 찾아보았습니다. 등장하는 작가들까지는 못 찾아봤는데요. 작가들에 대해서는 『프루스트가 사랑한 작가들』(유예진, 현암사)를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
아래 글에서 인용한 글은 김희영 번역으로 2012년에 나온 민음사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 - 스완네 집 쪽으로 1』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

마술 환등기에 나오는 중세 전설의 주인공 주느비에브 드 브라방 (p.26)

AMWts8CWUQTivCtnR-SdN5O9zaCW3Ocak_3aiz73CxMV2ntLes8FE0oK0IBz9XJ0r7IbOJGouCmXqMJWUz1qHeFiHI5RNDJZjGdJzP84NLB1ZRm8mskjAxcFmdbgMIGT7X8zCxFnHGg6NctS1tdPRamQ9_iC7Q=w960-h1148-s-no?authuser=0
[그림 1] 숲으로 쫓겨나 혼자 아이를 키우는 주느비에브. (출처 : wikipedia)
.

스완(Swann)

"우리 친구를 감싼 이 육체라는 봉투는 그의 부모님에 관한 추억들로 꽉 차 있었기 때문에, 그런 스완만이 내게는 완전하고 살아 있는 존재였다. 그리하여 훗날 내가 비로소 정확히 알게 된 스완으로부터 이 최초의 스완에게로 기억을 더듬어 갈 때에는 어쩐지 한 사람과 헤어져 다른 사람에게로 가는 듯한 느낌이었다."(p.44)
.
AMWts8DqjtDRBHg5UX0A0EuLPr0uNwMEoWxB8CIftZJxIF4-dPy-OnXl9mbEhrFNSwNJCa72IFM2AjoI6rkrudDbBeVLj6yZHil6n1RQ02-v5LXoB1Y4sxxLa0obzhiQqLefQKYDrE6G0ivzQrNUKFnryywEEw=w450-h600-s-no?authuser=0
[그림 2] 샤를 아스(Charles Haas. 1832-1902). 프루스트가 스완의 모델로 삼은 사람들 중 한 사람. (출처 : wikipedia)

샤르트르 대성당, 생클루 분수, 베수비오 화산

"할머니는 ... 그리하여 궁여지책으로, 상업적인 저속함을 완전히 없애지는 못하지만 적어도 다소나마 저속함을 줄이면서 그 상당 부분을 예술적인 것으로 대체하고, 예술의 여러 '두께'를 입히려고 하셨다. 그래서 샤르트르 대성당이나 생클루 분수, 베수비오 화산을 찍은 사진 대신, 혹시 어떤 위대한 화가가 그린 것이 없는지 스완씨에게 알아본 다음, 차라리 코로가 그린 「샤르트르 대성당」이나 위베르 로베르가 그린 「생클루 분수」, 터너가 그린 「베수비오 화산」을 찍은 사진을 내게 주는 편을 더 좋아하셨다."(p.78)
.
AMWts8AfHkrpld1ml2FtODm1zcWjaWhQovY0WZg6LoUs2G_p-mvPOxQjG13KBEyQnlr50dRFnQoquqTcAyG_TpUKmVY8FVz5Mx9YlknO8j_4xnMNV_JLiTMIOWykIkoYfAiCimHU37rrC-X-XgmFEMLRPZ4jlQ=w960-h1210-s-no?authuser=0
[그림 3] 샤르트르 대성당. 장 밥티스트 카미유 코로. 1830. (출처 : wikipedia)
.
.
AMWts8BnzkYa7mg8QutRaB0_701fDw6ZhtkcnxnqQNzLTrrvSSeFQ-AmVQlcJ7GCtzYOfH2SUN099aCdRVwKImSVTKj9KSme9U5CfJStvJFsEgIwM8gQsjiqeqWsYm4UJRZojRb_Mo9cDVFRRtrb7AEVpphsng=w960-h1288-s-no?authuser=0
[그림 4] 생클루 분수. 위베르 로베르. 1790-1800. (출처 : Utpictural18)
.
.
AMWts8D5Y1McWX961CpJWLnV3B1iLsiNrXknbfxH2CgfsnFkyp2RVQKYcmF_zSr-26nF9vF5XmhPJOYERz703eepSAhttux59rmDlGctAESHLGSstTO6WwRfxqHy47q3Z2ygRzaJP2_WGX1P1UB1X0VvZX-YAA=w960-h692-s-no?authuser=0
[그림 5] 베수비오 화산. J. M. W. 터너. 1817-20. (출처 : Yale center for British art)
.

.

