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메뉴
  • 환경
    • 환경 뉴스
    • 환경 칼럼
  • 에너지전환
    • 에너지전환 뉴스
    • 에너지전환 칼럼
  • 과학·학술
    • 과학·학술 뉴스
    • 과학·학술 칼럼
    • 지속가능성 개념어 사전
  • 공부모임
    • 녹색문명공부모임
    • 자연철학 세미나
  • 게시판
    • 자연철학세미나 게시판
    • 녹색문명공부모임 게시판
    • 뉴스레터
  • 일정
  • Log Out
    • Register
  • 검색
  • 환경
    • 환경 뉴스
    • 환경 칼럼
  • 에너지전환
    • 에너지전환 뉴스
    • 에너지전환 칼럼
  • 과학·학술
    • 과학·학술 뉴스
    • 과학·학술 칼럼
    • 지속가능성 개념어 사전
  • 공부모임
    • 녹색문명공부모임
    • 자연철학 세미나
  • 게시판
    • 자연철학세미나 게시판
    • 녹색문명공부모임 게시판
    • 뉴스레터
  • 일정
  • Log Out
    • Register

녹색아카데미

더 나은 앎으로 푸른 미래를 가꾸는 사람들의 공부모임

자연철학 세미나

[자료] 3/18 자연철학세미나 발표자료

작성자
neomay3
작성일
2021-03-19 10:18
조회
187

2021년 3월 18일 자연철학세미나 발표자료입니다(첨부파일 참조).

3/18 세미나 세부사항은 공지글(링크)을 참고해주세요. 

공유하기
전체 4

  • 구선아 구선아
    2021-03-19 18:07

    아 황선생님~ master라는 호칭하고 교회마당에서 살고 있는 정황으로 (새로오신)신부님과 어린 꼬마소녀와의 대화를 떠올리신거지요? 사실 저는 그런 생각은 하지 못했기에 선생님 의견에 대해서 조금 더 생각을 해봐야겠습니다.
    이 시는 워즈워드가 20대였을때 굿리치캐슬(Goodrich Castle)에서 실제로 만났던 소녀를 주인공으로 해서 쓴 시인데요, 그런 정황때문인지 저는 그냥 시 속의 화자를 시인으로 동일시 해서만 봤어요. (사실 그 거리감에 대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많은 문학 작품 속에 화자를 작가와 동일화하는 경향이 있지요)

    그리고 교회부지에서 살고 있다는 것도 모든 마을에 가장 큰 부지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교회 그리고 그 교회와 연결된 학교인것이 자연스러운 기독교문화를 생각해보면 꼭 그곳에 살고 있는 것이 특별한 상황은 아니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어린 딸자식 하나만 데리고 가난하게/소박하게 살아가는 여인이라면 가장 안전한 곳이 또 교회 옆에 아닐까 싶구요. 교회에 있을 공동묘지를 돌보는 일을 한다고 해도 놀랄일은 아닌 상황이죠. 그러나 제가 바라보는 관점에서는 이 시에서 저의 시선을 집중시키는 것은 순진한 시골 꼬마와 꽤 나이차이가 나는 남성과의 우연한 만남과 대화 그리고 그 대화에서 알 수 있는 다른 세계관에도 불구하고 그 틈을 메우고 있는 따뜻한 어조입니다. 그 어느 문장에서도 시선을 다른 곳으로 돌리게 하는 것이 제게는 없었기에 선생님의 생각이 한편 재미있고 신선했습니다.


    • neomay3 neomay3
      2021-03-20 11:20

      아~ 실제 모델이 있어요?! 워즈워스는 20대에 만난 어린아이를 떠올리며 이런 시를 썼군요.
      샘께서 천천히 해석해주셔서 그런지, 대화의 속도가 글로 표현이 다 되는구나 싶기도 하고, 신기했습니다.
      저는 "일곱이라니까요"하는 샘의 해석에 어린 여자아이 목소리가 더빙돼서 계속 들리는 것 같아요. 눈도 동그랗게 뜨고서.


      • 자연사랑 자연사랑
        2021-03-31 20:51

        눈도 동그랗게 뜨고 새로 부임한 신부에게 말하는 소녀가 떠올라 시가 더 친숙해진 느낌입니다. 멋진 상상입니다.


  • neomay3 neomay3
    2021-03-19 11:00

    >> 구*아님 발표에 대한 후기

    어제 구샘의 시 설명과 발표 잘 들었습니다. 단어의 느낌도 잘 설명해주시고 읽어주시는 톤도 시랑 잘 어울려서, 두 사람의 대화가 이루어지는 장소가 그려지는 것 같았어요. 설명을 안 들었으면 전혀 이해를 못했을 것 같습니다.(세부내용은 첨부파일 참조)

    어제 생각해보니 시에 나오는 어른을 여자애가 master라고 부르더라구요. 신부님일 거 같은데 그런가요?

