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메뉴
  • 환경
    • 환경 뉴스
    • 환경 칼럼
  • 에너지전환
    • 에너지전환 뉴스
    • 에너지전환 칼럼
  • 과학·학술
    • 과학·학술 뉴스
    • 과학·학술 칼럼
    • 지속가능성 개념어 사전
  • 공부모임
    • 녹색문명공부모임
    • 자연철학 세미나
  • 게시판
    • 자연철학세미나 게시판
    • 녹색문명공부모임 게시판
    • 뉴스레터
  • 일정
  • Log Out
    • Register
  • 검색
  • 환경
    • 환경 뉴스
    • 환경 칼럼
  • 에너지전환
    • 에너지전환 뉴스
    • 에너지전환 칼럼
  • 과학·학술
    • 과학·학술 뉴스
    • 과학·학술 칼럼
    • 지속가능성 개념어 사전
  • 공부모임
    • 녹색문명공부모임
    • 자연철학 세미나
  • 게시판
    • 자연철학세미나 게시판
    • 녹색문명공부모임 게시판
    • 뉴스레터
  • 일정
  • Log Out
    • Register

녹색아카데미

더 나은 앎으로 푸른 미래를 가꾸는 사람들의 공부모임

녹색문명공부모임

파시브하우스 이야기 - (2) 기초만들기

작성자
neomay3
작성일
2021-01-24 17:54
조회
128
“기초만들기”
사진 설명이 없습니다.

양평으로~
집을 짓기로 한 후 이러저러한 고민 끝에 양평으로 가기로 했고, 1년 정도 물색하다가 땅을 샀습니다. 시골에는 작은 땅이 잘 나오지 않는데, 154평짜리를 용케 만났습니다. 한 집 짓기에 적당한 면적이지만 우리한테는 너무 크고 비싸서 시누이네를 끌어들였는데 놀랍게도 선뜻 합류. 땅을 절반으로 나누고, 2012년 겨울에 우리집을 짓고, 옆집은 2013년 하반기부터 지었습니다.
집 바닥 면적은 20평, 2층은 10평. 우리집은 바닥난방이 없고 기초콘크리트 바로 위에 마루가 올라가기 때문에 바닥 단열이 더 중요합니다(옆집도 마찬가지).

기초만들기
맨 아래에는 ‘버림 기초’라고 해서 콘크리트를 적당히 부어줍니다. 굳으면 그 위에 방습층(우리는 싸게 하느라 비닐을 썼는데, 방습용 시트가 따로 있다)을 깔아서 지면으로부터 습기가 올라오는 것을 막습니다.
본 기초콘크리트를 붓기 전에 단열재를 깔아줍니다. 단열재 틈 사이에 콘크리트 반죽이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단열재 위에는 시트를 깔아주여야 합니다. 단열재 아래는 수평을 맞출 정도의 높이로 모래를 깔아줍니다. 수평이 안 맞으면 단열재 이음새가 틀어지고 벌어져서 열교가 생기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맨아래부터 순서대로 쓰면, 버림기초 - 방습층 - 모래 - 단열재 - 단열재보호시트 - 철근콘크리트기초, 이렇습니다.
이렇게 하는 데에 이틀 걸렸습니다. 어느 정도 굳고 나면 정원에 물주듯이 물을 뿌려주는데, 그러면 양생이 잘 된다네요. 콘크리트가 자기들끼리 더 잘 결합해서 기초가 튼튼해진다고 합니다.

