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와이드웹과 다이너북: 2-(2)실험데이터의 수집과 컴퓨터의 사용

월드와이드웹과 다이너북

1.여는 글. 2020. 5. 20.

2.CERN의 꿈과 정보의 소통
   (1)부시 보고서와 유럽 내 과학연구의 통합. (2020. 5. 27.)
   (2)실험데이터의 수집과 컴퓨터의 사용. (2020. 6. 3.)
   (3)인터넷, 월드와이드웹, HTTP. (2020. 6. 10.)
   (4)월드와이드웹과 소통. (2020. 6. 17.)

3.앨런 케이의 다이너북
    (1)미멕스와 PARC. (2020. 6. 17.)
    (2)앨런 케이의 다이너북. (2020. 6.24.) 
    (3)미멕스의 꿈과 전지구적 정보의 연결. (2020. 7. 1.)

4.재매개화와 메타매체성. (2020. 7. 8.)

5.마무리 글. (2020. 7. 8.)


이 글에서는 과학기술과 새로운 문화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하여 월드와이드웹과 랩톱 컴퓨터라는 과학기술적 성과물이 어떻게 역사적으로 전개되었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이러한 새로운 매체가 가져온 사회문화적 변화의 의미를 찾아봅니다. 이를 통해 소통의 연결점과 (하이퍼)텍스트 쓰기의 문제와 매체성 개념을 비판적으로 논의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과학칼럼은 매주 수요일 업로드됩니다.
김재영 (녹색아카데미)


2-(2) 실험데이터의 수집과 컴퓨터의 사용

CERN과 같은 거대한 규모의 새로운 입자가속기 연구소에서 실험데이터는 어떻게 수집하고 어떻게 처리했을까? 가령 1960년대 CERN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한 풍경을 회고에 의거하여 살펴보자(Gillies & Cailliau 2000, p.71). 

거대한 입자가속기 연구소에서 가장 중요한 통신 수단은 아이러니하게도 자전거였다. 입자가속기의 검출장치에 있는 데이터 수집 장치로부터 기본적인 데이터를 자기테이프의 형태로 받은 물리학자는 이 자기테이프를 자전거에 싣고 수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는 전자계산소로 가서 이를 ‘거대한 숫자처리장치’(big number-crunchers)에 입력한다. 거기에서 분석된 결과를 다시 물리학자에게 보낼 때에도 주된 이동수단은 자전거였다. 

이런 방식의 자료처리가 초창기에는 크게 문제될 것이 없었지만, 컴퓨터의 사용이 점점 더 잦아지고 그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자전거를 통한 통신은 연구소의 자료흐름에 심각한 장애가 되기 시작했다. 

[그림 1] CERN의 28 GeV 양성자 입자가속기. 1965년. (출처: wikipedia)

CERN의 두 번째 입자가속기인 양성자 가속기(PS, Proton Synchrotron)가 가동되기 시작한 것은 1959년이었고, 1966년에야 비로소 처음으로 도입된 컴퓨터의 용도는 초전도자석의 위치와 방향을 조정한다든가 여러 검출장치와 가속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었다.

1968년 하르팍(Georges Charpak)이 컴퓨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모을 수 있는 ‘다회선 비례검출장치(multiwire proportional chamber)’를 개발하면서 점차 CERN의 실험에서 컴퓨터의 역할이 커져갔다. 거품상자(bubble chamber)를 사용하는 물리학자들은 사진건판을 분류하고 분석하는 지루하고 반복되는 일을 상당부분 컴퓨터에 맡길 수 있게 되었을 뿐 아니라, 데이터 수집 과정 자체를 컴퓨터가 담당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또한 실험실의 파라미터, 전자석 전류, 계수비율, 전압수준, 빔의 세기 등을 검토하고 통제하는 것도 컴퓨터의 일이 되어갔다(Galison 1997: 489-497). 

[그림 2] 조지 하르팍의 다회선 비례검출장치. 1968년. (출처: CERN)

1980년대 들어 CERN은 이미 수천 명이 상근하는 거대연구소가 되었고, 컴퓨터의 사용이 커져감에 따라 이곳에는 DEC, IBM, Control Data 등 여러 컴퓨터 회사들이 진출해 있었다. 문제는 이 컴퓨터 회사들이 각각 고유한 전산체계를 갖추고 워크스테이션과 가속기 제어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었다는 점이었다. 

컴퓨터가 중요한 역할을 하기 시작한 또 다른 영역은 문서의 저장체계였다. 거대과학의 한 가지 징후로 엄청난 양의 문서들이 쏟아져 나왔다. 논문들은 물론이거니와 실험결과들의 정리해 놓은 자료들과 실험 장치나 컴퓨터의 사용설명서와 심지어는 연구소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신상명세나 연락처만으로도 넘쳐나는 텍스트정보를 가장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 준 것이 컴퓨터였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컴퓨터들마다 각기 다른 형식으로 정보를 관리하고 있었기 때문에 자료들은 중복되고 누락되기 일쑤였고, 한쪽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정보가 다른 곳에서는 무용지물이 되는 일이 잦았다. 

[그림 3] CERN의 30cm 거품상자. 1959년. 하전된 입자를 검출하는 데 사용한다. (출처: wikipedia)
[그림 4] CERN의 32cm 수소 거품상자를 이용해 도출된 람다입자 붕괴 궤적. 1960년. (출처: CERN)

2-(3) 인터넷, 월드와이드웹, HTTP

CERN의 규모는 점점 더 커져가고 있었고 컴퓨터에 대한 의존도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었기 때문에, 다양한 구동체계(O/S, platform) 위에서 작동하는 컴퓨터들 사이의 ‘소통’이 긴요한 문제가 되고 있었다. CERN에서 양성자 가속기(PS)의 전산제어를 담당하고 있던 팀 버너스-리(Tim Berners-Lee)가 “정보경영 제안”(Information Management: A Proposal)이라는 제목의 짧은 제안서에서 WorldWideWeb이라는 새로운 네트워크 방식을 처음 제시한 것은 1989년이었다. 

… 다음편 2-(3)으로 계속됩니다.

[그림 4] “웹이 태어난 곳.” CERN 도서관. 2004년 6월. (출처: 위키백과)

참고문헌

  • 김재영 (2010). “CERN의 월드와이드웹과 앨런 케이의 다이너북: 최초의 랩톱컴퓨터와 메타매체와 소통”, 탈경계인문학. 3(2): 249-289. 
  • Galison, P. (1997). Image and Logic: A Material Culture of Microphysic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Gillies, J. & Cailliau R. (2000). How the Web was Born: The Story of the World Wide Web, Oxford University Press.

  • 이 글은 녹색아카데미 웹진을 위해 김재영(2010)을 편집한 것입니다.
  • 알림: 웹사이트 스킨 문제로 댓글쓰기가 안되고 있습니다. 댓글이나 의견 등은 녹색아카데미 페이스북 그룹트위터인스타그램 등을 이용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부모임 게시판에서는 댓글을 쓰실 수 있습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 녹색아카데미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