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메뉴
  • 환경
    • 환경 뉴스
    • 환경 칼럼
  • 에너지전환
    • 에너지전환 뉴스
    • 에너지전환 칼럼
  • 과학·학술
    • 과학·학술 뉴스
    • 과학·학술 칼럼
    • 지속가능성 개념어 사전
  • 장회익의 자연철학
    • 자연철학 이야기 대담
    • 책
    • 논문
    • 칼럼, 강의, 강연
  • 공부모임
    • 녹색문명공부모임
    • 새 자연철학 세미나
  • 게시판
    • 새 자연철학세미나 게시판
    • 녹색문명공부모임 게시판
    • 녹색 책/영화클럽 게시판
    • 뉴스레터
  • 일정
  • Log In
    • Register
  • 검색
  • 환경
    • 환경 뉴스
    • 환경 칼럼
  • 에너지전환
    • 에너지전환 뉴스
    • 에너지전환 칼럼
  • 과학·학술
    • 과학·학술 뉴스
    • 과학·학술 칼럼
    • 지속가능성 개념어 사전
  • 장회익의 자연철학
    • 자연철학 이야기 대담
    • 책
    • 논문
    • 칼럼, 강의, 강연
  • 공부모임
    • 녹색문명공부모임
    • 새 자연철학 세미나
  • 게시판
    • 새 자연철학세미나 게시판
    • 녹색문명공부모임 게시판
    • 녹색 책/영화클럽 게시판
    • 뉴스레터
  • 일정
  • Log In
    • Register

녹색아카데미

더 나은 앎으로 푸른 미래를 가꾸는 사람들의 공부모임

녹색문명공부모임

[자료] 프루스트 입문서 혹은 참고서

자료
문학
작성자
neomay33
작성일
2023-02-14 11:27
조회
1299
새로 시작하는 녹색아카데미 온라인 책읽기모임 '책새벽-수'(3/8 시작)에서는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읽습니다. 이 긴 책을 더 재밌게 읽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책을 좀 찾아보았습니다.
.
제일 읽기 쉽고 재밌기로는 그림과 작가들을 매개로 소개하는 책일 것 같습니다.
.
(모임 안내와 참가 신청은 "신청하러 가기" 링크로 가시면 됩니다.)

『프루스트의 화가들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읽는 새로운 방법』. 유예진. 2010. 현암사.
.
AMWts8BRmNVsXTfdqfevdkjMSLnQ3rUi0FDmC8kL6gyJCuK22B55b_7jiLifRxmJ_83Am-XSXiFKJQbw4GI9lJ7SHyj98EGVPBe9-ZVpgbLZVb37jnJZ_1D9ZKkCJhEbApdZ6NaDo_FgjYcmD8upZqhuHTsgfQ=w500-h677-s-no?authuser=0
.


『프루스트가 사랑한 작가들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가는 열 갈래의 길』. 유예진. 2012. 현암사. (알라딘에서는 이 책이 품절이네요. 이북은 있네요.)
.
AMWts8CzLTjiPTpFNpNkUE_rZLvohcPlYAz5dN31zyzX2DukqbGbk5eFMGGk4lKtqWVVVQHWCoonQ1tB0_9alhdtLQ6YsY4B3KedosC-InFrShew8FQMaw7u5_VsTL1yn7qB7D_-yef1n1GifbPClefJL8VKOA=w500-h694-s-no?authuser=0
.


그리고 『프루스트와 함께 한 여름 - 여덟 가지 테마로 읽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라는 재미난 책도 있습니다. 프루스트 전문가이거나 프루스트를 연구한 적이 있는 여덟 사람이 쓴 겁니다. 원문도 중간 중간 소개되고 있고요. 비교적 가볍게 입문하기에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 책은 현재 절판입니다.)
.
『프루스트와 함께 한 여름 - 여덟 가지 테마로 읽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앙투안 콩파뇽 외 (2014). 길혜연 옮김 (2017). 책세상.
.
AMWts8B8X9UVRkd7Zp0dTYGNcBfOHx0h9vPFjWH92bTL_wZqxiKVRZTMQ7ro5PDfCGEEGRT8TtspJEfDXUmQFbQyfqecOIWCNEEgnHh3hWKDmHksjsS2iObABNha1h29sUvKETsXfY140xYLLzoDQxpR3ehN5g=w500-h731-s-no?authuser=0.
.

들뢰즈의 책도 있는데요. 이 책은 입문서로는 부적절할 것 같고, 13권까지 다 읽은 후는 아니더라도 두어 권은 읽은 다음에 봐야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
.
『프루스트와 기호들』. 질 들뢰즈 (1964). 서동욱, 이충민 옮김 (1997). 민음사.
.
AMWts8BD0kydnBziBcAGjtU7Nt0mP-4FZZ-_CKl9imxL9DqijyhmC-MTS1x2kSbLP9lIaQPKeQrXG-1FG_aJzyXdETybnQDYnKnJu8wU8s7cYA9E7jEgPzHoDs2tapIsHwk7ZYV7jYTo86t5e7q4_YrV5qCUtw=w500-h717-s-no?authuser=0
.