라파엘로 모르겐의 판화 "최후의 만찬"

"그래서 할머니는 스완에게 혹시 그런 작품을 판화로 제작한 것이 없는지 물어보셨고, 그것도 될 수 있는 한 옛 판화가 더 좋으며, 판화 자체를 초월하는 어떤 것, 예를 들면 오늘날에는 찾아볼 수 없는 상태에서 걸작을 재현한 판화라면 더 좋다고 말씀하셨다.(이를 테면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이 훼손되기 전에 모르겐이 제작한 판화 같은 것.)" (p.79)

.
AMWts8BURNZ2ny9XIZfBAs_1yfizPbRYYtDv5kez1bKPsMzseb5MWjXkWeGtIvJFpMqOR5luZO9DwC3NH26kAlF7_gy9hHBrQV26vs2YWwA_B77WQObinIhoioHaW5LIJ3sJpIQBBQnCa2Ahu39R2bfV3yXErQ=w960-h534-s-no?authuser=0
[그림 6] 라파엘로 모르겐의 「최후의 만찬」. 피렌체 화가. 밀라노 수도원에 그려진 벽화가 훼손되는 것을 우려하여 판화로 남겼다. (출처 : The MET)
.

"우리 과거도 마찬가지다."

"지나가 버린 과거를 되살리려는 노력은 헛된 일이며, 모든 지성의 노력도 불필요하다. 과거는 우리 지성의 영역 밖에, 그 힘이 미치지 않는 곳에, 우리가 전혀 생각도 해 보지 못한 어떤 물질적 대상 안에 (또는 그 대상이 우리에게 주는 감각 안에) 숨어 있다. 이러한 대상을 우리가 죽기 전에 만나거나 만나지 못하는 것은 순전히 우연에 달렸다."(p.85)

Il en est ainsi de notre passé.
C’est peine perdue que nous cherchions à l’évoquer, tous les efforts de notre intelligence sont inutiles. Il est caché hors de son domaine et de sa portée, en quelque objet matériel (en la sensation que nous donnerait cet objet matériel), que nous ne soupçonnons pas. Cet objet, il dépend du hasard que nous le rencontrions avant de mourir, ou que nous ne le rencontrions pas.
.
AMWts8AUxRA3sg5t8U3K7xQ62dlgNtuPG3m9DRIab84BeWpJYWYfEJZGHzIjxGU4UWZvi4h8lmQGTFXHVBF5ont4lB8fVig1LQLMcUU6SHboegqygjcjxfTmuFQ34RTGwLZti_MP6R7d4RXCE5ka05WJu3cXQA=w879-h860-s-no?authuser=0
[그림 7] 베르그송 『물질과 기억』 중에서.(출처 : 김*미님 제공)
.

.

"정신이 진실을 발견해야 한다."

"그러나 어떻게? 매번 정신은 스스로를 넘어서는 어떤 문제에 직면할 때마다 심각한 불안감을 느낀다. 정신이라는 탐색자는 자기 지식이 아무 소용없는 어두운 고장에서 찾아야만 한다. 찾는다고? 그뿐만이 아니다. 창조해야 한다. 정신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 어떤 것, 오로지 정신만이 실현할 수 있고, 그리하여 자신의 빛 속으로 들어오게 할 수 있는, 그 어떤 것과 마주하고 있다." (p.87)

.


.

프루스트 자료 모음 링크

  • https://www.proust-ink.com

등장 인물

AMWts8C9OngDK5WlwnppYyQcq7P2ezNF7xBag7LeEJUvNxPf8qEXewRdlhPMWaPvHVMr253pyFkDPYqQjpKRPsJ1ZzfBB_PfQPdFYHyVPcFOJcKX0uNq1uPsHt1e4vGUgaMzUsmiDBsRXEybPSXceB40FxYlrQ=w1508-h1858-s-no?authuser=0

