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메뉴
  • 환경
    • 환경 뉴스
    • 환경 칼럼
  • 에너지전환
    • 에너지전환 뉴스
    • 에너지전환 칼럼
  • 과학·학술
    • 과학·학술 뉴스
    • 과학·학술 칼럼
    • 지속가능성 개념어 사전
  • 공부모임
    • 녹색문명공부모임
    • 자연철학 세미나
  • 게시판
    • 자연철학세미나 게시판
    • 녹색문명공부모임 게시판
    • 뉴스레터
  • 일정
  • Log Out
    • Register
  • 검색
  • 환경
    • 환경 뉴스
    • 환경 칼럼
  • 에너지전환
    • 에너지전환 뉴스
    • 에너지전환 칼럼
  • 과학·학술
    • 과학·학술 뉴스
    • 과학·학술 칼럼
    • 지속가능성 개념어 사전
  • 공부모임
    • 녹색문명공부모임
    • 자연철학 세미나
  • 게시판
    • 자연철학세미나 게시판
    • 녹색문명공부모임 게시판
    • 뉴스레터
  • 일정
  • Log Out
    • Register

녹색아카데미

더 나은 앎으로 푸른 미래를 가꾸는 사람들의 공부모임

자연철학 세미나

실재는 무엇일까? 법칙이란 무엇일까?

작성자
자연사랑
작성일
2021-01-20 23:45
조회
251

흥미로운 인터뷰가 있어서 소개드립니다. 

자연법칙이라는 게 무엇일까? 실재하는 것은 무엇일까? 자연법칙을 '법칙'으로 만드는 것은 무엇일까? 자연철학 세미나에서 함께 이야기 나눈 질문들에 대해 꽤 알려진 물리학자, 수학자, 화학자, 철학자와 나눈 대화입니다.


마틴 리즈는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트리니티 컬리지 학장이었고 영국에 단 한명뿐인 왕실천문학자입니다. 스티븐 와인버그는 노벨물리학상을 받았고 입자물리학의 표준모형이란 것을 만든 사람 중 하나입니다. 미국 프린스턴 고등연구원의 프리먼 다이슨은 수학자/수리물리학로서 세상의 복잡한 것을 수학으로 설명해 내는 신묘한 사람입니다. 영국 옥스퍼드 대학의 피터 아트킨스는 저명한 물리화학자입니다. 리 스몰린은 페리미터 연구소에 있는 물리학자로서 양자중력과 시간이란 문제를 깊이 탐구했습니다. 바스 반프라센은 미국 프린스턴 대학의 철학자로서, 법칙이라는 개념이 필연성과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명료하게 말하고 있습니다. 


https://youtu.be/-R5wT1rBLS0


"What's real? What's fundamental? There are regularities in nature, things that are or work the same-always, everywhere, across the universe just like in your kitchen. Down deep, what are the laws of nature? What makes them "laws"? And where do they come from? Featuring interviews with Martin Rees, Steven Weinberg, Freeman Dyson, Peter Atkins, Lee Smolin, and Bas van Fraassen." 

Season 4, Episode 11 - #CloserToTruth

https://www.closertotruth.com/


공유하기
전체 2

  • neomay3 neomay3
    2021-01-21 10:09

    고맙습니다~ 잘 보겠습니다!


  • 시인처럼 시인처럼
    2021-01-21 20:17

    와...


« 1월 7일 자연철학세미나 온라인모임 16회 녹음자료
1월 21일 자연철학세미나 온라인모임 17회 녹음자료 »
목록보기 답글쓰기
글수정 글삭제
전체 270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269
3/4 자연철학세미나 - 주요 질문 정리(녹취록) (2)
neomay3 | 2021.03.05 | 추천 0 | 조회 98
neomay3 2021.03.05 0 98
268
3/4 세미나 발표 자료입니다 (2)
neomay3 | 2021.03.03 | 추천 0 | 조회 53
neomay3 2021.03.03 0 53
267
"문학과 예술에서 아인슈타인의 이론을 어떻게 수용하려고 했는가(1920-1950)"의 도입부를 읽고. (2)
neomay3 | 2021.03.02 | 추천 1 | 조회 37
neomay3 2021.03.02 1 37
266
예술, 과학, 비평 (세미나 후기) (1)
neomay3 | 2021.02.19 | 추천 1 | 조회 119
neomay3 2021.02.19 1 119
265
2월 19일 자연철학세미나 발제 자료
시인처럼 | 2021.02.19 | 추천 0 | 조회 78
시인처럼 2021.02.19 0 78
264
2월 4일 자연철학세미나 음성 자료 (1)
시인처럼 | 2021.02.05 | 추천 1 | 조회 182
시인처럼 2021.02.05 1 182
263
20210204 정합적 틀. 우주와 나의 정체성. 소위에 타서 소를.
오지영 | 2021.02.04 | 추천 1 | 조회 170
오지영 2021.02.04 1 170
262
1월 21일 자연철학세미나 발제 자료
시인처럼 | 2021.02.01 | 추천 0 | 조회 144
시인처럼 2021.02.01 0 144
261
1월 21일 자연철학세미나 온라인모임 17회 녹음자료
시인처럼 | 2021.01.25 | 추천 1 | 조회 230
시인처럼 2021.01.25 1 230
260
실재는 무엇일까? 법칙이란 무엇일까? (2)
자연사랑 | 2021.01.20 | 추천 2 | 조회 251
자연사랑 2021.01.20 2 251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 마지막
글쓰기
Powered by KBoard
공유하기