    이 시에 대해서 따로 찾아보진 않았고 그냥 제 맘대로 이렇게 그려봤습니다. 여자애의 엄마는 (아마도) 성당의 갖가지 일을 하면서 성당에 딸린 작은 집에 살고, 마스터는 새로 온 신부님이고, 마당에 있는 무덤에서 뛰노는 애가 보여서 다가가 이것저것 물어보는 상황이요.

    마스터를 신부님이라고 본다면 두 사람의 대화가 더 대비되는 것 같습니다. 신부님은 계속 두 사람은 빼고 다섯이지,하고 아이는 계속 '일곱이에요'하는데, 신부님은 신과 천국을 믿는 사람이란 말이죠. 워즈워스는 무엇을 말하고 싶었던 걸까요? 알듯하면서도 잘 안잡히고, 궁금하네요.

    >> 김*희님 발표에 대한 후기

    김*희님의 발랄상큼진지열심 발표 잘 들었습니다. 디자이너의 발표는 확실히 다르구나 싶었구요, 평소에 고민이 아주 많으시다는 걸 느꼈습니다. 영화 <미스터 노바디>는 이번 주말에 꼭 보려구요.

    저도 예술 작품과 앎, 인식에 대해서 고민이 많이 됩니다. 소설이나 영화, 컨템퍼러리 아트 작품을 보면 그것이 통(the whole이라고 해야할까요)으로 주는 인식을 다른 무엇으로 표현할 수 있을지 되게 난감하거든요.

    그것 자체 말고는 무엇이 그것을 말해줄 수 있을지 잘 모르겠어요. 언젠가 인류의 인지가 고도로 발달해서 오감(?!)이 주는 인식을 명료하게 표현해줄 수 있는 날이 올까 궁금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저도 녹취만 하지 말고 좀 창의적인 고민과 결과물을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절.실.하.게. 했습니다. ^^;

    다음 세미나, 기대됩니다~
    (세미나에서 나눈 얘기도 곧 (간단)정리해서 올리겠습니다.)


« [자료] 3/4 자연철학세미나 - 토론 정리
[자료] 3/18 자연철학세미나 - 토론 정리 »
목록보기 답글쓰기
글수정 글삭제
전체 275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274
[PDF 버전] 엔트로피는 무질서라는 오개념의 역사
시인처럼 | 2021.04.14 | 추천 1 | 조회 60
시인처럼 2021.04.14 1 60
273
4/1 세미나 후기 (9)
j | 2021.04.02 | 추천 1 | 조회 178
j 2021.04.02 1 178
272
김어준 팟캐스트 김상욱 양자역학편 후기 (6)
j | 2021.04.01 | 추천 1 | 조회 141
j 2021.04.01 1 141
271
[자료] 3/18 자연철학세미나 - 토론 정리
neomay3 | 2021.03.20 | 추천 0 | 조회 194
neomay3 2021.03.20 0 194
270
[자료] 3/18 자연철학세미나 발표자료 (4)
neomay3 | 2021.03.19 | 추천 0 | 조회 187
neomay3 2021.03.19 0 187
269
[자료] 3/4 자연철학세미나 - 토론 정리 (4)
neomay3 | 2021.03.05 | 추천 0 | 조회 303
neomay3 2021.03.05 0 303
268
[자료] 3/4 자연철학세미나 - 발표 자료 (2)
neomay3 | 2021.03.03 | 추천 0 | 조회 193
neomay3 2021.03.03 0 193
267
"문학과 예술에서 아인슈타인의 이론을 어떻게 수용하려고 했는가(1920-1950)"의 도입부를 읽고. (2)
neomay3 | 2021.03.02 | 추천 1 | 조회 125
neomay3 2021.03.02 1 125
266
예술, 과학, 비평 (세미나 후기) (1)
neomay3 | 2021.02.19 | 추천 1 | 조회 214
neomay3 2021.02.19 1 214
265
2월 19일 자연철학세미나 발제 자료
시인처럼 | 2021.02.19 | 추천 0 | 조회 172
시인처럼 2021.02.19 0 172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 마지막
글쓰기
Powered by KBoard
공유하기