AMWts8BViASkbmTpGpFgDjtRWUkTf8FrBe4oJsB8XZwiPQjSwAC6tbdIxSq--oZUGzepAC_Xqhbb6jz9V1cMewcWzZnqlQHnWMHaajPgkNsqbw0c7T4TgcYQOShKsK_L9bDSnysgzTeY6oXcwhLUe98N_jUwPw=w1426-h1846-s-no?authuser=0
[그림 8]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등장인물. (출처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합본1-그래픽 노블). aladin.co.kr 미리보기에서 이미지 갈무리)
전체 0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 [자료] 프루스트 입문서 혹은 참고서
올리버 색스가 말하는 베르그손의 의도적 시간(intentional time) 소개 및 질문 »
목록보기
전체 405
  • 전체
  • 자료
  • 질문 및 토론
  • 모임 정리
  • 공지사항
  • 전체
  • 녹색문명공부모임
  • 책새벽
  • 책밤
  • 책새벽-화
  • 책새벽-수2
  • 책새벽-목
  • 책새벽-금
  • 문학
  • 기타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9
[자료] 프루스트 & 소설 캐릭터 등 자료 링크 (2)
neomay33 | 2024.07.03 | 추천 0 | 조회 545
neomay33 2024.07.03 0 545
8
[자료] 책새벽-수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2』 중 뱅퇴유의 소악절
neomay33 | 2023.08.23 | 추천 0 | 조회 1658
neomay33 2023.08.23 0 1658
7
[참가 신청] 책새벽 - 수 : 프루스트 읽기 - 시즌 2
neomay33 | 2023.05.03 | 추천 0 | 조회 1138
neomay33 2023.05.03 0 1138
6
프루스트 소설 속 산사나무(hawthorn)는 어떤 존재일까? (2)
Stella | 2023.04.19 | 추천 2 | 조회 1285
Stella 2023.04.19 2 1285
5
[책새벽-수. 그림 자료] 지오토의 아레나 성당, '우의상 14도'과 책꼽문. (2)
neomay33 | 2023.04.05 | 추천 0 | 조회 1665
neomay33 2023.04.05 0 1665
4
올리버 색스가 말하는 베르그손의 의도적 시간(intentional time) 소개 및 질문 (3)
Stella | 2023.03.29 | 추천 2 | 조회 1582
Stella 2023.03.29 2 1582
3
[책새벽-수. 자료]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1권 (1부 1장)
neomay33 | 2023.03.22 | 추천 0 | 조회 1720
neomay33 2023.03.22 0 1720
2
[자료] 프루스트 입문서 혹은 참고서 (2)
neomay33 | 2023.02.14 | 추천 0 | 조회 1298
neomay33 2023.02.14 0 1298
1
[참가 신청] 책새벽 - 수 : 프루스트 읽기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 (1)
neomay33 | 2023.02.09 | 추천 0 | 조회 1538
neomay33 2023.02.09 0 1538
  • 1
Powered by KBoard

게시판 글

최신글 내가 쓴 글
복소수 공간과 4차원 위치-시각 공간 관련 자료 목록
2025.07.14
몇 가지 질문에 대한 답 (1)
2025.06.30
[자료] 고전역학적 상태의 조작적 의미 (1)
2025.06.29
[자료] 핼리 혜성, 3차원, 예측적 앎 (1)
2025.06.09
[자료] 예측적 앎으로서의 고전역학 (2)
2025.06.08
로그인 해주세요.

게시판 댓글

최신댓글 내가 쓴 댓글
서술 중 약간 틀린 것을 수정하고 더 읽기 쉽게 몇 구절을 덧붙였습니다.
2025.07.06
[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를 읽어나갈 때 저는 세세한 부분은 대충 그러려니 하고 넘어가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2장 고전역학에서는 2.2절 "고전역학의 존재론"이 핵심이기 때문에 이 부분은 곱씹어가면서 깊이 그리고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2025.06.30
삼각함수의 미분을 더 쉽게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영상이 https://youtu.be/ S0_qX4VJhMQ?t=757 에 있습니다.
2025.06.16
케플러의 법칙([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 75쪽)에 대한 더 상세한 이야기가 "케플러의 법칙과 뉴턴의 증명"에 있습니다. 또 같은 페이지에 케플러의 법칙을 고전역학에서 유도하는 과정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한 내용을 "케플러 문제의 간단한 풀이"에 상세하게 해설해 두었습니다. 약간 성격이 다르긴 하지만, 미국의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의 1964년 강의가 연관됩니다. 그 내용을 "태양 주변의 행성의 운동 (리처드 파인만의 강의)"에서 소개했습니다.
2025.06.16
'낙하의 문제'([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 62-64쪽)와 관련하여 이전에 쓴 글 "천원지방, 갈릴레오, 뉴턴, 여헌 장현광"이 참고가 될 수 있겠습니다. 특히 70쪽에 소개 되어 있는, 물체를 수평으로 던질 때 그리는 궤적을 구하는 문제는 갈릴레오가 1638년의 저서 [새로운 두 과학](Discorsi e dimostrazioni matematiche intorno a due nuove scienze)에서 처음으로 상세하게 해명하여 과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성취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Two_New_Sciences
2025.06.15
로그인 해주세요.

Upcoming Events

7월 18
6:00 오전 - 7:00 오전 KST

책새벽 – 금 : 『세계철학사 4 – 탈근대 사유의 지평들』 21회

7월 21
6:00 오전 - 7:00 오전 KST

책새벽 – 월. 시즌6 : 『침묵의 봄』 13회

7월 22
6:00 오전 - 7:00 오전 KST

책새벽 – 화 : 『온도계의 철학』 – 5회

달력보기

카테고리

녹색아카데미 페이스북 공개그룹

녹색아카데미 페이스북 공개그룹

Copyright © 2025 녹색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

Codilight 테마 제작자 FameThe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