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밤-시즌2. 발췌] 우연과 필연 - 4장. 미시적 사이버네틱스.
모임 정리
책밤
작성자
neomay33
작성일
2022-12-19 17:15
조회
1623
책밤-시즌 2 : 『우연과 필연』
.
4장. 미시적 사이버네틱스
.
『우연과 필연』. 자크 모노 지음. 조현수 옮김. 궁리. 2022(제2판). 2010(제1판). 제4장. pp.95-120.(쪽수는 1판 기준)
녹색아카데미에서는 매주 화요일 밤 9-10시에 온라인 책읽기 모임 '책밤'을 합니다. 현재 자크 모노의 <우연과 필연>을 읽고 있습니다. 모임에서 읽은 내용 중 핵심적이라고 생각하는 부분을 챕터별로 발췌해서 옮기고 있습니다. 질문이나 토론거리, 함께 보면 좋을 자료들이 있으시면 부담없이 공유해주세요.
.
.
.
목차
.
머리말
1. 이상한 존재들
2. 생기론과 물활론
3. 맥스웰의 도깨비
4. 미시적 사이버네틱스
5. 분자 개체 발생
6. 불변성과 요란
7. 진화
8. 지식의 최전선
9. 왕국과 어둠의 나락
부록
옮긴이의 말
.
.
4장. 미시적 사이버네틱스
.
세포 기계장치의 기능적 정합성 (p.95)
.
p.96. 유기체의 여러 다양한 성능들을 대규모적인 차원에서 상호조정 해주는 ... 역할을 하는 것이 신경계와 내분비계의 기능이다. 이런 시스템은 기관들이나 조직들 사이의 상호조정을, 결국 세포들 사이의 상호조정을 가능케 해준다.
.
그런데 거의 이런 시스템들만큼이나 복잡한 사이버네틱 망이 각각의 세포 내부에도 존재하며, 그리하여 그 덕분에 개별 세포 내부의 화학적 기계장치의 기능적 정합성이 확보된다 ...
.
조절 단백질과 조절의 논리 (p.96)
.
p.97. 조절 단백질 중에서 오늘날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알로스테릭(allosteric enzyme) 효소'* ... 이 효소들은 고전적 효소들과 마찬가지로, 자신에게만 적합한 특이성을 가진 기질을 알아보고 그것과 결합하여 그것을 다른 물질로 바꾸어 놓는다. (또한) 기질 이외의 다른 화합물들도 선별적으로 식별하여 그것들과 결합하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
.
*알로스테릭 효소 : 알로스테릭이라는 단어에서 '알로'란 '다른', '스테릭'은 '입체 모양'을 의미한다. 즉 알로스테릭이란 2가지 이상의 입체 모양을 취한다는 뜻이다. 알로스테릭의 또 다른 의미로 '다른 장소의'라는 뜻이 있다. 효소의 활성 부위와는 다른 장소, 즉 조절 부위에 최종 산물이 결합함으로써 활성이 변하는 효소가 바로 알로스테릭 효소이다.(『내 몸 안의 작은 우주 분자생물학』. 하기와라 기요후미 지음. 황소연 옮김. 2022. 전나무숲. p.57.)
.
.
[그림] 알로스테릭 효소에는 활성 부위와 조절 부위(알로스테릭 부위) 2가지 부위가 있다. 조절 부위에 최종 산물이 결합하면 활성 부위의 모양이 변해 효소로서의 활성이 떨어져 피드백 억제 효과가 발생한다. (출처 : 『내 몸 안의 작은 우주 분자생물학』. 하기와라 기요후미 지음. 황소연 옮김. 2022. 전나무숲. p.56-57.)
.
.
p.97-98. 이런 유형의 상호작용(알로스테릭 상호작용)에 의한 조절...기능을 수행하는 반응을 통제하는 물질을 '알로스테릭 이펙터'라고 부르는데, 이 알로스테릭 이펙터가 대사과정의 어느 지점에서 생기는가 하는 것과 그것이 일으키는 반응이 어떤 것이냐에 따라, 이들 알로스테릭 상호작용을 몇 가지 '조절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피드백 저해
2. 피드백 활성화
3. 평행적 활성화
4. 전구체에 의한 활성화
.
p.100. 알로스테릭 효소가 이들 네 가지 조절방식 중 오직 어떤 한 가지에 의해서만 통제받는 일은 드물다. 대개 ... 알로스테릭 효소들은 서로 적대적이거나 협조적인 여러 개의 알로스테릭 이펙터들에 의해 동시에 통제된다. 자주 볼 수 있는 경우는 다음의 세 가지 조절방식을 한꺼번에 포함하는 3중 조절이다.(조절방식 4, 1, 3) ... 효소의 활동은 모든 순간에 있어서 이 세 가지 정보의 총합을 나타낸다.