게시판

최신글 최신댓글 추천글 인기글 공지사항
3/4 자연철학세미나 - 주요 질문 정리(녹취록) (2)
2021.03.05
3/4 세미나 발표 자료입니다 (2)
2021.03.03
"문학과 예술에서 아인슈타인의 이론을 어떻게 수용하려고 했는가(1920-1950)"의 도입부를 읽고. (2)
2021.03.02
[기사 핵심정리] 해수온도 상승, 산성화, 탈산소화 & 대양 티핑 포인트 (2021.2.26)
2021.02.27
2021년 2월 녹색문명공부모임 자료
2021.02.21
장회익선생님 책 중에 1990년에 나온 <과학과 메타과학>이 있습니다. 2012년에 현암사에서 다시 나왔는데 지금 보니 이 책도 절판됐네요. 초판이 좀 더 얇기도 하고 맨 처음에 샘께서 어떻게 쓰셨는지 궁금해서 조금씩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옛날에 읽었을 때보다 좀 더 잘 읽히는 것 같습니다. 또 재밌는 사실 한 가지는 낯설지 않다고 해야할까 그런 느낌이 드네요. 어떻게 보면 누군가의 이론이나 사상체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사람이 인용하고 설명하는 학자나 대상(예: 뉴턴, 프린키피아)이 아니라 그 사람의 초기 저작(예: 장회익, <과학과 메타과학>)을 열어봐야 하는 거 아닌가하는 생각을, 요정도 경험으로 함부로 해보았습니다. 장회익선생님은 선생님의 이론을 어떻게 전개시켰는지, 샘의 예전의 책에서 단초를 찾고 변형되어 가는 모습을 발견하고 이론이 발전해가는 모습을 짚어보면, 가장 완성도 높은 최근의 이론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거죠. 이렇게 하면 샘의 현재 이론도 이해하고, <...강의>에서 중요한 핵심이기도 한 '앎의 틀'이 만들어져 가는 과정도 배우고, 더 욕심을 내보면 샘의 '앎의 틀'을 발전시키거나 더더 욕심을 내보면 나도 나만의 '앎의 틀'을 샘의 프로세스를 따라가면서 만들어볼 수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까지 해보았네요. ^^; (세미나에서 뭐 발표할까 고민하다가 이런 생각을 하게 됐는데요. 저는 발표 준비에 한 달 이상 더 필요할 것 같습니다.)
2021.03.05
어쩌다가 녹취주의자가 돼버렸는데요. 녹취 작업은 녹색아카데미 웹진 관리자로서 하면 좋겠다 싶은 일을 찾다가 시작하게 됐지만, 저한테도 공부 많이 되고 있습니다. 도움된다고 말씀들 해주셔서 보람도 느낍니다. 세미나 하면서 제일 신기한 것은 질문하는 분들과(저는 질문이 별로 없어서..-,-;), 어떤 질문을 해도 도움되는 답을 해주시는 장회익선생님입니다. 그리고 어떤 얘기가 나와도 김*영님께서 미리 준비한 듯 설명을 좍~ 해주셔서 매번 놀라기도 하구요.(어제 카프라, 초프라 얘기가 생각나네요. ^^) 여러 분들의 다양한 질문과 선생님 말씀을 듣다보면, 저도 뭔가 새로 질문이 생기는 것 같기도 하고, 공부가 되는 것 같기도 하고, 나는 뭐 궁금한 거 없나 찾게 되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세미나 때 따로 노트를 하시기도 하고 각자 나름대로 기록도 하실 것 같은데, 같이 공부 노트를 만든다는 느낌으로 게시판이 활용되면 해서 몇 자 또 댓글 달아봤습니다. ㅎㅎ;
2021.03.05
서*석님 발표자료 버전2 올렸습니다. 질문이 더 추가되었습니다.
2021.03.04
서*석님 발표자료도 올렸습니다. 첨부파일 확인해주세요.
2021.03.04
고맙습니다. 도입만 봐서 이렇게 써도 되나 걱정헀는데, 저는 이 이상 볼 여력이 없어서 그냥 읽은만큼 공유한다는 생각으로 올렸습니다. 여러 작품들을 어떻게 분석했는지 본론이 매우 궁금하기는 한데, 그건 나~중에 읽기로... ^^;
2021.03.03
마음대로 쏟아내는 후기, 막 던지는 질문하기, 제안해봅니다. (19)
2019.12.01
자연철학 그림노트 1 - 낙하운동 (1, 2장) (26)
2019.12.07
아산 1장 발제 (1)
2019.12.08
11월 30일, 12월 28일 아산 모임 2장 고전역학 부분 발제문 (3)
2019.12.06
자연철학 강의 읽는 요령 (2)
2019.12.17
자연철학 그림노트 4 - 삼각함수의 미분 (부록 A9 & A5) (11)
2019.12.27
브라베 격자와 역 격자, 맞공간. 운동량-에너지
2020.02.20
운동질량, 상대론적 질량, 정지질량 (1)
2020.01.25
자연철학 그림노트 3 - 삼각함수의 정의와 몇 가지 성질 (11)
2019.12.26
자연철학 그림노트 1 - 낙하운동 (1, 2장) (26)
2019.12.07
리스트가 없습니다.