게시판

최신글 최신댓글 추천글 인기글 공지사항
[PDF 버전] 엔트로피는 무질서라는 오개념의 역사
2021.04.14
2021년 4월 공부모임 발제문들
2021.04.10
모임 관련 질문 (5)
2021.04.10
4/1 세미나 후기 (9)
2021.04.02
김어준 팟캐스트 김상욱 양자역학편 후기 (6)
2021.04.01
저도 환영합니다. 5월 8일 녹색문명공부모임 조금 전에 연락(greenacademy.kr@gmail.com) 주시면 참석하실 수 있게 안내드리겠습니다. 카카오톡에 '녹색아카데미 녹색문명공부모임'이란 이름으로 대화방도 있습니다. 주로는 연락 용도로 쓰지요. 관심 있으시면 4월 15일 자연철학세미나에 오셔도 좋습니다~.
2021.04.13
shawn님, 저도 환영합니다. 다음 모임에서 뵙게 되길 기대합니다.
2021.04.12
답변 감사합니다! 늦게 확인해서 저번 시간에 참여하지는 못했지만 다음에 참석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2021.04.12
반갑습니다! ^^ 녹색아카데미 모임은 관심있는 분 누구나 사전 신청없이 참석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 달 모임은 5월 8일 토요일 낮3시이고, 온라인모임입니다. zoom 회의실 번호와 비밀번호는 동일하구요. <탄소 사회의 종말>(조효제, 2020) 중에서 1부와 2부를 읽을 예정입니다. 자세한 공지사항은 곧 따로 올릴텐데요, 참고해주시고, 언제든 참석하셔서 함께 이야기나누면 좋겠습니다. *^^*
2021.04.11
아, 조금 전에 보았네요. 회원 아니라도 오실 수 있습니다. 일정란에 안내된 zoom 주소로 들어오시면 됩니다.
2021.04.10
마음대로 쏟아내는 후기, 막 던지는 질문하기, 제안해봅니다. (19)
2019.12.01
자연철학 그림노트 1 - 낙하운동 (1, 2장) (26)
2019.12.07
아산 1장 발제 (1)
2019.12.08
11월 30일, 12월 28일 아산 모임 2장 고전역학 부분 발제문 (3)
2019.12.06
자연철학 강의 읽는 요령 (2)
2019.12.17
브라베 격자와 역 격자, 맞공간. 운동량-에너지
2020.02.20
자연철학 그림노트 4 - 삼각함수의 미분 (부록 A9 & A5) (11)
2019.12.27
운동질량, 상대론적 질량, 정지질량 (2)
2020.01.25
자연철학 그림노트 3 - 삼각함수의 정의와 몇 가지 성질 (11)
2019.12.26
자연철학 그림노트 1 - 낙하운동 (1, 2장) (26)
2019.12.07
리스트가 없습니다.

녹색아카데미 일정

  1. 자연철학세미나 온라인모임 23회 – ‘엔트로피’ 개념에 대하여

    4월 15일 8:30 오후 - 10:30 오후
  2. 자연철학세미나 온라인 모임 24회 – 자유 발표 & 자유 질문 7

    4월 29일 8:30 오후 - 10:30 오후
  3. 5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탄소 사회의 종말 1

    5월 8일 3:00 오후 - 5:00 오후

View All Events

많이 본 글

  • 기후위기와 이주
    기후위기와 이주
  • 기후위기 카툰 - 인류세, 감춰진 동물들과 사람들
    기후위기 카툰 - 인류세, 감춰진 동물들과 사람들
  • 과학과 수학의 불확실성 - (6)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
    과학과 수학의 불확실성 - (6)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
  • 아마존에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인가
    아마존에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인가
  • [대담녹취 5-2] 장회익의 자연철학 이야기. 4장.양자역학 (2)
    [대담녹취 5-2] 장회익의 자연철학 이야기. 4장.양자역학 (2)
  • 녹색아카데미 뉴스레터 - 2021년 1월 2호
    녹색아카데미 뉴스레터 - 2021년 1월 2호
  • 인공생명 - (5) 생명을 물리학으로 이해할 수 있을까?
    인공생명 - (5) 생명을 물리학으로 이해할 수 있을까?
  • 제레미 리프킨 - 두 개의 위기, 미래를 위한 선택
    제레미 리프킨 - 두 개의 위기, 미래를 위한 선택
  • 인공생명 - (2) 인공생명과 생명의 철학
    인공생명 - (2) 인공생명과 생명의 철학
  • 인류의 무게는 얼마나 될까?
    인류의 무게는 얼마나 될까?

카테고리

태그

climate change (15) climate crisis (15) 고전역학 (9) 공지 (20) 그림으로 읽는 문명 (16) 기후변화 (105) 기후위기 (92) 녹색문명 (14) 녹색문명공부모임 (23) 녹색세계사 (17) 녹색세계사 칼럼 (20) 녹색아카데미 (27) 녹취 (48) 뉴스레터 (37) 대담 녹취 (33) 문명 (14) 물리학 (22) 상대성이론 (23) 생명 (13) 생명이란 무엇인가 (11) 세미나 녹취 (15) 아인슈타인 (18) 앎이란 무엇인가 (11) 양자역학 (27) 온라인모임 (23) 온생명 (11) 온생명론 (13) 온실가스 (12) 우주론 (9) 이산화탄소 (19) 인류세 (9) 일반상대성이론 (10) 자연철학 (83) 자연철학세미나 (95) 자연철학 세미나 (50) 자연철학 이야기 (16) 자연철학이야기 (26) 장회익 (89)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73) 장회익의 자연철학 이야기 (15) 재생가능에너지 (11) 주체와 객체 (9) 지속가능성 (12) 통계역학 (13) 파시브하우스 (8)

녹색아카데미 트위터

내 트윗

녹색아카데미 페이스북 공개그룹

녹색아카데미 페이스북 공개그룹

Copyright © 2021 녹색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

Codilight 테마 제작자 FameThe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