.
p.102. 조절적 상호작용에 소비되는 에너지는 사실상 제로다. 이때 소비되는 에너지의 양은 이펙터의 세포 내 화학적 포텐셜의 극소 부분에 불과하다. 반면 이 미미한 상호작용에 의해서 통제되는 촉매반응은 상대적으로 상당한 양의 에너지 전이를 수반할 수 있다.
.
• • •
.
p.102-103. 한 개의 전자 릴레이가 동시에 여러 전기 포텐셜에 의해 통제받을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 한 개의 알로스테릭 효소는 동시에 여러 개의 화학적 포텐셜에 의해 통제될 수 있다. 유사성은 이뿐만이 아니다. ... 제어하는 포텐셜의 변화에 대해 그것이 ... 비선형적으로 반응하도록 ...해서 역효과를 얻을 수 있고, 그로 인해 보다 정밀한 조절작용이 가능해진다.
.
p.104. 평균적인 성능을 가진 알로스테릭 효소 1분자의 무게는 10-17그램을 단위로 해서 잴 수 있다. ... 이런 미시적인 존재들을 몇 백 종 내지는 몇천 종이나 갖춘 한 개의 세포가 자유로이 행할 수 있는 '사이버네틱 능력'이(즉 합목적적 능력이) 얼마나 대단한 것일지를 짐작하게 한다.
.
알로스테릭 상호작용의 메커니즘 (p.104)
.
p.104. 문제는 한 개의 알로스테릭 단백질이라는 이 미시적 릴레이에 의해 어떻게 이렇게 복잡한 성능들이 수행되는지를 아는 것이다. ... 알로스테릭 상호작용은 단백질 자체의 분자적 구조가 불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덕분에 일어난다 ...
p.106. 세 개의 리간드(α, β, γ. p.105) 사이에서 이뤄지는 협조적이거나 길항적인 상호작용은 완전히 간접적인 방식으로 이뤄진다 ... 실제로, 리간드 자신들 사이에는 아무런 상호작용도 일어나지 않는다. 다만 전적으로 단백질과 리간드 사이에서만 상호작용이 일어난다. ... 이 개념이 없이는 생명체에서의 사이버네틱 시스템의 기원 및 발달을 이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
p.107-108. 가장 간단한 경우인 다이머(dimer. 이합체)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 이 다이머가 두 개의 모노머(monomer. 단량체)로 해리될 때 생기는 결과 : 결합이 깨어질 때 두 개의 모노머는 '속박된' 상태와는 구조적으로 다른 '이완된' 상태를 띠게 된다. 이런 경우를 두고 저 두 개의 프로토머(protomer. 하위 단위체)가 겪는 상태 변화를 '협주된 것'이라고 말한다.반응의 비선형성을 설명하는 것인 이러한 협주성이다.
.
p.108. 이상에서 논의된 내용을 기본으로 하는 수많은 변주들이 가능하다. 그러나 핵심적인 것은, 그 자체로는 지극히 간단한 것인 분자 구조가 알로스테릭 단백질의 '집적적인' 속성을 설명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다.
.
• • •
.
p.109. 알로스테릭 효소들은 화학적 기능의 단위이면서 동시에 조절적 상호작용이 일어나도록 매개하는 요소이기도 하다. 이 효소들의 속성은 어떻게 해서 세포 대사의 항상적 상태가 최대의 효율성과 최대의 정합성을 가지고 유지될 수 있는지를 이해하게 해준다.
.
효소 합성의 조절 (p.109)
.
p.109. 고분자나 핵산, 또는 단백질의 합성과 같은 차원의 반응...에서도 역시 어떤 조절 시스템들이 작용하고 있음을 사람들은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다.
.
p.110-112. 예 : 락토스계. 이 시스템은 대장균에서 세 가지 단백질의 합성을 관장한다. ... 그림 4의 도식이 이 현상을 분석한 결론을 요약하고 있다. ... 우리가 관심을 갖는 것은 이 조절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관해서다. 이 구성요소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기호는 그림 4 참조)
.