녹색아카데미 일정

  1. 3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최후의 전환 2

    3월 13일 3:00 오후 - 5:00 오후

View All Events

많이 본 글

  • 기후위기와 이주
    기후위기와 이주
  • 기후위기 카툰 - 인류세, 감춰진 동물들과 사람들
    기후위기 카툰 - 인류세, 감춰진 동물들과 사람들
  • 과학과 수학의 불확실성 - (6)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
    과학과 수학의 불확실성 - (6)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
  • 아마존에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인가
    아마존에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인가
  • [대담녹취 5-2] 장회익의 자연철학 이야기. 4장.양자역학 (2)
    [대담녹취 5-2] 장회익의 자연철학 이야기. 4장.양자역학 (2)
  • 녹색아카데미 뉴스레터 - 2021년 1월 2호
    녹색아카데미 뉴스레터 - 2021년 1월 2호
  • 인공생명 - (5) 생명을 물리학으로 이해할 수 있을까?
    인공생명 - (5) 생명을 물리학으로 이해할 수 있을까?
  • 제레미 리프킨 - 두 개의 위기, 미래를 위한 선택
    제레미 리프킨 - 두 개의 위기, 미래를 위한 선택
  • 인공생명 - (2) 인공생명과 생명의 철학
    인공생명 - (2) 인공생명과 생명의 철학
  • 인류의 무게는 얼마나 될까?
    인류의 무게는 얼마나 될까?

카테고리

태그

climate change (15) climate crisis (15) 고전역학 (9) 공지 (16) 그림으로 읽는 문명 (16) 기후변화 (101) 기후위기 (88) 녹색문명 (14) 녹색문명공부모임 (20) 녹색세계사 (17) 녹색세계사 칼럼 (20) 녹색아카데미 (27) 녹취 (43) 뉴스레터 (34) 대담 녹취 (28) 문명 (14) 물리학 (22) 상대성이론 (20) 생명 (13) 생명이란 무엇인가 (11) 세미나 녹취 (15) 아인슈타인 (18) 앎이란 무엇인가 (11) 양자역학 (25) 온라인모임 (19) 온생명 (11) 온생명론 (13) 온실가스 (11) 우주론 (8) 이산화탄소 (19) 인류세 (9) 자연철학 (75) 자연철학 세미나 (50) 자연철학세미나 (82) 자연철학 이야기 (16) 자연철학이야기 (19) 장회익 (82)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70) 장회익의 자연철학 이야기 (15) 재생가능에너지 (11) 주체와 객체 (9) 지구온난화 (8) 지속가능성 (12) 통계역학 (11) 파시브하우스 (8)

녹색아카데미 트위터

내 트윗

녹색아카데미 페이스북 공개그룹

녹색아카데미 페이스북 공개그룹

Copyright © 2021 녹색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

Codilight 테마 제작자 FameThe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