2013년 10월 작업을 2020년 11월에 기록.
황승미 @yellowpumpkin33

공유하기
전체 0

« 기후밥상 이야기 - (2) 팽이세발나물 전
파시브라이프 이야기 (1)스웨터에 패치를 달다 »
목록보기 답글쓰기
글수정 글삭제
전체 48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47
[기사 핵심정리] 해수온도 상승, 산성화, 탈산소화 & 대양 티핑 포인트 (2021.2.26)
neomay3 | 2021.02.27 | 추천 0 | 조회 49
neomay3 2021.02.27 0 49
46
2021년 2월 녹색문명공부모임 자료
neomay3 | 2021.02.21 | 추천 0 | 조회 64
neomay3 2021.02.21 0 64
45
파시브하우스 이야기 - (4) 난방은 가끔 거들뿐
neomay3 | 2021.02.16 | 추천 0 | 조회 51
neomay3 2021.02.16 0 51
44
기후밥상 이야기 (4) - 두부함수
neomay3 | 2021.02.14 | 추천 0 | 조회 68
neomay3 2021.02.14 0 68
43
파시브하우스이야기 - (3)온실
neomay3 | 2021.02.07 | 추천 1 | 조회 118
neomay3 2021.02.07 1 118
42
기후밥상 이야기(3) - 커피와 먹을 수 있는 아침 메뉴 & 에너지독립
neomay3 | 2021.02.04 | 추천 1 | 조회 121
neomay3 2021.02.04 1 121
41
파시브라이프 이야기 (1)스웨터에 패치를 달다
neomay3 | 2021.01.31 | 추천 0 | 조회 105
neomay3 2021.01.31 0 105
40
파시브하우스 이야기 - (2) 기초만들기
neomay3 | 2021.01.24 | 추천 0 | 조회 128
neomay3 2021.01.24 0 128
39
기후밥상 이야기 - (2) 팽이세발나물 전
neomay3 | 2021.01.14 | 추천 0 | 조회 184
neomay3 2021.01.14 0 184
38
1월 9일 녹색문명공부모임 녹음자료
시인처럼 | 2021.01.14 | 추천 0 | 조회 133
시인처럼 2021.01.14 0 133
  • 1
  • 2
  • 3
  • 4
  • 5
  • »
  • 마지막
글쓰기
Powered by KBoard
공유하기

게시판

최신글 최신댓글 추천글 인기글 공지사항
3/4 자연철학세미나 - 주요 질문 정리(녹취록) (2)
2021.03.05
3/4 세미나 발표 자료입니다 (2)
2021.03.03
"문학과 예술에서 아인슈타인의 이론을 어떻게 수용하려고 했는가(1920-1950)"의 도입부를 읽고. (2)
2021.03.02
[기사 핵심정리] 해수온도 상승, 산성화, 탈산소화 & 대양 티핑 포인트 (2021.2.26)
2021.02.27
2021년 2월 녹색문명공부모임 자료
2021.02.21
장회익선생님 책 중에 1990년에 나온 <과학과 메타과학>이 있습니다. 2012년에 현암사에서 다시 나왔는데 지금 보니 이 책도 절판됐네요. 초판이 좀 더 얇기도 하고 맨 처음에 샘께서 어떻게 쓰셨는지 궁금해서 조금씩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옛날에 읽었을 때보다 좀 더 잘 읽히는 것 같습니다. 또 재밌는 사실 한 가지는 낯설지 않다고 해야할까 그런 느낌이 드네요. 어떻게 보면 누군가의 이론이나 사상체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사람이 인용하고 설명하는 학자나 대상(예: 뉴턴, 프린키피아)이 아니라 그 사람의 초기 저작(예: 장회익, <과학과 메타과학>)을 열어봐야 하는 거 아닌가하는 생각을, 요정도 경험으로 함부로 해보았습니다. 장회익선생님은 선생님의 이론을 어떻게 전개시켰는지, 샘의 예전의 책에서 단초를 찾고 변형되어 가는 모습을 발견하고 이론이 발전해가는 모습을 짚어보면, 가장 완성도 높은 최근의 이론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거죠. 이렇게 하면 샘의 현재 이론도 이해하고, <...강의>에서 중요한 핵심이기도 한 '앎의 틀'이 만들어져 가는 과정도 배우고, 더 욕심을 내보면 샘의 '앎의 틀'을 발전시키거나 더더 욕심을 내보면 나도 나만의 '앎의 틀'을 샘의 프로세스를 따라가면서 만들어볼 수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까지 해보았네요. ^^; (세미나에서 뭐 발표할까 고민하다가 이런 생각을 하게 됐는데요. 저는 발표 준비에 한 달 이상 더 필요할 것 같습니다.)
2021.03.05
어쩌다가 녹취주의자가 돼버렸는데요. 녹취 작업은 녹색아카데미 웹진 관리자로서 하면 좋겠다 싶은 일을 찾다가 시작하게 됐지만, 저한테도 공부 많이 되고 있습니다. 도움된다고 말씀들 해주셔서 보람도 느낍니다. 세미나 하면서 제일 신기한 것은 질문하는 분들과(저는 질문이 별로 없어서..-,-;), 어떤 질문을 해도 도움되는 답을 해주시는 장회익선생님입니다. 그리고 어떤 얘기가 나와도 김*영님께서 미리 준비한 듯 설명을 좍~ 해주셔서 매번 놀라기도 하구요.(어제 카프라, 초프라 얘기가 생각나네요. ^^) 여러 분들의 다양한 질문과 선생님 말씀을 듣다보면, 저도 뭔가 새로 질문이 생기는 것 같기도 하고, 공부가 되는 것 같기도 하고, 나는 뭐 궁금한 거 없나 찾게 되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세미나 때 따로 노트를 하시기도 하고 각자 나름대로 기록도 하실 것 같은데, 같이 공부 노트를 만든다는 느낌으로 게시판이 활용되면 해서 몇 자 또 댓글 달아봤습니다. ㅎㅎ;
2021.03.05
서*석님 발표자료 버전2 올렸습니다. 질문이 더 추가되었습니다.
2021.03.04
서*석님 발표자료도 올렸습니다. 첨부파일 확인해주세요.
2021.03.04
고맙습니다. 도입만 봐서 이렇게 써도 되나 걱정헀는데, 저는 이 이상 볼 여력이 없어서 그냥 읽은만큼 공유한다는 생각으로 올렸습니다. 여러 작품들을 어떻게 분석했는지 본론이 매우 궁금하기는 한데, 그건 나~중에 읽기로... ^^;
2021.03.03
마음대로 쏟아내는 후기, 막 던지는 질문하기, 제안해봅니다. (19)
2019.12.01
자연철학 그림노트 1 - 낙하운동 (1, 2장) (26)
2019.12.07
아산 1장 발제 (1)
2019.12.08
11월 30일, 12월 28일 아산 모임 2장 고전역학 부분 발제문 (3)
2019.12.06
자연철학 강의 읽는 요령 (2)
2019.12.17
자연철학 그림노트 4 - 삼각함수의 미분 (부록 A9 & A5) (11)
2019.12.27
브라베 격자와 역 격자, 맞공간. 운동량-에너지
2020.02.20
운동질량, 상대론적 질량, 정지질량 (1)
2020.01.25
자연철학 그림노트 3 - 삼각함수의 정의와 몇 가지 성질 (11)
2019.12.26
자연철학 그림노트 1 - 낙하운동 (1, 2장) (26)
2019.12.07
리스트가 없습니다.