- '조절' 유전자 (i) : 억제 단백질이 변하지 않고 늘 같은 아주 느린 속도로 합성되도록 한다.
- '억제' 단백질 (R) : 오퍼레이터 부위를 입체특이적으로 식별해내어, 그것과 아주 안정적인 복합체를 이루며 결합.
- DNA의 '오퍼레이터(작동' 부위 (o)
- DNA의 '프로모터(추진)' 부위 (p) : 단순한 입체 방해에 의해서 메신저의 합성이 차단되기 시작하는 지점이 프로모터 단계.
- 유도물질인 갈락토시드 분자(βG) : β-갈락토시드가 있게 되면, 억제 유전자와 오퍼레이터 사이의 복합체는 해체되고, 메신저의 합성이 이뤄지게 되어 단백질의 합성 또한 이뤄진다.
.
p.114. 락토스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얻어낼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이고 가장 의미심장한 개념은 ... 다음과 같은 것들이다.
.
a) 억제물질은 그 자체로는 어떤 활성도 갖고 있지 않으며 단지 화학적 신호의 순전한 중개자(전달자)일 뿐이다.
.
b) 갈락토시드가 효소 단백질의 합성에 미치는 영향은, 전적으로 억제물질이 가진 식별속성에 기인 ... 즉 이 억제물질이 서로 배타적인 두 가지 상태를 취할 수 있다는 사실에서 기인 ... 그러므로 이것은 ... 알로스테릭 상호작용.
.
c) β-갈락토시다아제(효소)가 β-갈락토시드를 가수분해한다는 사실과 이 β-갈락토시다아제의 생합성이 이 β-갈락토시드에 의해 유도된다는 사실 사이에는 아무런 화학적으로 필연적인 관계가 없다. ... 이런 것을 두고 '무근거한 것'이라고 부른다.
.
무근거성이라는 개념 (p.115)
.
p.115. 무근거성이라는 근본적인 개념, 즉 어떤 화학적 신호가 수행하는 기능과 이 기능을 통제하는 화학적 신호의 본성 사이에는 화학적으로 아무런 관련이 없다는 사실을 나타내는 이 개념은 알로스테릭 효소에 적용된다.
.
p.116. 알로스테릭 상호작용의 특이성은 ... 서로 다른 상태들을 취할 수 있는 단백질의 구조에 전적으로 의거하며, 이러한 단백질의 구조는 또한 유전자의 구조에 의해 자유롭게 또한 자의적으로 지정된다. ... 알로스테릭 단백질의 매개에 의해 이뤄지는 조절작용과 관련해서는, 모든 것이 다 가능하다 ...
.
알로스테릭 상호작용의 작동 원리는 그러므로 제어 시스템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완전한 자유를 허락해준다. ... 이러한 제어시스템은 세포나 유기체에 더 많은 정합성과 효율성을 부여 ... 결국, 제어 시스템의 무근거성이야말로 분자적 진화에 실질적으로 무한한 모색의 장을 열어준 것.
.
p.117. 유기체의 행위들을 미시적이고 분자적인 차원에서 분석해보면, 모든 것은 특이적인 화학적 상호작용들에 의해 완전히 해석될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자율성의 궁극적 원천이란, 보다 정확히 말해, 생명체의 행위들을 특징짓는 자율결정의 궁극적 원천이란, 틀림없이 바로 이 분자들의 구조 속에 있는 것이다.
.
'전체론'과 환원론 (p.118)
.
p.119-121. 알로스테릭 상호작용에 대한 분석은 ... 합목적적인 활동이 구성성분을 많이 가진 복잡한 시스템의 독점적인 전류물이 아니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 무근거성이란 개념 덕분에, 이러한 분자적 상호 조절작용이 어떻게 해서 또한 왜 화학적 구속으로부터 벗어나 오직 시스템의 정합성에 기여하는 점에 의해서만 선택되고 도태될 수 있었는지를 알게 된다.
.
생명체가 모든 물리적 법칙들을 준수하면서도 자기 자신의 의도를 추구하고 실현하기 위해서 이 법칙들을 초월한다는 것이 어떤 실질적인 의미에서 그렇다는 것인지를 우리가 이해할 수 있게 된다면, 그것은 바로 이러한 분석적 기반 위에서이지 모호한 '체계에 대한 일반이론'과 같은 기반 위에서가 아니다.
.
(4장 끝.)
전체 0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