그리고 『고도를 기다리며』로 유명한 사무엘 베케트가 쓴 책이 있습니다. 아주 얇아서 금세 다 읽을 수 있을 것 같은데, 내용은 심오해 보입니다.
.
『프루스트』. 사무엘 베케트 (1930), 유예진 옮김 (2016). 워크룸 프레스.
.
AMWts8A-ONspbQkTO1Lk59XScRUIqNv9OgQJ6TmY3tOfVgM1RS-ie8bLPrpe7TAZuFuDMO-VAIp-C4sH2fl01Q3PixP_VWyiFpd8qwa_jqBA4Yd--Q-VycWrcz4qvul_3HLnXy2Ja5ZzmWjxPHsLGOLaZkC7jw=w500-h843-s-no?authuser=0
.
.
베케트의 책 앞부분에서 조금 가져와봤습니다.
.
p.13. 이번 글의 목적을 위해 우리는 프루스트식 논지의 내적 연대를 따라갈 것이며, 우선은 저주와 구원의 쌍두 괴물인 시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
프루스트의 창조물은 이러한 지배적인 조건과 환경, 즉 시간의 희생자다.
...
p.14. 시간과 날들로부터 도망칠 수 ... 없는 까닭은 어제가 우리를 변형시켰거나, 어제가 우리에 의해 변형되었기 때문 ... 
...
우리는 어제 때문에 지쳐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그저 달라졌을 뿐이다.
...
우리는 스스로를 유혹에 빠지도록 내버려둔다. ... 어제 열망하던 것들은 어제의 자아에게는 유효했지만, 오늘의 자아에게는 아니다.
...
그런데 성취란 대체 무엇인가? 그것은 욕망의 주체와 객체가 일치함을 말한다. 주체는 아마도 여러 번, 도중에 죽었다.
.
p.16. 관찰자는 관찰되는 대상에게 자신의 움직임을 감염시킨다. ... 사람 사이에서 주체와 객체는 두 개의 개별적이며 내적인 대상으로, 그들 사이에는 일체화할 수 있는 구조가 존재하지 않는다. ... 갈증을 해소하기란 불가능하다.
.
p.16-17. 시간 속에서 완성되는 모든 것들(시간이 생산하는 모든 것들)을 우리가 소유할 수 있다면, 그것은 예술에서건 삶에서건 결코 한꺼번에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지 않고, 하나하나 부분적인 성취가 연속적으로 일어남으로써만 가능하다.
.
p.17. 마르셀과 알베르틴의 비극적인 관계 ... 나는 지나치게 추상적이며 임의적인 프루스트의 비관론을 소설의 중심에 있는 이 재앙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
기억과 습관은 ...  프루스트 소설의 가장 단순한 에피소드를 통제하는데, 그것들이 어떻게 활동하는지 분석하기에 앞서 작용원리를 이해해야 ...
.
기억의 법칙은 한층 더 일반적인 습관의 법칙의 지배를 받는다.
.
p.18. 습관은 프루스트 집안의 불멸의 요리사인 프랑스아즈와도 같다. 그녀는 완수해야 할 임무의 본질을 완벽하게 파악하고 있고, ...
.
(문장 하나하나가 주옥같네요. 여러번 읽게 될 것 같은 책입니다.)
.
모임 참가 신청은 "신청하러 가기" 링크로 가시면 됩니다.
전체 2

  • 자연사랑 자연사랑
    2023-02-14 13:48

    좋은 책들을 소개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프루스트가 사랑한 작가들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가는 열 갈래의 길』. 유예진. 2012. 현암사의 전자도서는 판매중입니다. http://aladin.kr/p/5JXR1" target="_blank" rel="noopener">http://aladin.kr/p/5JXR1