녹색아카데미 일정

  1. 3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최후의 전환 2

    3월 13일 3:00 오후 - 5:00 오후

View All Events

많이 본 글

  • 기후위기와 이주
    기후위기와 이주
  • 기후위기 카툰 - 인류세, 감춰진 동물들과 사람들
    기후위기 카툰 - 인류세, 감춰진 동물들과 사람들
  • 과학과 수학의 불확실성 - (6)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
    과학과 수학의 불확실성 - (6)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
  • 아마존에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인가
    아마존에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인가
  • [대담녹취 5-2] 장회익의 자연철학 이야기. 4장.양자역학 (2)
    [대담녹취 5-2] 장회익의 자연철학 이야기. 4장.양자역학 (2)
  • 녹색아카데미 뉴스레터 - 2021년 1월 2호
    녹색아카데미 뉴스레터 - 2021년 1월 2호
  • 인공생명 - (5) 생명을 물리학으로 이해할 수 있을까?
    인공생명 - (5) 생명을 물리학으로 이해할 수 있을까?
  • 제레미 리프킨 - 두 개의 위기, 미래를 위한 선택
    제레미 리프킨 - 두 개의 위기, 미래를 위한 선택
  • 인공생명 - (2) 인공생명과 생명의 철학
    인공생명 - (2) 인공생명과 생명의 철학
  • 인류의 무게는 얼마나 될까?
    인류의 무게는 얼마나 될까?

카테고리

태그

climate change (15) climate crisis (15) 고전역학 (9) 공지 (16) 그림으로 읽는 문명 (16) 기후변화 (101) 기후위기 (88) 녹색문명 (14) 녹색문명공부모임 (20) 녹색세계사 (17) 녹색세계사 칼럼 (20) 녹색아카데미 (27) 녹취 (43) 뉴스레터 (34) 대담 녹취 (28) 문명 (14) 물리학 (22) 상대성이론 (20) 생명 (13) 생명이란 무엇인가 (11) 세미나 녹취 (15) 아인슈타인 (18) 앎이란 무엇인가 (11) 양자역학 (25) 온라인모임 (19) 온생명 (11) 온생명론 (13) 온실가스 (11) 우주론 (8) 이산화탄소 (19) 인류세 (9) 자연철학 (75) 자연철학 세미나 (50) 자연철학세미나 (82) 자연철학 이야기 (16) 자연철학이야기 (19) 장회익 (82)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70) 장회익의 자연철학 이야기 (15) 재생가능에너지 (11) 주체와 객체 (9) 지구온난화 (8) 지속가능성 (12) 통계역학 (11) 파시브하우스 (8)

녹색아카데미 트위터

내 트윗

녹색아카데미 페이스북 공개그룹

녹색아카데미 페이스북 공개그룹

Copyright © 2021 녹색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

Codilight 테마 제작자 FameThemes