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재는 무엇일까? 법칙이란 무엇일까?
흥미로운 인터뷰가 있어서 소개드립니다.
자연법칙이라는 게 무엇일까? 실재하는 것은 무엇일까? 자연법칙을 '법칙'으로 만드는 것은 무엇일까? 자연철학 세미나에서 함께 이야기 나눈 질문들에 대해 꽤 알려진 물리학자, 수학자, 화학자, 철학자와 나눈 대화입니다.
마틴 리즈는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트리니티 컬리지 학장이었고 영국에 단 한명뿐인 왕실천문학자입니다. 스티븐 와인버그는 노벨물리학상을 받았고 입자물리학의 표준모형이란 것을 만든 사람 중 하나입니다. 미국 프린스턴 고등연구원의 프리먼 다이슨은 수학자/수리물리학로서 세상의 복잡한 것을 수학으로 설명해 내는 신묘한 사람입니다. 영국 옥스퍼드 대학의 피터 아트킨스는 저명한 물리화학자입니다. 리 스몰린은 페리미터 연구소에 있는 물리학자로서 양자중력과 시간이란 문제를 깊이 탐구했습니다. 바스 반프라센은 미국 프린스턴 대학의 철학자로서, 법칙이라는 개념이 필연성과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명료하게 말하고 있습니다.
"What's real? What's fundamental? There are regularities in nature, things that are or work the same-always, everywhere, across the universe just like in your kitchen. Down deep, what are the laws of nature? What makes them "laws"? And where do they come from? Featuring interviews with Martin Rees, Steven Weinberg, Freeman Dyson, Peter Atkins, Lee Smolin, and Bas van Fraassen."
Season 4, Episode 11 - #CloserToTruth
https://www.closertotruth.com/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269 |
3/4 자연철학세미나 - 주요 질문 정리(녹취록) (2)
neomay3
|
2021.03.05
|
추천 0
|
조회 98
|
neomay3 | 2021.03.05 | 0 | 98 |
268 |
3/4 세미나 발표 자료입니다 (2)
neomay3
|
2021.03.03
|
추천 0
|
조회 53
|
neomay3 | 2021.03.03 | 0 | 53 |
267 |
"문학과 예술에서 아인슈타인의 이론을 어떻게 수용하려고 했는가(1920-1950)"의 도입부를 읽고. (2)
neomay3
|
2021.03.02
|
추천 1
|
조회 37
|
neomay3 | 2021.03.02 | 1 | 37 |
266 |
예술, 과학, 비평 (세미나 후기) (1)
neomay3
|
2021.02.19
|
추천 1
|
조회 119
|
neomay3 | 2021.02.19 | 1 | 119 |
265 |
2월 19일 자연철학세미나 발제 자료
시인처럼
|
2021.02.19
|
추천 0
|
조회 78
|
시인처럼 | 2021.02.19 | 0 | 78 |
264 |
2월 4일 자연철학세미나 음성 자료 (1)
시인처럼
|
2021.02.05
|
추천 1
|
조회 182
|
시인처럼 | 2021.02.05 | 1 | 182 |
263 |
20210204 정합적 틀. 우주와 나의 정체성. 소위에 타서 소를.
오지영
|
2021.02.04
|
추천 1
|
조회 170
|
오지영 | 2021.02.04 | 1 | 170 |
262 |
1월 21일 자연철학세미나 발제 자료
시인처럼
|
2021.02.01
|
추천 0
|
조회 144
|
시인처럼 | 2021.02.01 | 0 | 144 |
261 |
1월 21일 자연철학세미나 온라인모임 17회 녹음자료
시인처럼
|
2021.01.25
|
추천 1
|
조회 230
|
시인처럼 | 2021.01.25 | 1 | 230 |
260 |
실재는 무엇일까? 법칙이란 무엇일까? (2)
자연사랑
|
2021.01.20
|
추천 2
|
조회 251
|
자연사랑 | 2021.01.20 | 2 | 251 |
고맙습니다~ 잘 보겠습니다!
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