    • neomay33 neomay33
      2023-02-14 14:54

      전자도서 생각을 못했네요. ^^ 감사합니다~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 [참가 신청] 책새벽 - 수 : 프루스트 읽기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
[책새벽-수. 자료]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1권 (1부 1장) »
목록보기
전체 405
  • 전체
  • 자료
  • 질문 및 토론
  • 모임 정리
  • 공지사항
  • 전체
  • 녹색문명공부모임
  • 책새벽
  • 책밤
  • 책새벽-화
  • 책새벽-수2
  • 책새벽-목
  • 책새벽-금
  • 문학
  • 기타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9
[자료] 프루스트 & 소설 캐릭터 등 자료 링크 (2)
neomay33 | 2024.07.03 | 추천 0 | 조회 545
neomay33 2024.07.03 0 545
8
[자료] 책새벽-수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2』 중 뱅퇴유의 소악절
neomay33 | 2023.08.23 | 추천 0 | 조회 1658
neomay33 2023.08.23 0 1658
7
[참가 신청] 책새벽 - 수 : 프루스트 읽기 - 시즌 2
neomay33 | 2023.05.03 | 추천 0 | 조회 1138
neomay33 2023.05.03 0 1138
6
프루스트 소설 속 산사나무(hawthorn)는 어떤 존재일까? (2)
Stella | 2023.04.19 | 추천 2 | 조회 1285
Stella 2023.04.19 2 1285
5
[책새벽-수. 그림 자료] 지오토의 아레나 성당, '우의상 14도'과 책꼽문. (2)
neomay33 | 2023.04.05 | 추천 0 | 조회 1666
neomay33 2023.04.05 0 1666
4
올리버 색스가 말하는 베르그손의 의도적 시간(intentional time) 소개 및 질문 (3)
Stella | 2023.03.29 | 추천 2 | 조회 1582
Stella 2023.03.29 2 1582
3
[책새벽-수. 자료]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1권 (1부 1장)
neomay33 | 2023.03.22 | 추천 0 | 조회 1720
neomay33 2023.03.22 0 1720
2
[자료] 프루스트 입문서 혹은 참고서 (2)
neomay33 | 2023.02.14 | 추천 0 | 조회 1299
neomay33 2023.02.14 0 1299
1
[참가 신청] 책새벽 - 수 : 프루스트 읽기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 (1)
neomay33 | 2023.02.09 | 추천 0 | 조회 1538
neomay33 2023.02.09 0 1538
  • 1
Powered by KBoard

게시판 글

최신글 내가 쓴 글
복소수 공간과 4차원 위치-시각 공간 관련 자료 목록
2025.07.14
몇 가지 질문에 대한 답 (1)
2025.06.30
[자료] 고전역학적 상태의 조작적 의미 (1)
2025.06.29
[자료] 핼리 혜성, 3차원, 예측적 앎 (1)
2025.06.09
[자료] 예측적 앎으로서의 고전역학 (2)
2025.06.08
로그인 해주세요.

게시판 댓글

최신댓글 내가 쓴 댓글
서술 중 약간 틀린 것을 수정하고 더 읽기 쉽게 몇 구절을 덧붙였습니다.
2025.07.06
[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를 읽어나갈 때 저는 세세한 부분은 대충 그러려니 하고 넘어가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2장 고전역학에서는 2.2절 "고전역학의 존재론"이 핵심이기 때문에 이 부분은 곱씹어가면서 깊이 그리고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2025.06.30
삼각함수의 미분을 더 쉽게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영상이 https://youtu.be/ S0_qX4VJhMQ?t=757 에 있습니다.
2025.06.16
케플러의 법칙([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 75쪽)에 대한 더 상세한 이야기가 "케플러의 법칙과 뉴턴의 증명"에 있습니다. 또 같은 페이지에 케플러의 법칙을 고전역학에서 유도하는 과정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한 내용을 "케플러 문제의 간단한 풀이"에 상세하게 해설해 두었습니다. 약간 성격이 다르긴 하지만, 미국의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의 1964년 강의가 연관됩니다. 그 내용을 "태양 주변의 행성의 운동 (리처드 파인만의 강의)"에서 소개했습니다.
2025.06.16
'낙하의 문제'([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 62-64쪽)와 관련하여 이전에 쓴 글 "천원지방, 갈릴레오, 뉴턴, 여헌 장현광"이 참고가 될 수 있겠습니다. 특히 70쪽에 소개 되어 있는, 물체를 수평으로 던질 때 그리는 궤적을 구하는 문제는 갈릴레오가 1638년의 저서 [새로운 두 과학](Discorsi e dimostrazioni matematiche intorno a due nuove scienze)에서 처음으로 상세하게 해명하여 과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성취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Two_New_Sciences
2025.06.15
로그인 해주세요.

Upcoming Events

7월 18
6:00 오전 - 7:00 오전 KST

책새벽 – 금 : 『세계철학사 4 – 탈근대 사유의 지평들』 21회

7월 21
6:00 오전 - 7:00 오전 KST

책새벽 – 월. 시즌6 : 『침묵의 봄』 13회

7월 22
6:00 오전 - 7:00 오전 KST

책새벽 – 화 : 『온도계의 철학』 – 5회

달력보기

카테고리

녹색아카데미 페이스북 공개그룹

녹색아카데미 페이스북 공개그룹

Copyright © 2025 녹색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

Codilight 테마 제작자 FameThe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